|
 |
‘호모 인포르마티쿠스’의 시대, 인류 |
|
| 호모 인포르마티쿠스(Homo Informaticus, 정보인간)의 시대, 인류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정보기술이 물질과 에너지와 관련된 인간 삶의 질에 있어 기존 방정식을 다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컴퓨팅, 커뮤니케이션, 바이오테크, 나노테크는 큰 것부터 작은 것까지 그리고 질과 양의 측면에서 이전 시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인간 삶을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동시에 정보기술은 우리의 실체와 역할을 변화시키고 있다. 필연적으로 문자 메시지, 이메일, 구글 검색, 그밖의 여러 다양한 정보기술로 인해 우리의 생활 및 사고방식은 바뀌고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우리에게 다가오는 기회와 위협은 무엇인가?<br> |
|
|
 |
The Power of Fun |
|
| | Catherine Price |
| ǻ | The Dial Press |
|
 |
인플레이션, 실업, 그리고 필립스 곡 |
|
| 필립스 곡선(혹은 필립스 커브)에 따르면 ‘실업률이 낮을 때, 인플레이션이 높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연방준비이사회는 여전히 이 사고를 기반으로 정책을 결정한다. 그러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에 대해 경험적 증거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이 경험적 증거들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통화 정책과 그 결과로 파생되는 인플레이션 부문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
|
|
 |
Convergence Scramble |
|
| Despite all the hype of “media convergence” since the late 1990s, until recently the reality has fallen short. Convergence was supposed to bring all of the digital technologies together. Because of this vision, billions of dollars were lost on bad business decisions. |
|
|
 |
The Patent Epidemic |
|
| Back in 2001, something strange happened in the world of patent law. Microsoft, which had been fighting a lawsuit by Priceline, suddenly gave up. The suit, filed in late 1999, claimed that Priceline had patented its “name your own price” auction strategy, and that no one else could use it without a license from the company. Microsoft had been using a similar strategy on its Expedia travel site and had been arguing in U.S. District Court in Connecticut that the auction method was too obvious to be patent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