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ost Corona: From Cr |
|
| Scott Galloway |
ǻ | Portfolio |
|
 |
지구촌 소비의 새로운 패턴 |
|
인구, 기술, 사이코그래픽스(psychographics, 수요조사 목적으로 소비자의 행동 양식, 가치관 등을 심리학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의 흐름이 세계 경제의 소비 패턴을 새로운 형태로 바꾸기 위해 한곳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번 금융 위기는 지금까지 수십 년 동안 알고 있었던 경제 상황과 전혀 새로운 상황을 구분 짓는 경계선처럼 보인다.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국가와 기업, 개인은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
|
|
 |
웹2.0이 주는 과실을 얻으려면 |
|
마이스페이스(MySpace),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등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세계적 현상으로 수억 명의 회원 수를 자랑한다. 모든 경영인들은 이 새로운 미디어의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 현재 이들 사이트에서 기회와 위협이 보이는가? 그렇다면 비즈니스 모델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우리 사회에서 점차 중요해지는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br> |
|
|
 |
물(水), 21세기 가장 큰 비즈니스 |
|
인간의 역사는 물로 시작했다. 물은 역사를 통틀어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자원 중 하나였다. 이제 인구 증가, 도시화, 산업화와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정보기술이 융합되어 물이 엄청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
|
|
 |
그래도 ‘세계화’다 |
|
글로벌 경제 성장의 부인할 수 없는 원천!<br><br>현재의 세계적 경제 문제와 마찬가지로 미래에 우리가 겪게 될 경제 문제도 주로 세계 각 지역 간은 물론 각 지역 내의 근본적 불균형으로부터 발현될 것이다. 소비재의 수요와 공급, 저축과 소비, 청년층과 노년층, 교육과 문맹, 그리고 부유층과 빈곤층도 여기에 포함된다. 오늘날 기술로 인해 가능해진 세계화가 이러한 불균형을 해결할 희망이 될 수 있을까?<b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