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의 대전환: 제조업 중심의 탈탄소화와 기후 대응
탈탄소화가 불가피해진 글로벌 공급망
오랫동안 글로벌 공급망은 ‘저비용·고속’이라는 원칙 위에서 작동해왔다. 그러나 기후 위기가 가속화되고 국제 사회가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이제 공급망은 새로운 생존 조건에 직면하게 되었다. 단순히 싸고 빠르게 생산하는 것만으로는 시장에 접근할 수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특히 '유럽연합(EU)'이 시행을 준비 중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글로벌 무역 규칙을 바꾸고 있다.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될 이 제도는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전력, 비료 등 에너지 집약적 제품의 탄소 배출량을 검증하고, 초과분에 대해서는 비용을 부과한다. 이미 글로벌 철강 기업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은 벨기에 제철소에 수소 기반 제철 공정을 도입하며 규제에 대응하고 있다. 반면, 준비가 부족한 터키 철강업체들은 유럽 수출 물량을 줄이고,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중동·아프리카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소비자 압력도 강해지고 있다. 친환경 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는 가격과 품질뿐 아니라 제품의 '탄소 발자국'을 구매 기준으로 삼는다. 프랑스의 한 패션 브랜드는 ‘친환경’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화학 염료 공정을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 ‘그린워싱’ 논란에 휘말렸고, 매출은 급격히 감소했다. 이런 사례는 기업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강화하지 않으면 소비자의 신뢰를 잃을 수 있음을 경고한다. 따라서 탈탄소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 자리 잡았다.
제조업의 전환: 재생에너지와 효율성 혁신
제조업의 혁신 없이는 탈탄소화가 불가능하다. 제조업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40%, 온실가스 배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대표적 배출원이다. 따라서 공장과 생산 라인의 구조를 어떻게 바꾸느냐가 기후 대응의 핵심이다.
첫째, '재생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 'GE 어플라이언스(GE Appliances)'는 미국 공장 지붕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생산 전력의 30%를 자체 조달하고 있다.
* 'BMW'는 독일 라이프치히 공장에서 풍력 발전으로 자동차 조립 라인을 가동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자재 낭비를 30% 줄였다.
*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반도체 공장에서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달성했고, 재활용수를 공정에 적용해 연간 600만 톤 이상의 물을 절감했다.
둘째, '에너지 효율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 '도요타'는 ‘에코팩토리(Eco Factory)’ 프로그램을 통해 IoT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 일본 내 공장의 전력 사용량을 평균 20% 절감했다.
*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와 IoT 센서가 결합된 스마트 팩토리는 고장 발생률을 낮추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크게 줄여준다.
셋째, '지속 가능한 소재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 화석연료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이 주목받고 있으며, 'LG화학'은 2030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PCR) 100만 톤 사용을 목표로 선언했다.
* 건설업에서는 친환경 콘크리트가, 자동차 업계에서는 경량 합금과 재활용 알루미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제조업은 재생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소재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탈탄소화에 돌입하고 있다.
패션과 전자 산업의 ‘선도적’ 움직임
특히 '패션 산업'과 '전자 산업'은 공급망 탈탄소화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패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의 약 10%를 차지하는 거대한 오염원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브랜드들은 과감한 전환에 나서고 있다.
* 'H\&M'은 베트남·방글라데시 생산 기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친환경 원단 비중을 확대했다.
* 'Inditex(ZARA)'는 2030년까지 전체 제품을 100% 친환경 원단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일부 매장은 태양광·지열 발전을 활용해 건물 에너지를 자체 공급한다.
* '파타고니아(Patagonia)'는 원단의 80% 이상을 재활용 섬유로 전환하고, 공장 에너지 대부분을 태양광으로 충당한다.
전자 산업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 '애플(Apple)'은 2030년까지 모든 제품과 공급망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협력사들에게 재생에너지 사용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하게 하고, 미이행 업체는 공급망에서 제외한다.
* 'TSMC'는 대만 본사 공장에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설치했으며,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 중이다.
* '삼성전자'는 협력업체와 ‘그린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2040년까지 글로벌 사업장에서 탄소 배출을 제로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처럼 패션과 전자 산업은 소비자 친화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동시에 실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탈탄소 공급망을 '브랜드 가치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규제와 시장 압력이 만든 새로운 경쟁 구도
탈탄소화를 가속하는 또 다른 축은 '국제 규제와 금융시장의 압력'이다.
* 'EU CBAM'은 이미 유럽 수출업체들의 전략을 바꾸고 있다. 터키 철강업체들은 유럽 수출을 줄이고 규제가 약한 중동·아프리카 시장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전기차·배터리 등 특정 분야에서 친환경 기준을 충족한 기업에만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이에 '현대자동차·기아'는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생산 기지를 건설하며 보조금 수혜를 노리고 있다.
* 일본은 2024년부터 ‘그린 전환(GX) 보증’ 제도를 도입해 기후 대응 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중국은 ‘녹색 공급망 관리’를 의무화하면서 자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금융시장도 강력한 압력을 행사한다.
* '블랙록(BlackRock)'은 탄소 감축 목표를 제출하지 않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세계 최대 연기금 중 하나인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2023년 기준 100여 개 탄소 집약 기업에서 투자를 철회했다.
소비자 역시 변화의 중요한 주체다.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제품은 SNS에서 불매 운동의 대상이 되고, 브랜드 평판은 순식간에 추락한다. ‘그린워싱’으로 판명될 경우 기업은 신뢰 상실뿐 아니라 매출 하락이라는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다.
결국 규제·투자·소비자의 삼중 압력 속에서 기업들은 탈탄소화로 향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곧 새로운 '경쟁 구도의 재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대응 전략과 미래 기회
세계 10위권 제조업 강국인 한국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충격을 정면으로 맞고 있다.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은 에너지 집약적이어서 탄소 규제 강화는 곧 수출 경쟁력 약화로 직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이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 '포스코'는 ‘하이렉스(HyREX)’라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 중이며, 2030년까지 파일럿 플랜트 가동을 목표로 한다.
* '현대자동차'는 전기차·수소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울산 공장에 태양광·연료전지 발전소를 결합한 친환경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고 있다.
* 'LG화학'은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을 대폭 늘려 2030년까지 PCR 100만 톤 사용을 목표로 삼았다.
정부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한국은 자체 배출권거래제(K-ETS)를 운영하며,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중소기업이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므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공급망 공동 대응 체계', ESG 인증 지원, 탄소 감축 보조금 등은 한국 산업에 필수적이다.
궁극적으로 한국 제조업은 단순히 규제를 피하는 수준을 넘어, '친환경 기술을 새로운 수출 무기'로 삼아야 한다. 탈탄소화는 비용이 아니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때, 한국은 새로운 글로벌 산업 질서에서 주도권을 쥘 수 있다.
'미래 전망: 글로벌 공급망 탈탄소화의 예측 가능한 흐름'
1. '2030년까지 강화되는 글로벌 규제'
EU CBAM은 철강과 시멘트뿐 아니라 전자제품, 섬유 등 소비재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다른 주요 국가들도 유사한 탄소 국경 조치를 도입하며, 탄소 집약도를 기준으로 한 사실상 보편적 무역 규범이 만들어질 것이다.
2. '그린 공급망 동맹의 급속한 성장'
대기업들은 재생에너지와 ESG 기준을 충족하는 협력사와만 독점적으로 파트너십을 맺게 될 것이다. 2030년까지는 ‘그린 인증 공급망’에 속하지 못하면 글로벌 무역 참여가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크다.
3. '제조업 내 재생에너지 채택의 가속화'
2035년까지 선진국 제조업 전력 소비의 절반 이상이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재생에너지에서 충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재생에너지 비용 하락과 함께 더욱 빨라질 것이다.
4. '글로벌 산업 거점의 이동'
한국, 독일, 동남아 일부 국가처럼 신속히 적응하는 국가들은 그린 제조업의 승자가 될 것이고, 늦게 대응하는 국가는 고부가가치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험이 크다.
5. '소비자 주도의 시장 차별화'
2030년대 중반까지 주요 제품 대부분에 탄소 라벨링이 요구될 것이다. 투명하고 저탄소 공급망을 가진 기업이 프리미엄 시장을 장악하고, 고탄소 생산자는 저마진 시장으로 밀려나게 될 가능성이 크다.
The Great Transformation of Global Supply Chains: Decarbonization and Climate Action in Manufacturing
Decarbonization as an Inevitable Path for Global Supply Chains
For a long time, global supply chains operated under the principle of “low-cost and high-speed.” However, as the climate crisis accelerates and international society strengthens carbon emission regulations, supply chains now face a new condition for survival. Simply producing cheaply and quickly is no longer enough to access markets.
In particular, the 'European Union (EU)' is preparing to implement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which is transforming the rules of global trade. Starting in 2026, this system will verify the carbon emissions of energy-intensive products such as steel, cement, aluminum, electricity, and fertilizers, and impose costs on excess emissions. Already, 'ArcelorMittal', a global steelmaker, has introduced hydrogen-based steelmaking processes at its Belgian plant to prepare for this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Turkish steel companies, unable to adapt in time, have reduced their exports to Europe and shifted to market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Consumer pressure is also intensifying. Millennials and Gen Z, who prioritize eco-friendly consumption, use the 'carbon footprint' of products as a purchase criterion, in addition to price and quality. A French fashion brand once marketed itself as “eco-friendly,” but it was later revealed that it used chemical dyeing processes. It was quickly accused of “greenwashing,” and its sales plummeted. Such cases warn that companies risk losing consumer trust unless they strengthen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ir supply chains. Ultimately, decarbonization has become not an option but an 'essential mandate'.
Manufacturing Transformation: Renewable Energy and Efficiency Innovation
Decarbonization is impossible without innovation in manufacturing. Manufacturing accounts for about 40% of global energy consumption and over 30%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us, restructuring factories and production lines is at the core of climate response.
First,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is accelerating.
* 'GE Appliances' has installed large-scale solar panels on the roofs of its U.S. factories, supplying 30% of production power internally.
* 'BMW' powers its assembly lines in Leipzig, Germany, with wind energy, and uses 3D printing technology to reduce material waste by 30%.
* 'Samsung Electronics' has achieved 100% renewable energy use at its semiconductor plant in Texas, U.S., and saved more than six million tons of water annually by adopting recycled water in its processes.
Second, 'energy efficiency' has become a key priority.
* 'Toyota', through its “Eco Factory” program, introduced IoT-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s, reducing average electricity consumption at its Japanese factories by 20%.
* AI-based 'predictive maintenance' combined with IoT sensors in smart factories lowers failure rates and significantly reduces unnecessary energy waste.
Third, the 'use of sustainable materials' is expanding.
* Bio-based plastics are emerging as alternatives to fossil fuel–based plastics. 'LG Chem' has pledged to use one million tons of recycled plastic raw materials (PCR) by 2030.
* In construction, eco-friendly concrete is being adopted, while in the automotive sector, lightweight alloys and recycled aluminum are increasingly used.
In this way, manufacturing is entering decarbonization through three pillars: renewable energy, efficiency, and sustainable materials.
Leading Moves in Fashion and Electronics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electronics industry' are playing pioneering roles in supply chain decarbonization.
The fashion industry is responsible for about 10% of global carbon emissions, making it one of the world’s largest polluters. In response, global brands are making bold shifts:
* 'H\&M' has installed solar systems in production bases in Vietnam and Bangladesh, while increasing the share of eco-friendly fabrics.
* 'Inditex (ZARA)' has pledged to convert 100% of its products to eco-friendly fabrics by 2030. Some stores already operate on building energy supplied by solar and geothermal systems.
* 'Patagonia' has converted more than 80% of its fabrics to recycled fibers, with most factory energy supplied by solar power.
The electronics industry is also moving rapidly:
* 'Apple' has declared it will achieve carbon neutrality across all products and its entire supply chain by 2030. It requires suppliers to submit renewable energy usage reports, and those who fail to comply are excluded from its supply chain.
* 'TSMC' has installe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s at its Taiwan headquarters and is investing billions of dollars toward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 'Samsung Electronics' operates a “Green Partnership Program” with its suppliers and has set a goal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at its global sites by 2040.
For both fashion and electronics, supply chain decarbonization has become the 'core of brand value', simultaneously building consumer-friendly images and securing actual competitiveness.
A New Competitive Order Driven by Regulation and Market Pressure
The acceleration of decarbonization is also propelled by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pressure from capital markets'.
* The 'EU CBAM' has already reshaped the strategies of exporters. Turkish steelmakers are cutting back on exports to Europe and redirecting to the Middle East and Africa, where regulations are weaker.
* The 'U.S. Inflation Reduction Act (IRA)' provides subsidies and tax benefits only to companies in sector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batteries that meet eco-friendly standards. As a result, 'Hyundai Motor and Kia' have built electric vehicle production plants in Georgia to qualify for U.S. subsidies.
* Japan introduced a “Green Transformation (GX) Guarantee” system in 2024 to encourage climate response investments, while China has made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mandatory to boost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its companies.
Financial markets exert strong pressure as well.
* 'BlackRock' announced it would no longer invest in companies that fail to submit carbon reduction targets.
* Norway’s sovereign wealth fund, one of the world’s largest pension funds, divested from more than 100 carbon-intensive companies as of 2023.
Consumers are also major drivers of this change. Products deemed environmentally unfriendly often become targets of boycotts on social media, leading to rapid deterioration in brand reputation. If accused of greenwashing, companies face not just reputational harm but also direct declines in sales.
Thus, under the triple pressures of regulation, investment, and consumers, companies inevitably turn toward decarbonization—reshaping the 'competitive order' of global industries.
Korea’s Response Strategies and Future Opportunities
As one of the world’s top ten manufacturing powers, Korea is directly exposed to the shockwaves of global supply chain reorganization. Its core industries—steel, petrochemicals, automobiles, and semiconductors—are energy-intensive, making them especially vulnerable to stricter carbon regulations, which can directly undermine export competitiveness.
Yet Korea also holds a 'strategic opportunity' to turn this challenge into an advantage.
* 'POSCO' is developing hydrogen-reduction steelmaking technology called “HyREX,” with plans to operate a pilot plant by 2030.
* 'Hyundai Motor' is expanding its lineup of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s and is building an eco-friendly smart factory in Ulsan powered by solar and fuel cell energy.
* 'LG Chem' has pledg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use of recycled plastics, aiming to use one million tons of PCR by 2030.
The government is also responding. Korea operates its own Emissions Trading System (K-ETS) and has pledged to reduce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40% from 2018 levels by 2030. However, given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ack the resources to meet these new regulations, government support is urgently needed. Establishing 'joint supply chain response systems', supporting ESG certifications, and providing subsidies for carbon reduction efforts are essential.
Ultimately, Korea’s manufacturing sector must go beyond simply evading regulations and instead turn 'eco-friendly technology into a new export weapon'. When approached as an investment in future competitiveness rather than a cost, decarbonization becomes the foundation for Korea to seize leadership in the new global industrial order.
'Future Outlook: Predictable Trends in Global Supply Chain Decarbonization'
1. 'Stricter Global Regulations by 2030'
The EU CBAM will expand its coverage beyond steel and cement to include consumer goods such as electronics and textiles. Other regions, including the U.S. and Japan, are expected to adopt similar carbon border measures, creating a near-universal framework for trade based on carbon intensity.
2. 'Rapid Growth of Green Supply Chain Alliances'
Large corporations will increasingly form exclusive partnerships only with suppliers that meet renewable energy and ESG standards. By 2030, being part of a “green-certified” supply chain will be a prerequisite for participation in global trade.
3. 'Acceleration of Renewable Energy Adoption in Manufacturing'
Renewable energy will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otal industr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advanced economies by 2035, driven by declining costs of solar, wind, and hydrogen.
4. 'Shift in Global Industrial Hubs'
Countries that adapt quickly—such as South Korea, Germany, and parts of Southeast Asia—will emerge as winners in green manufacturing, while late adopters may face exclusion from high-value global supply chains.
5. 'Consumer-Driven Market Differentiation'
By the mid-2030s, consumers will demand carbon labeling on almost all major products. Companies with transparent, low-carbon supply chains will dominate premium markets, while high-carbon producers will be relegated to low-margin seg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