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venge of the Tippi |
|
| Malcolm Gladwell |
ǻ | Little, Brown and Company |
|
 |
대침체 극복하기 |
|
정확히 반세기 전, 1973년에 갑작스럽고 충격적인 경기 침체기가 찾아왔다. 당시 이 문제는 ‘생산성 향상’과 ‘경제 성장’ 둔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 두 가지 요소의 정체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됨으로써 피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 시기를 우리는 ‘대침체기’라고 부른다. 현재의 시기는 1973년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과거 대침체기 이후 경제가 크게 부흥한 것도 유사하다. 어떤 기회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
|
|
 |
2020년대, 인공지능의 진정한 의미 |
|
전기, 철강, 조립 라인, 증기 엔진이 당시 사회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던 것처럼, 오늘날 인공 지능은 직간접적으로 거의 모든 산업 부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 경제적 영향력은 훨씬 더 즉각적이고 극적일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향후 5∼10년 사이 가장 큰 영향을 가져올 애플리케이션과 솔루션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이것이 경제 성장, 고용,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
|
|
 |
[RH]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힘 |
|
‘커뮤니케이션 리서치(Communication Research)’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단 한 번이라도 친구와 만나 대화하거나, 농담을 나누면 그 하루가 끝날 때까지 행복감이 높아지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증거기반 경영의 시대, 무엇을 해야 |
|
<br>역사상 지금처럼 많은 정보를 적절한 때 접할 수 있었던 시대는 없었다. 하지만 금융 위기로 인해 새롭게 드러난 사실은 우리에게 묻는다. “어떻게 그토록 수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일관적으로 그런 끔직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을까?” 뭔가 잘못된 것이다. 고의적 위법행위라는 단편적 지식은 제쳐두자. 문제는 지나치게 많은 중요한 결정들이 이전 의사 결정자들이 해왔거나 ‘과거의 승자들’이 했던 방식을 무차별적으로 ‘벤치마킹’하는 식으로 이뤄졌다는 데 있다. 결론은 하나다. 대참사가 휩쓸고 간 자리를 재건하면서 이제 경영자들은 앞으로 이와 비슷한 실수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할 때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