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계 학습과 인공 지능의 미래 |
|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과 앨런 튜링(Alan Turing)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컴퓨터를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 컴퓨터는 아주 빠르게 연산하고 인풋/아웃풋 기능을 수행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적이다. 오늘날 컴퓨터의 시대는 대개 인간이 잘하지 못하는 일을 컴퓨터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능숙하게 처리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기존 컴퓨터는 사고를 하지 못하기에,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컴퓨터의 물결이 다가오고 있다. |
|
|
 |
중국의 인구정책과 그 영향 |
|
지금까지 중국은 거대하고 계속 성장하는 노동력을 도시화와 교육을 통해 경제 동력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제 그 성장은 정점에 도달했고, 중국의 미래는 생산성 확보에 달려 있다. 중국은 이제 어디로 갈 것이며, 중국을 바라보는 투자자와 기업가에게는 어떤 위협과 기회가 주어질 것인가? |
|
|
 |
빚더미 세계 경제를 되돌아보다 |
|
대공황 다음으로 전 세계를 최악의 상황에 빠트린 세계 금융버블! 그 거품이 터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빚은 더 쌓여가고 있다. GDP 대비 부채비율은 2007년보다 오히려 더 심각한 상황이다. 전 세계의 빚을 모두 더하면 그 규모는 상상 이상인데, 재무 건전성을 위협하는 이 빚은 어떤 위기를 초래할 수 있을까? |
|
|
 |
미국과 중국, G2 경제의 미래 |
|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거세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 명실상부한 G2 중국의 경제를 세계적인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은 정보통신 기술과 저렴한 에너지 비용을 통해 성장을 주도하면서 동시에 중국도 소비 주도 시장경제로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나머지 국가들은 이 G2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이들이 형성한 패러다임에 맞춰 나갈 수밖에 없다. 중국의 변화는 세계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각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
|
|
 |
미국의 태평양 회귀, 대만의 결정적 |
|
냉전이 끝난 이후, 미국의 외교 정책은 중동과 중앙아시아에 집중되어 왔고, 그 밖의 다른 관심 사안에 대해서는 등한시해왔다. 그러나 중국의 부상과 러시아의 점점 더 커지고 있는 목소리로 인해 소위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작전 임무 수행에 대한 미국의 능력은 재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현재 가장 저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동맹은 바로 대만이다. 중국, 미국, 미국의 동맹국들에 대한 대만의 현재 전략적 위치는 무엇일까? 대만과 미국의 더 긴밀한 친교로 인해 발생하는 위협과 기회는 무엇일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