ϽӸ [496,508]
ؿܼ [0]
۷ι Ʈ [2]
̵ 긮ν [348]

[155]

우주, 안보를 위한 새로운 도전
인류가 우주 시대를 연 것은 불과 65년 정도이다. 인류 전체 역사의 아주 일부분이지만, 이 작은 시간에 우리 문명은 우주에 큰 의존을 하고 있다. 통신에서 내비게이션, 일기 예보에 이르기까지 그것은 매우 다양하다. 더 중요한 것은 우주 개발 비용이 대폭 줄어들고 그 역량은 폭발적으로 늘면서, 우주에 대한 인류의 의존은 크게 확대될 것이란 점이다. 당연히 한 국가의 힘과 취약성은 이 기술에 대한 통제력과 해당 자원에 대한 의존도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원과 관련된 위협은 무엇일까? 그리고 이러한 위협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산업용 인터넷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소비자 인터넷(consumer internet)이 지난 10년 만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광고 시장을 완전히 변모시켰듯, 이러한 인터넷 시대를 연 기술이 이제는 산업 경제를 완전히 바꿀 준비를 갖추고 있다. 산업용 인터넷(industrial internet)이 바로 그것이다. 산업용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우리 세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 것인가?
탈세계화가 가져올 위협
2009년 세계 금융위기에서 시작된 대침체와 이후 보잘것없는 경기 회복이 탈세계화(De-Globalization)라는 새롭고 위험스러운 흐름을 촉발하고 있다. 탈세계화란 무엇인가?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탈세계화가 가져올 결과는 무엇인가? 현재 세계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지노믹스(genomics)와 2세대
맞춤 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개념이 태동한 지 15년이 지났다. 이미 우리는 의사들과 환자들이 새로운 유전자 및 생물학적 데이터를 통해 개인에게 맞춤형 치료를 어떻게 이뤄내고 있는지 목도하고 있다. 보건 분야에서, 근본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혁명적 가치 제안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그 맞춤 의학은 2세대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
[GT] 다년생 쌀의 지속적 생산성과
인류가 쌀농사를 시작한 지 약 9,000년 만에, 이 농사가 갑자기 생산성 면에서 큰 도약을 이루고 있다. ‘네이처 서스테인어빌러티(Nature Sustainability)’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중국 남부와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다년생 쌀 재배를 시도한 농경학적, 경제적, 환경적 결과의 연대순 기록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