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왜 사는지를 알고 싶을 때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구체적으로 학파를 만들거나 이론을 남기지 않았고 저서를 남기지도 않았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게 “내가 누구인가?”를 질문함으로써 사람으로 태어나 가치 있는 삶에 이르게 되리라고 믿었을 뿐이다. 이것이 바로 소크라테스 철학의 특징이며, 다른 성현들과 차별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현대의 삶과 죽음, 즉 인생 전반에 대한 모든 가치관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하기에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학문의 차원을 넘어, 그리고 시공을 넘어 우리 삶의 든든한 축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생전의 스티브 잡스가 그토록 소크라테스라는 철학자를 추앙하고 숭모했던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내가 왜 사는지를 묻고 싶을 때 꼭 만나야 할 최고의 철학자는 바로 소크라테스다. 자기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되려면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그 옛날의 소크라테스가 그랬던 것처럼 묻고 또 물어야 한다.
■ 저자 플라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객관적 관념론의 창시자다. 기원전 427년경에 태어났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아테네의 명문가 출신이다. 20세에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어 큰 감화를 받았는데, 28세가 되던 해에 소크라테스가 사형 판결을 받아 죽는 사건이 일어난다. 정치가를 희망했지만 소크라테스의 사망을 겪은 후 뜻을 바꾸어 철학자로서 일생을 보낸다. 스승의 처형 후 잠시 메가라에 피난을 갔다가 아테네로 돌아와 대화편을 집필했다. 그 후 남부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등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으며, 기원전 387년 아테네의 서북쪽에 아카데메이아라는 학교를 설립했다. 기원전 399~365년 다시 시칠리아에 가서 젊은 군주 디오니시오스 2세를 도와 평소에 구상했던 정치를 실현하고자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아테네로 돌아왔다. 기원전 361~360년 세 번째로 시칠리아에 가서 친구인 디온과 그의 조카 디오니시오스 2세와의 싸움을 조정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그 후 기원전 347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아카데메이아에서 강의와 교육에 집중했으며 수많은 저작들을 집필했다.
■ 역자 김세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와 같은 대학 통역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센터 연구원,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 법정 통역사, 국제회의통역사, KBS 동시통역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사람은 왜 살인자가 되는가』 『내 마음은 답을 알고 있다』 『디지털 치매』 등 다수가 있다.
■ 차례
1부 소크라테스의 변론
2부 크리톤
3부 파이돈
4부 향연
작품 해제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