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연민과 온정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현실적인 행복을 위한 266가지 아포리즘
“불행해지지 않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매우 행복해지기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다.”
『쇼펜하우어의 고독한 행복』은 국내에서 엮은 쇼펜하우어 교양서들과 달리 쇼펜하우어의 본고장 독일에서 직접 대중을 위해 기획하고 엮은 아포리즘 시리즈 중 첫 번째 책이다. 엮은이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는 브레히트, 아도르노, 벤야민 등 세계적인 지성들의 책을 소개해온 독일의 유명 출판사 ‘주어캄프’ 편집자 출신으로 쇼펜하우어의 핵심을 담은 266개의 문장을 엄선했다.
번역은 쇼펜하우어 철학서 원전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을 포함한 다수의 독일 철학서를 번역한 홍성광이 맡았다. 그는 쇼펜하우어를 ‘연민과 온정의 철학자’로 명명하며 독자들이 익혀야 할 쇼펜하우어의 숨겨진 정수를 전달한다.
■ 저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9세기 가장 독창적이고 도발적인 사상가 중 한 명이다.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힘에 대한 존중과 결합된 날카로운 객관적 분석은 그를 탁월한 철학적인 인간 전문가로 만들었다. 외국 문화에 대한 개방성은 그에게 초개인적이고 초월적인 세계관을 열어준다. 그는 삶의 지혜에 대한 아포리즘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아포리즘은 종종 냉철한 인생 경험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재미있으며 정곡을 찌르는 통찰력을 보여준다. 불안과 고난, 억압과 적대감이 절망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인식과 실천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와 같은 인생 경험으로 그는 더 이상 흔들리지 않는 명랑하고 평온한 삶을 살 수 있었다. 쇼펜하우어는 고통과 죽음이 만연한 세상에서 삶의 진정한 의미를 규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일생을 보냈다. ‘고통스러운 존재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인간 존재의 거의 모든 차원을 탐구했고, 문학, 음악, 철학, 심리학에서 깊이 공명한 설득력 있는 세계관을 개발했다. 그는 어떠한 비난에도 아랑곳없이 진리만을 따르는 자유인이자 진정한 철학자의 모습으로 인간 행동의 내면에 숨은 동인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쇼펜하우어는 어머니와 불화를 겪었고, 칸트의 저작을 읽고 사물과 세상을 보는 눈을 뜨면서 칸트주의자를 자처하지만 그에게 맹목적으로 충성하지 않고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 쇼펜하우어는 피히테, 괴테와 개인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프리드리히 셸링과의 양면적인 관계, 헤겔에 대한 경멸, 자신의 철학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투쟁을 지속한다. 자신을 무시하고 외면하는 철학 교수들과는 화합할 수 없는 상극관계였다. 그는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톨스토이, 니체, 비트겐슈타인, 사무엘 베케트, 보르헤스, 프로이트, 카를 융, 토머스 하디 등 다양한 인물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 차례
들어가며
1부_ 우리의 행복은 우리를 이루는 것에 달려 있다
: 우리의 요구와 통찰력 사이의 올바른 관계
- 우리 행복의 90퍼센트는 건강에 의해 좌우된다
- 우리를 가장 행복하게 해주는 것은 명랑한 마음이다
- 휴식 없이 진정한 행복은 불가능하다
2부_ 자신만의 믿음으로 스스로를 위로해야 한다
: 우리 자신은 우리 행위의 수행자이다
- 모든 위로의 시작은 인간이 무에서 생겨나지 않았다는 가르침이다
- 진실은 호불호의 문제와 상관없다
- 명성이 아니라 명성을 얻을 만하게 해주는 것이 값진 것이다
3부_ 그대 스스로를 위해 생각해야 한다
: 원형, 의식하기, 보다 높은 예술
- 자기 자신을 위해 생각한 것만 진정한 가치가 있다
- 습득한 지식을 자신만의 생각으로 소화해야 한다
- 아름다운 작품을 느끼는 마음이 필요하다
4부_ 회복은 자연의 산물이다
: 자연의 목소리 속에 있는 세계의 중심
- 자연은 인간의 의지를 빛으로 끌고 간다
- 삶의 의지는 모든 생물의 가장 내적인 핵심이다
- 신체는 스스로 치유하는 기계다
5부_ 객관적인 목적만을 추구하는 사람만이 위대하다
: 자신과 타인과의 교제에 관하여
- 현재 내가 가진 것에 집중해야 한다
- 예의는 현명함이고 무례는 어리석음이다
- 도덕적 탁월함은 모든 이론적인 지혜보다 우위에 있다
6부_ 우리에게는 두뇌보다 더 현명한 무언가가 있다
: 내적 충동과 실제로 성취된 시간
- 인간의 인생은 처음 손 댄 예술 작품과 같다
- 읽고 배우는 것만큼 직접 보고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인간의 성격은 머릿속이 아니라 마음속에 들어 있다
7부_ 죽음이란 삶을 담는 커다란 저수지다
: 우리 참 존재의 불멸성
- 마음의 선함은 불가사의한 신비이며 초월이다
- 지구의 어느 곳이든 지구 위이듯, 모든 삶의 형식 역시 현재다
- 우리는 죽음을 통해 자연 속에서 존속한다
해설 연민과 온정의 철학자 쇼펜하우어_홍성광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