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전통철학의 완성자이자 현대철학의 출발점
자유의지와 철학자 헤겔의 철학 세계
헤겔의 ‘정신현상학’은 근대철학의 두 줄기인 대륙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론을 종합한 칸트의 철학을 비판하며 독자적인 이론을 제시한 책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인간 정신의 형성 과정을 다룬 책이다. 방대한 분량과 체계적인 구조 속에 의식, 자기의식, 이성, 정신, 종교, 절대정신 등 인간 정신의 형성 과정을 다루었기에, 방대함과 난해함으로 그 명성이 높은 철학 저서이다.
저자에 따르면, 헤겔의 역사적 설명은 마치 ‘역사의 드라마를 보는 것’과 같다고 한다. 헤겔은 자유의지가 출현하여 도덕적 자유의지가 되고, 마침내 공동체적 자유의지로 발전하기까지 인간의 역사가 얼마나 견고하게 전진했는가를 보여준다. 역사는 결코 단숨에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런데도 조금씩 앞으로 나갔다. 앞의 역사에서 출현한 정신은 변증법적으로 새로운 정신으로 발전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정신은 절대정신 즉 공동체적 자유의지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 책은 자유의지만을 다루지는 않는다. 자유의지라는 실천적 문제가 제기되기 위해서는 그에 앞서 무엇이 자유이고 어떤 것이 정의이며 무엇이 공동체인가 하는 이론적 문제가 전제되어야 한다. 헤겔은 이런 이론적 문제와 실천적 문제를 ‘정신현상학’에서 포괄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헤겔이 ‘정신현상학’에서 제시한 자유의지의 개념을 밝혀보려 했다. 헤겔에게서 자유의지는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머릿속에서 판단해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에서 생사를 다투는 투쟁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헤겔의 자유의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유의지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충실하게 따라가야 한다고 전한다.
■ 저자 이병창
저자 이병창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수학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아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2월 명예퇴직 이후 현대사상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헤겔 철학과 정신분석학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면서 문화 철학 및 영화 철학을 연구했다.
지은 책으로 ‘반가워요 베리만 감독님’, ‘지젝 라캉 영화’,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현대철학 아는 척하기’, ‘자주성의 공동체’, ‘우리가 몰랐던 마르크스’ 등이 있다.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관련한 책으로는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헤겔의 ‘정신현상학’ 서문 주해), ‘불행한 의식을 넘어’(헤겔의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 장 주해), ‘정신의 오디세이’(자유의지의 개념)가 있다.
옮긴 책으로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그리스 문학 연구’,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독일 이데올로기’가 있다.
■ 차례
서문
1장 자유의지의 철학자, 헤겔
자유의지의 문제
헤겔과 ‘정신현상학’
‘정신현상학’은 어떤 철학적 문제를 다루는가
자유의지의 문제
도덕적 자유의지에 이르려면
2장 ‘정신현상학’ 읽기
헤겔 철학으로 들어가기
의식
주인과 노예의 투쟁
불행한 의식
관찰하는 이성
근대 사회의 출현
인륜적 정신
법의 시대
근대정신의 출현
칸트의 의무 개념
의무의 모순: 전치
양심의 개념
절대정신
3장 철학의 이정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
장 이폴리트, ‘헤겔의 정신현상학’
요하임 리터, ‘헤겔과 프랑스 혁명’
게오르크 헤겔, ‘법철학’
쇠렌 키르케고르, ‘이것이냐 저것이냐’
이병창, ‘정신의 오디세이’
생애 연보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