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세상이 하찮게 여기는 연약한 존재들을 위해 자신의 천재적 재능을 아낌없이 쏟아부은 의사이자 신경학자, 전 세계가 사랑한 ‘의학계의 시인’ 올리버 색스. 그가 남긴 마지막 편지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이 된 지금 우리 앞에 도착했다. 편지의 수신인은 반평생을 사시이자 입체맹으로 살다가 마흔여덟 살에 처음 세상을 입체로 보게 된 신경생물학자 수전 배리다. 수전이 자신의 경이로운 시각적 체험을 글로 써서 보내면서 시작된 두 사람의 필담은 올리버가 눈을 감기 직전까지 이어졌다.
그런데 수전의 첫 편지에 올리버가 응답하며 둘의 우정이 싹튼 그해 겨울, 올리버는 안구 흑색종을 진단받고 시력을 잃기 시작한다. 한 사람이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에 눈 뜨는 동안, 다른 한 사람은 익숙하던 자신의 세계를 상실해 간 것이다. 그럼에도 올리버는 수전이 느끼는 기쁨과 환희를 곁에서 지켜보며 책으로 써 낼 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수전은 자신이 올리버를 도울 방법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에 상심하면서도, 그 슬픔에 잠식당하지 않고 기어이 그를 위로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두 사람은 인간이 지닌 신경 가소성과 회복의 힘을 굳게 믿었고, 마지막 순간까지 용기와 유머를 잃지 않았다.
《디어 올리버》는 그렇게 10년간 150통이 넘는 편지를 주고받으며 서로에게 세상을 다르게 보는 법을 가르쳐 준 두 신경과학자의 서간집이자, 이제는 홀로 남겨진 이가 먼저 떠난 이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며 써 내려간 회고록이다.
■ 작가정보
올리버 색스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대학 퀸스칼리지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베스에이브러햄병원, 컬럼비아대학, 뉴욕대학 등에서 신경과 의사, 교수로 활동했다. 독특한 신경학적 문제를 겪는 환자들의 사연을 따뜻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담아 낸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화성의 인류학자》 《뮤지코필리아》 등이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증상과 병명으로 환자를 분류하기보다, 그들 각자가 세상을 인식하고 경험하는 고유한 방식을 포착하고자 한 색스의 기록은 인간 뇌에 관한 현대의학의 이해를 바꾸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뉴욕타임스》로부터 “의학계의 계관시인”이라는 칭호를 얻었고, 록펠러대학에서 탁월한 과학 저술가에게 수여하는 루이스토머스상을 수상했다. 2015년 안암이 간으로 전이되어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10여 년간 친구이자 동료 과학자인 수전 배리와 이 책에 실린 편지들을 주고받았다.
수전 배리
프린스턴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시건대학 재활의학과 조교수를 거쳐 마운트홀리요크칼리지 생물학 및 신경과학 교수로 재직했다. 어릴 때 사시 교정 수술을 받았으나, 48세에 시력 훈련을 받고서야 난생처음 입체시로 세상을 보기 시작했다. 이 경이로운 시각적 모험을 글로 써서 올리버 색스에게 보내면서 두 사람 사이에 우정이 싹텄다. 입체시는 유년기의 결정적 시기에만 발달할 수 있다는 의학계의 통념을 무너뜨린 배리의 이야기는 색스의 글 〈스테레오 수〉와 배리 자신의 저서 《3차원의 기적》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에릭 캔델은 《3차원의 기적》에 대해 “한 편의 시이자 과학이며, 우리 모두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주는 마법 같은 책”이라고 극찬했다.
■ 목차
추천의 말
1부 처음 만난 세계
· 뇌리에 박힌 질문 · 올리버가 온다 · 집요하긴 하지만 특이한 건 아니야 · 생체 발광하는 밤바다에서 · 작은 개인적 승리 · 불길한 연말 · 2 허레이쇼 스트리트, #3G · 스테레오 수 · 새로운 시작 · 모닝 에디션 · 저자가 되다
2부 감각과 우정
· 단어의 빛깔 · 간주곡 I · 행동, 지각, 인지 · 텅스텐 생일 · 서로를 비추며 나란히 · 아우팅 · 간주곡 Ⅱ · 나침반 모자 · 삶은 지긋지긋한 고난의 연속 · 소파 위의 생명체들 · 강철 신경 · 다시 돌아온 ‘스테레오 수’ · 세슘과 바륨 생일 · 우정의 미적분학 · 듣는 법을 배우기· 이리듐 생일 · 《마음의 눈》을 읽으며 생각한 것들 · 인생의 단 한 순간 · 반려 암석
3부 두 개의 작별
· 자기 실험 · 간주곡 Ⅲ · 생체전기· 전쟁과 평화 · 치유적 뇌 손상 · 아버지처럼· 일과 사랑 · 납 생일 · 마지막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