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이후의 민주주의

   
강순우 외
ǻ
산지니
   
25000
2025�� 06��



■ 책 소개


민주주의의 위기와 새로운 가능성을 동시에 비추는 날카로운 통찰

민주주의가 위기에 놓인 지금, 절차적 제도만으로는 더 이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국내 정치의 불안정과 세계 질서의 격변은 서로 맞물리며 민주주의의 균열을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혐오 정치와 대의제의 위선은 시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사회를 극단으로 몰아간다. 그러나 삶의 방식으로서 민주주의를 재전유하고 시민의 연대를 회복할 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이 책은 바로 그 길을 모색하며, 혼란의 시대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민주주의의 방향을 제시한다.

■ 저자 강순우 외
강순우는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이다. 공론디자인연구소 뜰 대표. 공론장 활성화를 위해 관련 연구와 공론장에서의 토론기법, 토론에티켓을 공유하고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김민정은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조합원이자 대학 강사다. 『마르크스의 생태학: 유물론과 자연』(2016)을 공동 번역했고 『존 벨러미 포스터』(2024)의 저자이다.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박정연은 충북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시민사회에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활동과 농촌 이주를 계기로 농촌사회학에 관심을 두고 있다.

송재영은 민주시민교육연구소, 전국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 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에 힘쓰고 있다.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에서 시민사회와 민주주의를 가르친다.

■ 차례
서문

1부 위협받는 민주주의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_김경아
혐오정치_강순우
대의제는 민주주의인가?_송재영

2부 민주주의의 한계를 넘어 또 다른 가능성으로
근대 민주주의의 역설과 랑시에르 민주주의 논의의 함의_구은정
한국 민주주의 위기와 토의민주주의_박정연
자본축적체제를 넘어 탈축적 사회로의 전환 모색_김민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