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정약용의 사상에 대하여포괄적인 이해를 시도하되, 특히 정치사상 분야에 있어서 집중적으로 재조명하였다. 그동안 노정된 "모순"과 난제들을 최대한 해결할 것을 시도했다.또한 중심 논의 끝의 소론(小論)으로 정약용 사상의 "근대성" 문제를 간략히 다룬다. 이 소론은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에 따라 전개되며, 이소론의 내용을 통하여 중심 논의의 이해를 더 심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 저자함규진
성균관대 행정학과 학사, 동 학교 정치외교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 국가경영전략연구소 연구원이며성균관대, 수원과학대, 용인대에 출강 중이다. 주요 논저로는 『왕의 투쟁』『역사법정』『108가지 결정』「유교문화와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예의정치적 의미」「다산 정약용의 정론」등이 있으며, &역서로는『마키아벨리』『리더십 강의』『팔레스타인』 등이 있다.
■ 차례
서문
제1장 서론
1.연구 배경 및 목적
1) 정약용 사상에 대한 그간의 연구 경향
2) 정약용 사상의 "모순"과 난제들
3) 정약용 정치사상에대한 탐구와 문제점
4) 본 연구의 목적
2.연구방법 및 범위
1) 정약용 사상의 문헌해석학적 이해
2) 정약용 사상의 역사적 이해
3. 연구의 구성 및 각 장의 내용
제2장 정약용 사상의 기본적 이해
1. 리에서 상으로
1) 정약용 사상에서 실과 상
2) 정약용 사상의 상 중심 이해
3) 주자학적이기론에서의 이탈
4) 서구 상식철학 전통과의 비교
5) 소결
2. 도에서 덕으로
1) 도와 덕
2) 도학 전통에 대한 비판
3) 정약용의 덕론
4) 서구덕론과의 비교
5) 소결
제3장정약용 정치사상의 이해
1. 정치원론적 이해
1) 정치와 자연
2) 정치와 윤리
3) 정치와 전통
4) 소결
2. 정치권력론적 이해
1)국권론 - 군주와 국가
2) 민권론 - 신하와 백성
3) 소결
3. 국가 체제론적 이해
1) 경제 체제론
2) 신분제론
3) 국방 체제론
4) 소결
4. 정약용 사상과 근대화 정치
1) 인문주의적근대와 자연과학적 근대
2) 초기 공화주의와 "마키아벨리적 순간"
3) 혁명과 반동의 기로
제4장 결론: 정약용 사상의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