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를 제1부와 제2부로 나누어 제1부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라는 제목으로 새로운세기에 동양철학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내용으로 인, 의, 도, 천, 성인, 자연, 음양 등 동양철학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개념들의 본뜻은어떻게 풀이될 수 있으며, 오늘에는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를 알기 쉽게 제시한다. 제2부는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으로 21세기의 지적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인간복제, 디지털, 생태, 몸 등의 개념들이 동양철학적 입장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분석되고 있는지를살펴본다.
■ 편저자 이동철·최진석·신정근
이동철은 고려대학교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삼국통일과 한국통일』(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기흐르는 신체』『오행의 새로운 이해』 등이 있으며, 『세계 지식인 지도』『위대한 아시아』를 기획한 바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현대중국의 미학대토론」「공자사상에서 ‘학’의 의의」 등이 있다.
최진석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으며, 중국 북경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철학과 부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노자의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등이 있고, 역서로는 『노장신론』『장자철학』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성현영의 장자소 연구」 등이 있다.
신정근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동양철학의 유혹』『동중서: 중화주의의 개막』『사람다움의 발견』『논어의 숲 공자의 그늘』 등이있고, 역서로는 『백호통의』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중화주의와 ‘중국 철학’의 동행」「도덕원칙으로서 서(恕) 요청의 필연성」등이 있다.
■ 차례
머리말/일러두기
제1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공空조은수
공사公私 박재술
귀신鬼神 박성규
기氣 김시천
도道 한형조
리理 손영식
리利 임현규
명命김낙진
명名 정재현
무위無爲 최진석
미美 조민환
사단칠정四端七情 안영상
선禪 신규탁
성인聖人오석원
성정性情 조남호
신도神道 박규태
신선神仙 윤찬원
심心 최재목
유무有無 이권
윤회輪廻 고영섭
음양陰陽박석준
의義 박경환
인仁 신정근
자연自然 박원재
중용中庸 최영진
천天 문석윤
충효忠孝 김덕균
허虛이종성
제2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개벽開闢김용휘
개혁改革 배병삼
공동체共同體 김수중
노마디즘 이정우
놀이 김교빈
다원주의 김비환
도교이용주
동아시아 김석근
디지털 정세근
몸 정인재
법치 이재룡
생명윤리 박재현
생태 김용수
성性윤천근
소통 강신주
아나키즘 박철홍
악惡 이장희
양생養生 김낙필
욕망 정상봉
유토피아 강중기
인간복제김병환
인공지능 이효걸
인권 이승환
자유 장현근
전쟁 송영배
정보화 사회 김성환
죽음 오진탁
지식인황희경
진화 양일모
테크놀로지 김용현
페미니즘 이숙인
풍수 최창조
표제어 찾아보기/찾아보기/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