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내 불안과 분노, 초조, 우울의 원인은 무엇인가?
자존감은 행복한 성장을 위한 토대다
- 좋은 일이 생겼는데도 이유 없이 불안해진다.
- 성실하게 열심히 살고 있지만, 항상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가 그립지만,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한다.
- 무언가를 하고 있지 않으면 마음이 공허하고 혼란스럽다.
- 약간의 부정적인 반응을 맞닥뜨리더라도 움츠러들고 도망가고 싶은 마음이다.
- 성장하고 싶지만, 선뜻 새로운 시도를 하지 못한다.
- 내가 괜찮은 사람인지를 확인하려고 자꾸 다른 사람의 평가에 의지한다.
위와 같은 생각으로 자신을 괴롭히고 있다면 자신의 자존감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그러면서도 낮은 자존감은 자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남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면서 인정받고 싶고, 그를 통해 자신을 증명하려는 열망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너무 늦기 전에 자존감을 회복하지 못하면 불안감이 점점 커지고 이는 분노와 우울로 이어져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처방을 제시한다.
■ 저자 취샤오리
미국정신분석학회(APsaA) 회원
?시카고 정신분석학 연구소(Chicago Psychoanalytic Institute) 정신분석가 후보
?미중정신분석연맹(CAPA)에서 5년간 주니어 그룹, 시니어 그룹, 감독 그룹 및 유아 관찰 그룹 프로젝트 교육 이수
?화이트정신분석학원의 집중 심리분석 심리치료 프로그램(IPPP) 수료
?10여 년간의 업계 경력 보유, 상담 시간이 약 1만 시간에 달함
?현재 각종 심리 역학 장기 교육 전문 프로젝트 교육 및 감독 작업 수행 중
■ 역자 이지연
서울외국어통번역대학원 한중통번역학과를 졸업하고, SK차이나 중국경영경제연구소에서 다양한 통번역 활동을 한 후 NHN, 경기평택항만공사 등 국내 대기업 및 공기업에서 기획 및 통번역 업무를 담당하며 전문성을 갖춘 통번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중국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남의 비위 맞추기는 이제 그만』, 『경제 공부하는 아이 팡팡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감정 수업』, 『성공을 위해 갖춰야 할 10가지』 등 다수가 있다.
■ 차례
추천의 글1, 2
프롤로그_나로서 충분히 괜찮은 존재입니다!
제1부 ‘더 나은 나’를 위한 필수조건, 나를 사랑하라
나는 늘 ‘더 나은 나’를 꿈꾼다
. 모든 사람은 ‘추구’ 본능을 갖고 있다
. ‘자기만족’은 더 나은 나를 만드는 길
. 현실과 ‘더 나은 나’가 갈라지는 순간
. ‘더 나은 나’가 되기 위한 원동력
나를 사랑하는 노력이 결코 헛되지 않게
. 나쁜 감정에 빠질 때면 브레이크를 걸어라
. 나의 자존감은 건강할까
. ‘나는 충분히 괜찮은 존재다’의 심리 유형 분석
제2부 당신의 자존감이 낮은 이유
유년의 단단한 경험이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된다
. 나의 인생 시나리오 이해하기
. 실수가 두려운 아이는 호기심을 잃는다
. ‘천재’와 ‘쓰레기’의 경계에서 길을 잃다
. 아이의 낮은 자존감은 부모에 대한 충성이다
. 서랍 속 진짜 재능을 꺼내 보여라
나와 세상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는 것들
. ‘내면 탐구’_ 나를 들여다보다
. ‘자아정체성’_ 피할 수 없는 인생 과제
. ‘마음의 주선율’_ 내적 목소리의 통솔자
. ‘인격의 연속성’_ 내적 회복 능력
참을 수 없는 고통, 수치심이 나를 지배할 때
. ‘수치심’_ 결코 나의 적이 아니다
. ‘외모 수치심’_ 닿을 수 없는 이상적 자아
. ‘관계 수치심’_ 메아리 없는 사랑
. ‘사회적 수치심’_ 다름이 비정상으로 여겨질 때
완벽주의는 걸림돌인가, 디딤돌인가
. 긍정적 완벽주의와 부정적 완벽주의
. ‘타조 마인드’_ 고개를 파묻으면 난 안전해
.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거리
제3부 자존감 바로 세우기
실패가 남긴 소중한 흔적들
. 실패는 노력의 증거다
. 모든 행동의 메아리를 경청하라
. 나의 ‘무지(無知)’를 인정하라
. 과거와 멋지게 작별하라
〈실행 연습: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승화하라〉
자신을 ‘과감하게’ 사랑하라
. 나는 나로서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다
. 사랑은 통제와 아첨으로 얻어지지 않는다
. 나의 ‘하드웨어’에 새로운 코드를 입력하라
. 진실한 내면과의 소통이 곧 자존감이다
〈실행 연습: 자기관리는 자존감 회복의 첫 단계〉
가족이 남긴 상처 치유하기
. 새장 속의 새는 나는 법을 잊는다
. 인생의 도돌이표가 반복되는 이유
. ‘나’라는 팀의 리더가 되는 법
〈실행 연습: 나만의 성장 스토리 만들기〉
완벽하지 않아도 돼
. 인생의 악보에 쉼표를 표기하라!
. 가구 위의 먼지도 날마다 ‘리셋’된다
〈실행 연습: 온전한 삶의 본질 깨닫기〉
에필로그_ 나만의 연위갑을 만들어 입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