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열정’과 ‘노력’이 가득했던 삶에서 ‘행복’과 ‘여유’가 넘치는 삶으로!
하버드대 아서 브룩스 교수가 전하는 인생 2막을 지혜롭게 사는 법!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 더 이상 예전과 같은 성과를 내기 힘들어지는 날은 한참 뒤에나 올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거의 모든 고숙련 직종에서 쇠퇴기는 3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사이에 찾아온다. 그리고 더 뼈아픈 사실은 직업적으로 더 많은 성취를 이루고 정점을 찍어본 사람일수록 쇠퇴기가 찾아왔을 때 그것을 더 확연히 느낀다는 점이다.
직업적으로, 정신적으로, 또 육체적으로 늙고 있음을 느끼게 될 땐 어떻게 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나이 듦을 비극으로 받아들이고 분노한다. 그러나 저자는 나이 듦이 항상 나쁘지만은 않으며, 새로운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한다면 인생의 쇠퇴를 새롭고 멋진 성공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직업적/사회적 하강을 후회와 분노가 아닌 또 다른 성장과 초월의 기회로 바꾸는 방법을 알려주어 인생 후반기에 접어든 사람들에게 삶의 새로운 목적과 의미를 찾고, 남은 시간을 행복과 성공의 시간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저자 아서 브룩스
저자 아서 브룩스는 미국의 사회과학자이다. 하버드 케네디 스쿨(Harvard Kennedy School)의 공공 정책 및 비영리 리더십 실무 교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arvard Business School)의 경영 실무 교수(Management Practice)로 리더십, 행복 및 사회적 기업가 정신 과정을 가르치고 있다. 그가 가르치는 ‘리더십과 행복’ 강의는 2020년 처음 개설된 이후 수강 신청이 시작되기 무섭게 마감되는 것은 물론이고 강의가 있을 때마다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그는 주간지 ‘애틀랜틱(The Atlantic)’에 ‘어떻게 삶을 구축하는가(How to Build a Life)’란 칼럼을 기고하고 있으며, 팟캐스트 ‘행복의 기술(The Art of Happiness)’을 진행하고 있다.
2008년 미국 주요 싱크탱크 중 하나인 미국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AEI)는 20년 만에 단행한 소장 인사에서 40대의 학자였던 아서 브룩스를 소장으로 선임하는 파격 인사를 선보였다. 그가 소장이 되고 난 뒤 글로벌 금융 위기로 인해 비영리단체 분야의 경제 상황이 극도로 어려워졌지만, 아서 브룩스는 이를 극복하며 10년간 AEI를 이끌었다.
‘국민 총행복론(Gross National Happiness)’, ‘적을 사랑하라(Love Your Enemies)’, ‘원하는 삶을 구축하라(Build the Life You Want, 오프라 윈프리 공저)’ 등 13권의 책을 집필했으며, 전 세계 청중들에게 인간의 행복에 대해 강의하고, 민간 기업, 대학, 공공기관 및 지역사회조직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 일하고 있다.
■ 역자 강성실
역자 강성실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영어과를 졸업했다. YBM 시사, 파고다 아카데미 등에서 영어 전문 편집자로 다년간 근무했으며,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굿모닝 해빗’, ‘이윤의 역설’, ‘미래의 가격’, ‘시장을 움직이는 손’, ‘아침에 일어나면 꽃을 생각하라’ 등이 있다.
■ 차례
들어가며_밤 비행기 안에서 만난 한 남자
제1장 인생의 파티는 계속되지 않는다
‘에이징 커브’는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클래식 연주자였던 나는 어떻게 사회과학자가 되었나
나이 든 후의 노력이 당신을 배신하는 이유
위대한 성취라는 이름의 독
쇠퇴를 인정하고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라
제2장 나이 듦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인간을 구성하는 두 가지 기능
시간에 맞서지 말고 새로운 흐름으로 갈아타라
인생을 산다면 바흐처럼
‘더 열심히’가 아닌 ‘더 지혜롭게’ 일하는 법
제3장 불행으로 이끄는 성공 중독에서 벗어나기
행복이 아닌 특별함을 선택한 사람들
성공 중독자에게 충분한 성공이란 없다
왜 내가 아닌 나의 ‘이미지’를 사랑하는가?
자만심, 두려움, 비교, 그리고 금단 증세
잊히는 두려움에서 스스로를 구하라
가짜 이미지를 만드는 모든 것을 버려라
제4장 버킷리스트와 행복의 관계
버킷리스트가 우리에게 말해주지 않는 것
돈, 권력, 명성이 목적이 될 때
우리는 왜 쾌락의 쳇바퀴에 갇히는가?
욕망보다 더 강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
원하는 것이 적어질수록 행복은 더 가까워진다
‘무엇’을 버릴지보다 ‘왜’ 버려야 하는지 물어라
거꾸로 버킷리스트를 작성하라
작은 일에서 행복을 찾는 법
당신에게 남아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
제5장 죽음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기
죽음에 대한 두려움 이해하기
우리 모두는 잊히는 존재일 뿐이다
‘지금 현재’에 존재하는 연습
쇠퇴를 직시하고 구체적으로 생각하라
같이 힘을 낼 누군가가 옆에 있다면
제6장 당신만의 사시나무 숲을 가꿔라
하버드대에서 연구한 행복의 본질
외로움이라는 이름의 질병
리더들이 더 많은 고립감을 느끼는 이유
사랑에 빠지기는 쉽지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당신에게는 진짜 친구가 있는가 계약 친구가 있는가
건강한 인간관계를 위한 여섯 가지 원칙
내일이 마지막 날이라면
세속적인 목표가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더 높은 차원의 사랑으로 나아가기
제7장 두 번째 도약을 위한 은둔의 시간
삶의 불완전함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법
나의 종교와 나의 구루 이야기
어둠 속에서 예수를 섬긴 니고데모
영적인 길을 가로막는 세 가지 장애물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으며 얻은 깨달음
두 번째 곡선으로 도약하는 힘
제8장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시켜라
약점을 약점이라 정의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상실과 고통 없이 오는 성장은 없다
약점 속에 웅크린 위대함을 찾는 법
강한 척을 버릴 때 올라설 힘을 얻을 수 있다
제9장 물이 빠질 때 낚싯대를 던져라
고통스러운 전환기가 우리에게 주는 선물
중년이 반드시 위기여야만 할까?
인생을 리셋하기에 늦은 때란 없다
경계의 시기를 잘 보내기 위한 네 가지 조언
한 발짝 더 내딛을 용기
나가며_변화를 위해 기억해야 할 세 문장
감사의 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