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도 쉽게 돈 버는 이모티콘 만들기

   
변유선
ǻ
비에이블
   
16000
2021�� 61��



■ 책 소개


포토샵이 처음이라도 누구나 책을 보고 따라만 하면 이모티콘 완성!
이제 나만의 이모티콘으로 돈 버는 취미 생활 하세요

2020년 카카오톡 이모티콘 구매자 수가 2,400만 명을 돌파하며 이모티콘 시장은 더욱더 확대되고 있다. 이제 이모티콘은 매일 사용하는 메신저 속에서 감정과 기분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우리 일상에 자리 잡았다. 그만큼 이모티콘을 많이 사용하면서 직접 제작하는 것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졌고, 누구나 자신이 만든 이모티콘을 다양한 플랫폼에 제안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이모티콘 창작을 통해 수익을 꾀하고 있다.

다양한 스타일의 이모티콘 제작법을 담은 《혼자서도 쉽게 돈 버는 이모티콘 만들기》는 포토샵이 처음인 사람도 간단한 툴 몇 가지로 이모티콘을 만들 수 있도록 상세하게 안내한다. 먼저 큼직한 사진을 통해 포토샵 전체 화면과 작은 부분의 툴까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친절하고 세세한 설명으로 포토샵 기본기와 동작법을 배우다 보면 어느새 포토샵 초보자 딱지를 떼고 이모티콘을 완성하게 된다. 이모티콘 제작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담은 세상에서 가장 친절한 이모티콘 가이드북으로 10대~60대까지 누구나 이모티콘 작가에 도전해보자.

■ 저자 변유선
로아 변유선.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쓸 때가 가장 행복한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이화여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2013년 디자인 알베로를 창업해 아트 상품과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판매하였다. 직접 쓴 손글씨와 그림으로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라인’, ‘오지큐마켓’에 7년째 이모티콘을 출시하고 있다. 2017년 오프라인 이모티콘 제작 워크숍이 하나도 없던 때 시작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2019년 온라인 강좌를 오픈했다. 현재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라인, 오지큐마켓에서 판매하고 있는 이모티콘 개수는 총 30개이며, 라인 대만공식 스티커도 출시하여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토록 아름다운 수채화 한 장》 《오늘은 예쁘게 내일은 따뜻하게 그릴래》 《꽃 한 송이, 말씀한 구절》이 있고, 나태주 시인의 《마음이 살짝 기운다》에 삽화를 그렸다.

■ 차례
프롤로그

INTRO about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 크리에이터란 무엇인가
INTRO about 이모티콘 크리에이터 : 좋은 창작을 위한 습관
저의 이모티콘 작업을 소개합니다!
실습 코너
샘플 답변

Chapter 1 이모티콘 시장 분석 및 전략
01 카카오톡, 라인, 네이버 밴드, 오지큐마켓 : 플랫폼별 성격과 전략
02 카카오톡, 라인, 네이버 밴드, 오지큐마켓 : 플랫폼별 수익 구조와 정산
대만 라인 공식 스티커 작업을 소개합니다

Chapter 2 이모티콘 제작 실전&멈춰있는 이모티콘 만들기
INTRO 누구나 이모티콘 작가가 될 수 있다 : 이모티콘 기획하기
체크리스트. 내 아이템 점검하기
Q&A. 이모티콘 제작 장비&프로그램
체크리스트. 포토샵 기본기 ‘필수 툴’ 배우기
01 손그림으로 이모티콘 만들기
02 손글씨로 이모티콘 만들기
03 종이에 스케치하고 포토샵으로 이모티콘 만들기
Bonus. 스케치와 채색 시 레이어를 분리하는 이유
04 처음부터 끝까지 포토샵으로 그려서 이모티콘 만들기

Chapter 3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INTRO 움직이는 이모티콘 제작 기본 익히기
01 캘리그라피&배경 그림(수채화)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Bonus. 아이패드 프로크리에이트로 만드는 초간단 움직이는 이모티콘
02 동영상으로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03 캐릭터로 간단한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04 움직이는 캐릭터 이모티콘 만들기
Bonus. 다양한 효과들
체크리스트. 움직이는 이모티콘 프레임별 타임 설정 예시

Chapter 4 플랫폼 제안과 상품 출시
01 카카오톡
체크리스트. 카카오톡 제한 가이드 내 저작권, 윤리 필수 지침
02 네이버 밴드
03 오지큐마켓
04 네이버 라인

Q&A 자주 묻는 수강생의 질문들
체크리스트. 사이트 정보

 




혼자서도 쉽게 돈 버는 이모티콘 만들기


이모티콘 시장 분석 및 전략

카카오톡, 라인, 네이버 밴드, 오지큐마켓 : 플랫폼별 성격과 전략

이모티콘을 제작하기 전 우리가 제작할 이모티콘을 어디서 출시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플랫폼마다 성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제작할 콘텐츠의 내용도 조금씩 바뀌므로 각 플랫폼에 대한 정보나 각각의 트렌드에 대해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각 플랫폼의 성격을 보자면 일단 카카오톡과 라인은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입니다. 대화를 위한 앱이기 때문에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이모티콘을 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네이버 밴드는 커뮤니티 앱입니다. 주로 동호회나 동창회 등 각종 모임이나 종교 관련 모임, 취미별 모임이 많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지큐마켓은 네이버 그라폴리오마켓의 새 이름입니다.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 포스트 앱 등에서 사용되는 스티커이기 때문에 주제를 정해 제적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카오톡

시장 규모로 보면 카카오톡이 제일 우세합니다. 국민 앱이라 불릴 만큼 사용자도 많고 그에 비례해 이모티콘 숍의 매출 규모 또한 월등히 높습니다. 입점할 수만 있다면 다른 플랫폼에 비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달 제안이 수천 건에 달하는데요. 그중 한 달에 평균 150여 건이 심사에 통과해서 출시까지 가게 됩니다. 그럼 150등 안에만 들면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또 단순히 그런 것도 아닙니다.


카카오톡에는 이미 출시된 인기 이모티콘이 있습니다. 회사도 있고 개인 작가도 있는데요. 회사인 경우엔 이모티콘이 한 달에 1~2개 이상 출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팀 단위로 일을 하며 회사에 캐릭터도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빠르게 제작됩니다.


카카오톡 담당자가 여러 인터뷰를 통해 심사 기준에 관한 이야기한 것을 보면 크게 차별성, 대중성, 완성도, 기획력 등의 항목을 중점적으로 심사한다고 합니다. 예전에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튜디오가 생기기 전에는 개별 메일로 왜 반려되었는지, 어느 부분의 점수가 부족했는지 상세히 설명해주었는데 지금은 동일한 내용의 반려 이메일로 오기 때문에 정확한 반려 사유는 알 수 없습니다.


라인

네이버 라인은 우리나라에서는 이용자 수가 적지만 일본과 동남아 지역의 여러 국가에서는 카톡과 같은 대표 채팅 앱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카톡 할게.’ 라고 말하는 것처럼 일본에선 ‘라인 할게.’라고 말하곤 합니다. 이모티콘 숍이 전체 규모가 카카오톡보다 훨씬 더 크고 매출 규모 또한 더 큽니다.


라인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다 보니 각 나라의 크리에이터에 대해 이모티콘 숍 입점이 오픈되어 있습니다. 심사도 까다롭지 않아서 제안 넣은 내용이 폭력성, 선정성, 욕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면 대부분 통과됩니다. 입점이 쉬운 플랫폼이라 신규 업데이트되는 이모티콘의 개수가 많아 내부 경쟁이 치열합니다. 해외 작가까지 있으니 더더욱 그렇습니다. 라인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SNS나 블로그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열심히 홍보해서 초기 판매량을 늘려 인기 순위에 진입하는 걸 목표로 움직여야 합니다.


오지큐마켓

오지큐마켓은 진입장벽이 낮아 첫 단계로 시작하기 좋은 플랫폼입니다. 제안서를 넣었을 때 제작상의 문제가 있는 게 아니면 거의 통과가 됩니다. 만약 반려되더라도 어떤 문제로 반려가 되었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그 부분만 수정해서 다시 업로드하면 승인될 수 있습니다. 판매 거절이 아니라 업로드 한 파일의 문제점을 보완하라고 알려줍니다.


요즘 신규로 업데이트되는 양이 많다보니 노출되기 어려운 면이 있어 본인이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않으면 판매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퀄리티가 좋은 스티커인 경우에 오지큐마켓 첫 화면 추천 코너에 소개되어 노출되면 매출에 도움이 되곤 합니다. 오지큐마켓에서 판매되는 스티커는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카페에서 사용됩니다. 포스팅하는 본문과 댓글에 사용할 수 있고, 사진에도 스티커를 붙일 수 있습니다.


네이버 밴드

네이버 밴드는 앞서 설명한 카톡이나 라인처럼 일상에서 자주 쓰는 채팅 앱이 아닌 커뮤니티 앱이라서 좀 생소하게 여겨질 수 있는데요. 많은 분이 이용하고 있습니다(누적 다운로드가 1억 2천만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밴드 이용자 규모에 비해 스티커 숍 매출 규모가 아주 큰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한 달에 출시되는 스티커 숫자가 타 플랫폼에 비해 훨씬 적기 때문에 신규 탭에서의 노출 기간이 길고, 출시되는 모든 스티커를 밴드 내에 배너 광고를 해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는 인기 작가의 이모티콘 위주로 광고를 하는 것에 반해 밴드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게 노출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신 출시되는 스티커 수가 적다 보니 승인율이 높진 않습니다. 트렌디하고 아이디어가 반짝이는 스티커보단 귀엽고 사랑스런 캐릭터 이모티콘이 대체로 잘 팔리는 경향이 있고, 예의 바르고 친절한 느낌의 메시지가 많이 이용됩니다.


카카오톡, 라인, 네이버 밴드, 오지큐마켓 : 플랫폼별 수익 구조와 정산

2017년도 기사에 나온 자료를 보면 카카오톡에서 한 해 동안 1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린 작가의 수가 24명으로 발표되었어요. 라인에서는 매출 상위 10위의 연 매출 평균이 50억 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다만 여기서 오해하지 않아야 할 것은 발표된 금액이 ‘매출’이라는 것입니다. 매출에서 유통 수수료를 제외한 순이익 금액을 플랫폼과 작가가 일정 비율로 나눠 가지는 구조입니다. 평균적으로 앱에서 결제되는 매출 금액에서 약 35% 정도를 작가가 받게 됩니다.


카카오톡 앱에서 결제하는 이모티콘 가격과 pc 버전에서 구매하는 이모티콘 가격이 다릅니다. 앱에서는 2,500원에 팔고 있는 이모티콘을 pc 버전에서는 10~20% 할인 쿠폰을 적용해서 판매합니다. 바로 모바일 유통 수수료 때문입니다. 이 수수료는 모든 모바일 기기의 앱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구글(play store)과 애플(App store)이 가져갑니다. 그래서 플랫폼은 매출 금액의 70% 금액을 구글과 애플로부터 정산받는데 그 금액을 작가와 계약된 비율로 수익을 배분합니다.


카카오톡

카카오톡은 유통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에서 50%를 작가에게 정산해줍니다. 전체 매출액의 약 35% 금액을 작가가 받게 됩니다. 최근 이모티콘 플러스라는 구독 서비스가 오픈되었는데요. 그 부분은 구독 서비스 전체 매출 금액에서 유통 수수료와 여러 가지 비용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액을 구독자가 사용한 이모티콘의 사용량만큼 해당 작가에게 분배하는 형식으로 정산됩니다.


라인

라인도 동일하게 매출액의 35%를 작가가 받습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네이버 라인은 NHK의 일본 법인에 소속되어 있어 우리나라 작가도 해외 작가로 구분됩니다. 해외 작가는 정산받을 금액의 약 20%의 금액을 세금으로 냅니다. 이때 일본에도 세금을 내고 국내에서 또 소득세를 내게 되므로 이중으로 세금 부과가 되는 걸 막기 위해 한일 간 조세협약이 되어 있습니다. ‘조세협약’ 서류를 작성해서 라인 일본 본사로 우편을 보내서 승인 처리가 되면 세금을 10%만 내게 됩니다. 서류 처리를 완료했을 경우 35% 정산액에서 다시 10%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밴드

네이버 밴드는 유통 수수료를 제외한 70% 금액에서 50%를 작가가 받습니다(2021 기준). 2020년까지는 작가별 차등 계약으로 정산되었는데 올해 초부터 유통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의 50%를 모든 작가가 동일하게 받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밴드 앱의 스티커 숍에 들어가면 무료 탭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간단한 참여로 무료 스티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말 많은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어요. 인기 스티커의 경우에는 한 달에 약 10만 건 정도의 다운로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정산은 스티커 다운로드 건수에 단가를 곱한 금액에서 영업 및 운영 수수료를 제한 수익을 네이버 밴드와 작가가 50:50으로 배분받게 됩니다.


오지큐마켓

오지큐마켓은 PC 기반의 플랫폼이라 유통 수수료가 따로 없고 네이버 30%, 작가가 70%로 나눠 가집니다. 스티커 가격이 보통 1,000원(멈춰 있는 스티커), 2,000원(애니메이션 스티커)으로 건당 정산액이 타 플랫폼에 비해 비슷하거나 높은 편입니다. 네이버 블로그나 포스트 활동을 하고 있다면 홍보가 유리하기 때문에 다른 작가에 비해 초기 판매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모티콘 제작 실전&멈춰있는 이모티콘 만들기

누구나 이모티콘 작가가 될 수 있다 : 이모티콘 기획하기

이모티콘 종류

이모티몬은 크게 멈춰있는 이모티콘과 움직이는 이모티콘으로 나뉩니다. 도 다른 이름으로 스티콘과 애니콘으로도 불립니다(플랫폼마다 지칭하는 이름은 조금씩 다릅니다). 멈춰있는 이모티콘은 한 장의 이미지로 하나의 메시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합니다. 24개의 이미지가 하나의 이모티콘 세트가 되므로 작업 시작도 짧은 편입니다.


반면 움직이는 이모티콘은 하나의 이모티콘에 최대 24프레임의 이미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도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그림 실력도 있어야 하고, 관련된 포토샵 기능도 숙지해야 합니다. 


손그림으로 이모티콘 만들기

손그림 그리기

손그림으로 제작하는 경우엔 원본 그림의 사이즈가 중요합니다. 너무 작게 그리면 스캔을 해도 해당도가 떨어지거나 사이즈가 모자라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A5(A4지 절반 사이즈) 정도가 무난합니다(또는 A5에 두 개 정도의 그림). 연습할 때는 아무 종이에 막 그려도 되지만 스캔을 하기 위한 손그림은 선이 깔끔하게 다듬어진 상태여야 합니다. 색연필이나 수채화로 그린 그림은 외곽선이 깔끔하게 잘 마무리되었는지 살펴봅니다. 그림 단계에서 완성도가 높을수록 포토샵에서 편집 시간이 줄어들어요.


스캔하기

깔끔한 선까지 작업이 다 되었다면 이제 스캔을 합니다. 이미지 전용 스캐너나 복합기에 있는 스캐너 등 집이나 사무실, 또는 학교나 도서관에 있는 스캐너를 활용하면 됩니다. 스캔할 때 주의 사항은 스캔한 그림이 흑백 그림이어도 절대 문서로 스캔하면 안 됩니다. 모드를 컬러 사진으로 하고, 해상도는 최소 300dpi 이상으로 스캔해요.


포토샵에서 파일 열기

손그림을 스캔했다며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로 파일을 옮겨 포토샵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① 상단 메뉴 파일→열기에서 스캔한 파일을 열어주세요.

② 색연필로 그린 손그림 스캔 파일을 열었어요. 이모티콘은 이미지 외에 부분은 투명하게 제출해야 하므로 그림에서 강아지 부분만 오려내야 합니다.


배경 레이어를 일반 레이어로 변경하기

③ 배경 모드를 일반 레이어로 바꾸기 위해 배경 레이어를 더블클릭합니다. 새 레이어라고 창이 뜰 거예요. 그럼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배경에서 레이어 0으로 변경되었어요.


이미지 오리기

④ 이제 강아지 주변의 종이를 지워봅시다. 자동 선택 도구(W/마법봉)를 선택하고 종이 부분을 클릭해요. 만약 마법봉 자리에 다른 모양이 보인다면 그 자리에서 오른쪽 마우스 키를 누르면 숨겨진 툴이 보입니다. 거기서 선택해주세요.

⑤ 강아지 외곽선에 점선이 생겼습니다. 마법봉이 자동으로 흰 부분을 선택합니다. 이제 키보드에 있는 delet 키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선택된 영역이 지워집니다.

⑥ 배경의 흰색을 지우면 격자무늬가 보이는데요. 투명하다는 의미입니다. 좀 전에 자동 선택된 것(점선)을 해제하기 위해 Ctrl과 D버튼을 눌러줍니다. 강아지 외곽선이 잘 보이도록 어두운 색 레이어를 그림이 있는 레이어 아래에 만들게요.


어두운 색 바탕 레이어 만들기

⑦ 우선 새 레이어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전경색을 클릭하면 색상 피커가 나옵니다. 색이 나온 부분에서 원하는 곳을 클릭하면 선택된 색으로 전경색이 바뀝니다. 그다음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제 페인트 통 도구(G)를 선택하고 투명한 곳 아무데나 클릭해주면 전경색으로 채워집니다. 나중에 사용할 흰색 레이어도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요.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캐릭터로 간단한 움직이는 이모티콘 만들기

포토샵에서 파일 열기

①상단 메뉴의 파일→열기에서 멈춰있는 동작의 그림을 불러옵니다. 오른쪽에 레이어부분을 보면 스케치와 볼터치, 입안의 색 레이어로 나뉘어 있습니다. 어떤 동작이든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에는 채색을 맨 마지막에 합니다. 동작이 자연스러운지 계속 체크해야 하고 중간에 수정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채색을 미리 하면 수정할 때 채색도 함께 수정해야 해요. 불러온 파일이 배경 없는 그림일 경우에는 새 레이어를 만들어서 페인트 통 도구(G)를 클릭하고 전경색을 클릭해 흰색을 선택한 뒤 새로 만든 레이어에 흰색을 채워 주세요.


새 스케치 레이어 만들기

② 채색 레이어들은 눈을 꺼주고, 새 레이어를 만들어 ‘스케치 2’로 이름을 변경합니다. 위치는 스케치 1 위에 둡니다.


스케치 1 불투명도 조절하기

③ 스케치 1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낮춰줍니다. 어느 정도의 수치가 좋다 이런 게 정해져 있진 않고 따라 그리기에 적당한 정도를 각자 자신의 화면을 보며 낮춰주세요.


브러시 선택 & 사이즈 조정하기

④ 스케치 2 레이어를 클릭하고, 브러시 도구(B)를 선택합니다. 일정한 두께의 선을 위해 선명한 원 브러시를 선택했습니다. 기존 그림을 그린 브러시 사이즈를 기억하고 있으면 좋아요.


그림 그리기

⑤ 브러시 선택과 크기 세팅까지 완료되면 그림을 따라 그려줍니다. 스케치 1 레이어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는 느낌으로 그려요. 미묘하게 선이 조금씩 달라지는 것은 괜찮습니다.

⑥ 곡선 부분은 특히나 자신이 그리기 편한 각도로 돌려가며 그리는 것을 연습해요. (회전 도구 - 단축 키 R, 회전하다가 똑바로 각맞춰 놓고 싶을 땐 shift를 함께 눌러주면 바로 잡아줌)


타임라인 열기

⑧ 스케치 1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다시 100%로 올리고, 상단 메뉴에 창→타임라인을 눌러요.


타임라인 프레임 설정하기

⑨ 1번 프레임에 스케치 1을 선택하고 타임은 0.1초로 설정합니다.

⑩ 새 프레임을 만들어 스케치 1 레이어 눈을 끄고, 스케치 2의 눈을 켜주세요. 재생 버튼을 눌러보면 캐릭터가 미세하게 움직이며 움찔거리는 동작을 합니다. 레이어를 복사해서 이미지를 왜곡하는 것보다 훨씬 자연스러워요.


디테일 채색하기

⑪ 이 동작은 2개의 컷만으로 완성되었기 때문에 이제 채색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같은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렸기 때문에 위치가 바뀌지 않아서 볼터치와 입의 색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요. 1번 프레임을 선택한 뒤 볼터치와 입안 레이어를 모두 켜면 전체 프레임에 적용이 됩니다. 어떤 레이어를 전체 프레임에 적용하거나 빼고 싶을 때는 1번 프레임에서 켜거나, 또는 원하는 프레임을 중복 선택한 후에 레이어를 키면 적용됩니다. 적용 후 다시 재생 버튼을 눌러 제대로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웹용으로 저장하기

⑫ 문제가 없다면 저장으로 넘어가요. 상단메뉴 파일→내보내기→웹용으로 저장을 눌러요.

⑬ 웹용으로 저장하기 새 창이 떴어요. 오른쪽 상단에서 GIF로 변경하고, 이미지 크기는 카카오톡 사이즈 360 X 360을 설정해요. 그리고 재생 버튼을 눌러 마지막으로 확인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플랫폼 제안과 상품 출시

카카오톡

제안하기

http://emoticonstudio.kakao.com/ 사이트에 접속해서 제안 시작하기를 누르고, 카카오 아이디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후 왼쪽 메뉴에 있는 이모티콘 제안을 누르면 오픈 스튜디오 화면이 나옵니다. 멈춰있는 이모티콘, 움직이는 이모티콘, 큰이모티콘 세 가지가 보입니다. 세 가지 유형의 이모티콘 중 원하는 형태의 이모티콘을 골라 기본 정보 기입과 파일 업로드를 하고 페이지 하단의 제출하기 버튼을 누르면 제출 완료입니다.


승인

카카오톡의 심사가 끝나고 결과가 나오면 이메일로 결과를 발송해줍니다. 평균 2주가량 소요되고, 승인에 걸리는 시간은 해당 월의 제안 건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계약

처음 카카오톡에 입점하게 되면 신규 CP 등록을 하게 됩니다. 카카오톡과의 계약은 디지털 서명으로 계약서 작성이 이뤄지며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습니다. 첫 입점 때만 계약하며 이후에 새로운 승인 때는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컬러 시안

계약서 작성이 완료되면 이모티콘 스튜디오 상품 관리 창에 제안한 상품이 뜨게 됩니다. 거기서 파일을 등록하고, 피드백을 받게 됩니다. 컬러 시안은 움직이는 이모티콘의 경우 제안한 24개 이미지와 함께 어떤 모션이 적용될 것인지 컨펌받는 단계입니다. 멈춰있는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 최종 파일로 넘어갑니다.


애니 시안

컬러 시안이 승인되면 애니 시안을 제작합니다. 애니 시안은 최종 파일과 동일한 WEBP(웹피) 파일로 제작합니다. 웹피 제작은 카카오톡에서 계약한 작가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WEBP ANIMATOR(웹피 애니메이터)”로 제작하게 됩니다. 카카오 측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이 있어서 어렵지 않고, 프로그램이 아주 심플해서 처음 접해도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최종 파일

애니 시안이 승인되면 최종 파일을 제작하게 됩니다. 최종 파일은 제작해야 할 파일의 개수가 조금 많습니다. 카카오 측에서 제공한 파일 폴더에 맞춰 제작한 파일을 넣어줍니다. 이때 제작 원본 PSD 파일이나 AI 파일도 제출하게 됩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숍에서 친구에게 이모티콘을 선물했을 때 보이게 되는 기프트 이미지도 작가가 제작해서 업로드 합니다. 어느 단계든 수정 사항이 있을 땐 미승인 될 수 있습니다. 미승인 되는 경우엔 피드백 받은 내용을 토대로 수정해서 다시 업로드 하게 됩니다.


판매 개시

최종 파일이 승인되면 기기 테스트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 기간은 보통 1개월에서 3개월 정도 걸립니다. 인기 이모티콘의 경우엔 패스트 트랙으로 제작부터 출시까지 1개월 이내에 끝내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것은 몇몇 작가에 한정된 이야기라 대부분의 작가와 신규 CP들은 최소 1개월 이상 대기하게 됩니다. 그리고 오픈일이 결정되면 해당 오픈 일에 이모티콘 숍에 자신의 이모티콘이 올라오게 됩니다.


정산

정산은 판매 시작 2개월 후에 됩니다. 3월 중에 오픈했을 경우엔 5월 15일에 첫 정산을 받게 됩니다.


* * *


본 도서 정보는 우수 도서 홍보를 위해 저작권자로부터 정식인가를 얻어 도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 요약한 것으로, 저작권법에 의하여 저작권자의 정식인가 없이 무단전재, 무단복제 및 전송을 할 수 없으며, 원본 도서의 모든 출판권과 전송권은 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