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에게 필요한 돈 공부

   
남지현 , 이주빈 , 조해영
ǻ
시원북스
   
18000
2025�� 08��



■ 책 소개


통장 쪼개기, 가계부 쓰기, 고정비 줄이는 법부터

적금, 주식, 퇴직연금, 주택청약까지

금융팀 기자가 들려주는 2030을 위한 가장 쉽고 친절한 재테크!

 

이 책은 한겨레에서 세 명의 금융팀 기자가 합심해 연재한 〈쩐화위복〉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쩐화위복’이라는 제목은 사자성어 ‘전화위복’에서 따왔다. 불운한 일이 오히려 좋은 결과로 이어지듯, 돈의 위기를 기회로 바꿔줄 재테크 길라잡이가 되어주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 연재한 〈쩐화위복〉을 바탕으로 새롭게 내용을 추가하고 정리해서 이 책을 썼다.

 

세 저자는 금융팀 기자이기도 하지만, 평범한 직장인이기도 하다. 재테크를 배우고 공부하면서. 믿을 수 있는 재테크 정보를 가장 쉽게 전달하기 위해, 2030세대가 꼭 알아야 하는 필수 금융 지식을 한 권으로 담았다. 돈을 모으고 싶은 사회 초년생, 재테크의 ‘재’ 자도 모르는 직장인, 복잡하고 어려운 재테크를 쉽게 배우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 작가정보


2030을 위한 한겨레 재테크 콘텐츠 〈쩐화위복〉팀


남지현

2019년 기자가 된 뒤 사회부, 국제부, 스포츠부, 경제산업부, 사회정책부를 거쳤다. 그중 1년 반을 금융권과 자본시장을 취재했다. 그러면서 몇 가지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 금융 기사는 대다수의 평범한 사람에게는 너무 어렵고 딱딱한 데다가 멀게 느껴지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동년배에게 피부에 와닿는, 쉽고 재밌는 금융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는 생각에 〈쩐화위복〉 시리즈를 기획하게 됐다.

 

이주빈

2018년 언론사에 입사했다. 사회부 사건팀에서 각종 사건·사고를 취재했다. 정치부 정당팀을 거쳐, 스페셜콘텐츠부 젠더팀에서 여성·소수자 인권에 대해 다뤘다. 2023년 10월부터 경제산업부에서 일하고 있다. 정책금융팀에서 은행·보험·카드업계를 출입하며 〈쩐화위복〉 시리즈를 썼다. 현재 산업팀에서 뷰티·패션업계를 취재하며 매일 물욕과 싸우고 있다. 이 책으로 소비 요정들에게 저축 의지를 심어주는 게 목표다.

 

조해영

2018년 기자가 된 뒤 사회부, 국제부에서 일했고 경제부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거래소를 거쳐 금융당국과 업계를 취재하게 되었을 무렵, 공교롭게 30대를 맞이하며 회피하고 있던 ‘내 재정 상황’을 제대로 살펴보게 됐다. 그 경험을 녹여 〈쩐화위복〉 시리즈를 썼다. 험난한 서울에서 작고 귀여운 월급을 가지고 행복한 1인 가구로 살아남는 것이 궁극적인 재무 목표다.

 

 

■ 목차

 

프롤로그 돈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쩐화위복’

 

1장 월급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소중한 내 월급 어떻게 써야 할까

남들은 어디에 얼마나 쓸까

나 자신과의 협상, 예산 짜기

선 저축 후 지출을 위한 통장 쪼개기

전문가에게 무료로 재무상담 받기

 

2장 돈은 어떻게 아끼나요?

 

소비와 지출이 한눈에 보이는 가계부 쓰기

신용카드는 나에게 득이 될까 독이 될까

신용카드의 함정, 할부·연체·리볼빙

설계사 없이 불필요한 보험료 줄이는 법

자잘한 고정비 줄이는 법: 통신비

자잘한 고정비 줄이는 법: 교통비

자잘한 고정비 줄이는 법: 구독료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제대로 알고 하자

 

3장 돈은 어떻게 모으나요?

 

예·적금의 기초, 연이율과 금리를 알아보자

단리와 복리는 어떻게 계산할까

풍차 돌리기로 예·적금 불리기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은 뭐가 다를까

ISA 통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

 

4장 돈은 어떻게 불리나요?

 

주식의 ‘주’도 모른다면 개념부터 잡고 가자

주식 투자가 처음인 당신을 위한 실전 기초

CMA 통장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투자가 처음이라면 개별 종목보다는 ETF

환율 변동을 활용해 ‘환테크’ 하는 법

 

5장 돈은 어떻게 잘 빌리나요?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제대로 이해하기

마이너스 통장은 대출과 뭐가 다를까

잘 빌린 만큼 잘 갚는 법

복잡한 정책 대출 한눈에 알아보기

 

6장 미래는 어떻게 대비하나요?

 

퇴직연금의 유형과 특징 알아보기

국민 절반이 가입한 ‘필수템’ 청약통장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청약제도 실전

 

에필로그 쩐화위복 실천기: 희망편과 절망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