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최고의 자산배분 전략가가
알려주는 투자전략서!
지난 40~50년 동안 경험해온 경제 질서와 시장 논리, 이론은 팬데믹으로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팬데믹 탈출을 위해 미국 등 주요국 정부는 국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면서 정부 부채를 어마어마하게 늘렸다. 인플레이션에 의한 금리 상승은 정부의 이자 부담을 급격히 키웠고, 이제는 이자 지급과 고령화 등 사회보장 지출을 위해 국채 발행을 더 늘려야 하는 상황으로 변했다. 20년 전과 반대로 경제가 나빠지고 물가가 하락해도 채권금리는 추세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뀐 것이다. 저성장ㆍ저물가ㆍ저금리의 ‘뉴 노멀(New Normal)’은 이제 고성장ㆍ고물가ㆍ고금리의 ‘넥스트 노멀(Next Normal)’로 바뀌고 있다. 이 같은 대전환점에서 무엇이 어떻게 변하고 있고,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 저자 신동준
전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WM CIO)로서 투자전략, 상품 소싱 및 추천, 자문, 모델 포트폴리오(MP) 운용과 일임운용 등을 총괄했다. 직전에는 미래에셋증권 트레이딩 부문 운용전략 실장으로 일했다.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해 옳다고 판단하면 과감히 주류 의견과 다른 주장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경제와 금융투자 환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으로 리서치와 자산운용/트레이딩을 넘나들면서 2004년부터 18년 동안 채권투자 전략과 자산배분전략 분야에서 여러 차례 베스트 애널리스트 1위에 선정되었다. 2011년에는 매경 증권인상을 수상했다. 수익률곡선과 파생상품 전략, 구조화채권 분석 등을 처음 도입하며 채권 리서치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2010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자산배분전략 분야를 개척하며 리서치센터를 PB와 투자자문 비즈니스에 알맞게 변화시키는 데 공헌했다. 2023년에는 미국주식을 포함한 초개인화된 맞춤형 포트폴리오인 ‘다이렉트 인덱싱’을 업계 최초로 출시하며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한국의 경영대상, 올해의 혁신서비스 부문을 수상했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대학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학연금, 군인연금, 노란우산공제회, 한국무역보험공사, 아산나눔재단 등의 자문위원을 지냈다. 2015년부터는 숭실대학교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 차례
지은이의 말 _ 넥스트 노멀 시대, 잔 파도를 너머 큰 파도를 봐야 한다!
1장 THE GREAT SHIFT, 팬데믹 이후의 경제 대전환
고금리·고물가·고성장의 ‘넥스트 노멀’ 시대
정부의 자금수요 급증, 불안한 국채시장
계속 쌓여가는 구조적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반전된 환경, 중립금리의 상승
‘2가지의 중립금리’가 금융시장에 주는 시사점
2장 다시 시작된 위대한 기술의 시대
탈세계화 시대에도 경제 성장은 가능할까?
경제성장의 동력이 ‘노동과 자본’에서 ‘기술 혁신’으로 이동하다
기술 혁신이 만들어내는 인플레이션과 시장 거품
AI 플랫폼을 이용해서 성장하는 기업에 주목하라
3장 메가트렌드와 성장산업에 투자하기
성장주의 주도권 교체, 이길 수 없다면 주주가 되자
흔들려도 성장주 투자를 계속 늘려야 하는 이유
AI 밸류체인에서 찾는 미래의 투자 기회
AI 기술을 활용한 수익 창출을 현실화하고 있는 기업들
4장 한국형 자산배분전략에 주목하라
자산배분의 두 축인 달러주식과 원화채권
인컴의 시대, 인컴투자가 중요한 이유
개인들의 폭발적인 채권투자, 반갑지만 주의해야 할 것들
홍콩의 미래, 그리고 신흥시장 다시 보기
중국을 대체할 아시아 공급망, ‘알타시아(Altasia)’
역대급 엔저, 향후 전망과 엔화 투자방법
5장 Next WM, 자산관리 시장의 미래
금융기관을 둘러싼 환경 변화, 부의 이전과 생성형 AI
월가의 투자은행들이 경쟁적인 인수합병에 나선 이유
자산관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 다이렉트 인덱싱
자산관리의 미래, ‘상품’이 아닌 ‘전략’에 투자하는 시대
6장 내일을 꿈꾸는 투자자들을 위한 조언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자산관리 비즈니스의 매력
가장 눈여겨보고 꼭 체크하는 지표와 데이터는?
지금은 주식에 투자해야 할 때인가?
메가트렌드에 대한 장기 적립식 투자가 시작하기 가장 쉽다
금융회사를 꿈꾸는 젊은 투자자들을 위한 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