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위기의 경제학을 넘어서
경제발전을 추동하는 경제학의 비전
이 책에서는 경제학을 사회적·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현실 적용 가능성을 보유한 학문으로 정의한다.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실증경제학, positive economics) 과학적 태도뿐 아니라 정책 조언을 위한(규범경제학, normative economics) 현실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대 경제학이 외면하거나 왜곡한 부분을 지적하고 올바른 경제(학)적 논의의 방향을 제시한다.
총 10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경제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인류의 경제사를 돌아보고 경제사상의 줄기를 살핀 후 ‘경제학은 과학인가?’라는 물음에 답을 내린다. 이어서 경제학의 본령인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오늘날의 화두인 경제발전과 경제학의 비전을 살피면서 ‘완벽한 경제학’이 아닌 ‘올바른 경제학’의 조건을 밝힌다.
■ 저자 김동옥
NH농협캐피탈 기업금융본부장. 연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단국대학교에서 공부했다. 평생 금융경제학도의 길에서 금융시장 참여자, 금융기관 책임자, 금융경제 교육 및 연구자로 활동해왔다. 논문으로 <한국 금융기관의 위기대응력에 대한 연구>, <금융산업 구조조정과 금융기관 위기대응력 연구>, <금융위기와 금융기관: 금융기관 위기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 기업의 위기대응력에 관한 연구: 비금융기업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스 연구동향 분석>, <국내 민간투자사업 연구논문 분석> 등이, 저서로 <<파이낸셜 마인드: 한국인의 금융원론>> 등이 있다.
■ 차례
저자의 말
1장 서론
2장 경제
2.1 경제란 무엇인가?
2.2 경제 문제
생산의 문제 / 분배의 문제
2.3 경제 문제의 해결
전통 / 명령 / 시장
3장 경제사
3.1 경제의 시작
3.2 시장사회 이전
고대사회 / 중세사회
3.3 시장사회
변화의 주역들 / 시장경제의 출현
3.4 경제성장의 역사
대분기, 잘사는 나라와 못사는 나라를 가르다 / 영국의 선도
서유럽과 미국의 추격 / 동아시아 경제성장 / 한국의 경제성장
4장 자본주의
4.1 자본주의
자본주의의 탄생 / 자본주의의 특징
4.2 자본주의 약사
자본주의 여명기: 1550~1820 / 자본주의 성장기(1): 1820~1870
자본주의 성장기(2): 1870~1913 / 자본주의 파란기: 1914~1945
자본주의 황금기: 1945~1973 / 자본주의 과도기: 1973~1979
자본주의 수난기: 1980 이후
4.3 자본주의와 경제학
5장 경제사상
5.1 경제사상의 뿌리
철학에서 경제사상의 발전 / 통속적 논의에서 경제사상의 발전
5.2 경제학
경제학의 태동 / 경제학의 정의 / 경제학의 10대 기본 원리
한국의 경제학
5.3 경제학파
개발주의 전통 / 고전주의학파 / 신고전주의학파 / 마르크스학파
오스트리아학파 / 케인스학파 / 슘페터학파 / 제도학파 / 행동주의학파
6장 경제과학
6.1 과학
6.2 경제과학
6.3 경제과학은 과학인가?
7장 미시경제학
7.1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7.2 재화와 용역
재화와 비재화 / 자유재와 경제재 / 가치재와 비가치재
정상재와 열등재 / 대체재와 보완재 / 배제성과 경합성
7.3 경제적 잉여
잉여 / 효용
7.4 가격제도
수요와 공급 / 탄력성 / 시장할당
7.5 시장실패
공공재 / 독과점 / 외부효과 / 정보비대칭
8장 거시경제학
8.1 국내총생산
생산량 / GDP 구성요소 / GDP의 한계점 / GDP 한계의 극복
8.2 소비, 저축, 투자
소비 / 저축 / 투자
8.3 물가, 실업, 빈곤
물가 / 실업 / 빈곤
8.4 국제경제
무역 / 환율 / 국제수지
8.5 정부의 역할
정부부문 / 시장실패 대응 / 경제안정화정책
9장 경제발전
9.1 다른 전통
2가지 흐름 / 생산 기반 경제학
9.2 모방
번영의 원리 / 영국의 모방 / 독일의 모방
9.3 저발전의 발전
탈산업화 / 원시화 / 자유무역
9.4 사다리 걷어차기
9.5 경제발전을 위한 올바른 방향
저품질 경제활동 / 고품질 경제활동 / 그릇된 경제정책 / 올바른 경제정책
10장 경제학의 비전
10.1 비전
10.2 고전적 상황
10.3 케인스주의 고전적 상황
케인스주의적 합의 / 케인스주의 고전적 상황의 와해
새로운 경제이론의 부상과 실패
10.4 비전의 위기
대안적 비전들의 실패와 내부로의 방향 전환 / 새로운 고전적 상황
10.5 경제학의 역할 및 지향
맺는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