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코로나가 가져온 대전환의 흐름 속에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라
경제 전문가 28인이 진단한 2021 한국경제의 전망!
2020년 한국경제는 모든 노력을 헛수고로 만들 정도로 악재의 연속이었다. 다행히 뛰어난 방역 역량과 과감하게 재정을 투입해온 정부 정책에 힘입어 성장률 하락과 고용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른바 ‘K-방역’은 한국을 코로나 대응의 모범 국가로 부각시켜 전 지구적 위기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 크게 드높였다. 역설적이게도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한국은 OECD 최고의 성장과 고용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한걸음 더 나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디지털 경제의 선도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새 국가 비전으로 ‘한국판 뉴딜’을 발표했다.
전 세계가 코로나로 신음하는 가운데 한국은 경제를 봉쇄하지 않고도 아직까지 선방하고 있다. 방역 역량을 유지하며 적절한 돌파구를 찾아내는 것이 2021년 한국경제 최대의 도전이 될 전망이다. 이 책은 어떻게 우리가 위험요소를 줄이고 기회와 혁신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 그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 저자
이근
저자 이근은 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겸 비교경제연구센터장이다. 그 외 경제추격연구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한국국제경제학회장, 서울이코노미스트클럽 회장을 맡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버클리)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고, 국제슘페터학회장(ISS), UN본부 개발정책위원, 서울대 중국연구소장·경제연구소장, 세계경제포럼(WEF)의 Council 멤버 등을 역임했다. 비서구권 대학 소속 교수로는 최초로 슘페터(Schumpeter)상을 수상했고, 그 외 경암상, 학술원상 및 유럽진화경제학회(EAEPE)의 Kapp상을 수상했다. 기술혁신 분야 최고 학술지인 《리서치 폴리시(Research Policy)》의 공동편집장이다.
류덕현
저자 류덕현은 현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이자 동 대학교 교무처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한국조세연구원(KIPF)의 전문연구위원 및 세수추계팀장을 역임했다. 2012년 한국재정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한국사회과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재정정책 및 시계열 응용 계량경제학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 차례
| 프롤로그 | 3대 진퇴양난과 3가지 트렌드
1부 코로나 이후 경제와 삶의 변화
Intro 언택트, 미래는 어떻게 다가오는가
1 코로나에 대응하는 비즈니스의 신풍경
2 재택근무에서 스마트 워크로
3 금융의 디지털 전환과 시장 변화
4 디지털 소비를 선도하는 MZ세대의 등장
5 코로나 이후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2부 세계화 퇴조와 각국 경제
Intro 코로나가 끝나면 세계경제는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것인가?
1 미중 무역 갈등과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
2 미국경제, 지금까지 이런 위기는 없었다?
3 중국이 보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
4 아베 이후 일본경제는
5 세계화의 퇴조와 한국경제
6 추격지수로 본 한일 간, 미중 간의 경제패권
3부 커진 정부, 믿어도 되나
Intro 재정으로 버티는 경제, 선도 국가 될 수 없다
1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정책의 방향과 전망
2 한국판 뉴딜이 대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을까?
3 코로나 고용 충격은 1998년, 2008년과 다를까?
4 코로나 이후 변화하는 보건의료 정책
5 기본소득의 시대는 도래할 것인가?
4부 금융자산 시장, 변수는 무엇인가
Intro 실물경제와 괴리된 자산 가격 상승, 언제까지 이어질까?
1 저금리와 양적완화, 아직 끝나지 않았다
2 2021년 주식시장 전망
3 달러의 위상은 건재한가
4 자산운용, 어떻게 해야 하나
5 부동산 시장, 안정될 것인가
5부 미래 산업별 기회의 창
Intro 미래를 위한 산업 트렌드
1 비대면 사회가 가져온 콘텐츠 산업의 변화
2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
3 운송을 넘어 모빌리티의 시대로
4 수소 산업, 새로운 기회의 창
| 주 |
| 저자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