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20년 차 마케터가 알려주는 구체적인 비즈니스 스토리텔링 문법 A to Z
“뾰족한 마케팅의 모든 것!”
치열한 경쟁과 정보의 즉시공유성이 심화되는 현대 사회다. 오랜 시간 공을 들여 만들어낸 상품과 서비스라도 그다음 날이면 경쟁자에 의해 똑같이 복제된 상품과 서비스로 만들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막대한 광고비를 쏟았는데 고객들이 내 상품, 내 서비스, 내 브랜드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고객 탓을 할 수는 없다. 과연 어떻게 레드오션에서 나의 상품과 서비스, 브랜드의 가치를 지켜내고 궁극의 승리를 거둘 수 있을까?
고객에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 것’, ‘무한 경쟁으로 인해 차별화가 불가능해진 것’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매를 이끌어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 바로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이 정보 전달과 다른 점은 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달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책 《일 잘하는 마케터는 스토리를 만든다》는 나의 상품과 서비스에 남들과는 다른 의미와 값어치를 부여하는 이야기를 입히고, ‘원조로’ 포지셔닝하는 비법을 공개한다.
■ 저자 박희선
현장에서 잔뼈 굵은 20여 년차 마케팅 전문가.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학위를 받았다. KT에 입사해 이동통신과 블록체인, AI 로봇 등 화젯거리인 아이템을 소재로 한 신사업을 선도적으로 기획했으며 100여 곳의 스타트업, 지자체와 협업한 경험을 기반으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토리텔링 컨설팅을 병행했다. AI와 경쟁하여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인류의 분야를 ‘창의적인 스토리텔링’이라 생각하며 마케팅과 접목한 스토리텔링 기법들을 꾸준히 연구해 나가고자 한다.
■ 차례
추천의 글
프롤로그
PART 1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의 조건
01 스토리텔링이란?
상품을 설명하고 전달하면 모두 스토리텔링일까?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상품을 파는 유일한 방법
02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이 가져야할 속성 N·A·T·U·R·A·L
지어낸 이야기도 때로는 대중에게 진실이다
New idea 새로운 생각, 참신성
Actuality 사실에 기초한 현실감, 개연성
Trivia 사소한 디테일에서 오는 공감, 구체성
Unusualness 반전과 개성이 있는 이야기 전개, 의외성
Relationship 깊게 관련된 연결 고리, 인과성
Alternativeness 기존과 전혀 다른 접근, 대안성
Life 너와 나의 인생 이야기, 일상성
03 스토리텔링의 힘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스토리텔링
가치를 불어넣는 스토리텔링
내 것을 독보적으로 만드는 스토리텔링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
오랫동안 효과가 지속되는 스토리텔링
PART 2 스토리텔링 전략 첫 번째, 연결 지어 스토리셀링하기
01 페어링: 짝지어 연상시키기
양꼬치엔 칭따오 | 일요일엔 짜파게티
02 역사, 신화를 발굴하고 연관 짓기
청바지의 역사 리바이스 | 레이디 고다이바의 품격을 입은 고디바 | 전설의 사이렌과 함께하는 스타벅스
03 감성적 이미지 입히기
정의 상징 초코파이 | 위로를 전하는 박카스 | 한국인의 효심을 울리는 경동보일러
04 이미지와 인지도 차용하기
수제맥주 붐을 일으킨 곰표 맥주 | CNN과 코닥을 입는다
05 성공한 산업, 상품 서비스와 엮기
영국 왕실의 인증마크를 획득한 버버리 | 나사가 인정하는 매트리스 기술력, 템퍼
06 문화 콘텐츠와 결합시켜 묻어가기
헤밍웨이를 입은 도시 아바나 | MZ세대를 사로잡는 케이팝 굿즈와 컬래버레이션
07 생산자 소개를 통한 연결감 형성하기
농민을 앞세운 네이버 산지 직송 | 고객에게 말을 거는 크라우드 펀딩 | 팀원을 보고 선택하는 포장이사 yes2424
08 미디어 노출로 호기심과 구매 욕구 자극하기
이경규 꼬꼬면과 영국남자 불닭볶음면 챌린지 | 영화 〈기생충〉과 짜파구리 열풍 | 인기 K드라마 PPL의 단골손님 써브웨이
PART 3 스토리텔링 전략 두 번째, 차별화 요소 찾아내어 새롭게 하기
01 브랜드 가치와 철학 심기
환경을 생각하는 브랜드 파타고니아 | 푸른 숲 가꾸는 유한킴벌리| 녹차 밭을 통해 가치를 전달하는 아모레퍼시픽 | 공정무역을 추구하는 아그로페어와 더바디샵
02 이름 짓고 새로운 의미 부여하기
신세계가 쓱(SSG)하다 | 이름을 바꿔 뾰족하게 노출한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03 약점 시장 뛰어들어 수요 창출하기
코카콜라와 빨간 옷의 산타클로스, 북극곰 | 아이들의 장난감이 성인들의 취미 생활로, 레고
04 핵심 포인트 파고들어 전세 역전시키기
오비맥주 vs 하이트진로 | 기기 성능이 아닌 콘텐츠로 승부한 애플의 아이팟
05 색다르게 차별화하기
새로운 음료의 장르를 열다, 레드불 | 냉장고의 새로운 오리지널, 김치냉장고 딤채 | TV를 시청하는 색다른 방식, 스탠바이미
06 시장 반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만능 가루 ‘베이킹소다’와 요리 재료 ‘갈아만든 배’ | 러시아의 국민 라면이 된 팔도 도시락
07 우연히 발견한 기회 활용하기
행운의 상징이 된 지포라이터 | 고객이 붙인 애칭 코크와 셰비, 그리고 기업이 직접 붙인 월리 | 친구 선물로 손목시계를 만들어낸 까르띠에
PART 4 스토리텔링 전략 세 번째, 고객 끌어들이기
01 고객 관점으로 이야기 중심 이동하기
관점의 변화로 성공한 나이키 ‘Just Do It’ | 맛과 건강 모두 잡고 싶은 MZ세대를 겨냥한 제로슈가 트렌드
02 고객의 숨은 욕구 발굴하고 충족시키기
중저가 화장품 시장을 개척한 미샤 | 집 안으로 들어온 의료기기, 세라젬
03 고객 입장에서 장벽 해소하기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는 라이나생명 | 30분 배달보증제로 승부한 도미노피자
04 잠재된 고객 불안에 대안 제시하기
구취 걱정을 날려주는 리스테린 | 먹거리 불안감을 해소하는 시스루 마케팅
05 이벤트 열어 고객 흥미 자극하기
고객들이 열광하는 스타벅스 프리퀀시 이벤트 | 와인 애호가가 아니어도 알고 있는 보졸레누보 | 나이키의 한정판 드롭 마케팅과 드로우 마케팅
06 이머징 마켓에서 새로운 고객군 발굴하기
부족한 일손을 돕는 AI 로봇과 AI 고객센터 | 워라벨을 중시하는 긱워커의 등장과 서비스들 |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 대동의 스마트 솔루션
07 SNS 채널에 최적화된 스토리로 소통하기
SNS 인증템 ‘세상에 없던 우유 시리즈’ | 숏폼으로 Z세대를 사로잡은 틱톡
PART 5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스토리텔링 수립 A to Z
01 스토리의 재료 뽑아내기
02 타깃 고객 설정하기
03 전달 메시지와 키워드 생성하기
04 새롭고 감성적인 스토리로 엮어내기
05 가장 효과적인 전달 방법 찾아내고 넓히기
06 피드백을 받아 입지 굳히기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