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경제연구소 추천 CEO가 휴가 때 읽을책
■ 책 소개
특허법과 지적재산권법이 혁신을 후퇴시키고 있다!
백화점에서 골목식당까지, 오늘날 우리는 어딜 가나 모조품과 마주한다. 베끼기가 성행하면 창작 의지가 꺾이고, 혁신은 사라지며, 결국 경제는 후퇴한다는 것이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입장이다. 과연 베끼기는 항상 나쁜 것일까?
요리, 심지어 금융까지 베끼기가 대부분 합법적으로 허용되는 창의적인 산업들을 탐구하여 베끼기가 만연해도 창작활동이 시들지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활발해질 수 있다는 도발적인 주장을 펼치는 책. 특허법과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계속 혁신적으로발전하는 산업을 통해 모방과 혁신 간의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국의 불법복제 시장에서 세계 최대의 토렌트 사이트에 이르기까지 모조품이급속하게 늘어나는 글로벌 경제의 미래를 여전히 낙관적으로 전망할 수 있는 이유도 제시한다. 특허법과 지적재산권법이 없어도 혁신은 가능할 뿐만아니라 경우에 따라 이들 법이 없는 편이 혁신에 더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 저자
칼 라우스티아라 - 미국 UCLA대학 법대 교수인 칼 라우스티아라는지적재산권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이다. 2012년 8월 애플과 삼성전자 간 특허소송 1심 평결이 나오자 「포브스」 등 전 세계 주요 언론들은라우스티아라 교수를 잇달아 인터뷰하고, 그의 의견을 소개하기도 했다. 미국 하버드 법대에서 법학 박사를, UC샌디에이고대학에서 정치학 박사를받았다.
크리스토퍼스프리그맨 - 버지니아대학 로스쿨 연구교수인 크리스토퍼 스프리그맨은 지적재산권법, 반독점법, 경쟁 정책을 비교연구하고있다.
■ 역자이주만
서강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과를 졸업했다. 현재 번역가들의 모임인 바른번역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E·R: Evolution & Revolution』『인게이지』『케인스를 위한 변명』『화폐의 심리학』『오! 레이브』『돈에 관한 모든것』『그라운드스웰』『마이 스타트업 라이프』 등이 있다.
■ 차례
서론 - 베끼기는 혁신의 독인가?
황금기를 누리고 있는 요식업계
법에 의존하지 않는 코미디계
경쟁팀의 전략을 베끼며 성장하는 미식축구
01. 짝퉁이 패션산업에 미치는 영향
간단히 살펴보는 패션계의 역사
어째서 디자인 베끼기는 위법이 아닌가?
베끼기 규제하기 : 1930년대 패션창작자 협동조합
현대의 베끼기 논쟁
모조품 시장
베끼기의 역설
업계 규범과 시장선점 효과
결론 : 그렇다면 디자이너는 자신의 디자인을 베껴야 할까?
02. 우리가 다양한 요리를 먹을 수있는 이유
간단히 살펴보는 요식업계의 역사
요식업계의 베끼기 관행
베끼기에 대한 제약
요리 베끼기논쟁
요리사들은 왜 창의적인가?
결론 : 창의적인 칵테일을 통해 살펴보는 요식업계
03. 서로를 감시하는 코미디언들
간단히살펴보는 스탠드업 코미디의 역사
저작권법이 적용되지 않는 스탠드업 코미디
현대 스탠드업 코미디언들과 업계 규범
코미디계의업계 규범과 혁신
결론 : 업계 규범의 마법
04. 창작과 표절이 공존하는 산업들
미식축구 : 경쟁 상황과 혁신
폰트 :기술 발전과 혁신
금융산업 : 시장 규모와 혁신
데이터베이스 : 법적 보호와 혁신
결론 - 베끼기는 어떻게 혁신을 촉진하는가
혁신과 베끼기에 대한 실전 교훈
유행과 주기
업계 규범
제품 대 퍼포먼스
개방과 혁신
시장선점 효과
브랜드와 광고
비용, 편익, 창의성
낙관적 편견
승자독식 시장
창작 비용
베끼기와 혁신의 역설
에필로그 -음악산업의 미래
간단히 살펴보는 음악산업 쇠퇴 과정
냅스터의 등장
이길 수 없다면 한패가 되라
불법음원과의 2차 전쟁
음악시장의 새로운 강자, 애플
미래에 대한 전망
음악은 체험이다
음악은 소셜 네트워크다
고품질 전략
모든 길은 콘텐츠로 통한다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