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이 안에 나 있다, 내 친구도”
생생하게 살아 있는, 나와 꼭 닮은 캐릭터들
저자 케이트 가비노는 가족과 떨어져 뉴욕이라는 거대 도시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하며 겪는 온갖 일들과 외로움, 불안감, 친밀함 같은 감정을 네 컷으로 구성된 그래픽 노블로 그려냈다.
이 책의 주인공인 니나, 시린, 실비아는 모두 아시아계 여성 청년들로, 장류진 작가의 말처럼 “나와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며 ‘커리어’라는 지상 과제 앞에 별 노하우도 없이 온몸으로 부딪친다.
이렇게 살아도 될까, 이게 맞는 걸까 고민이 끊이지 않는 사회 초년생에게 필요한 건 꼰대가 아니면서도 고민을 들어주고 적절한 한마디를 들려줄 인생 선배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베로니카 보’라는 30년도 더 전에 부커상을 수상한 작가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잘못 배달된 음식을 전달해주러 가서, 우연히 만난 할머니의 말동무가 되어주다가 생긴 행운이다. 베로니카는 세 친구가 가장 흔들리고 방황하는 순간 아무렇지도 않게 툭, 꼭 필요한 조언을 던져준다. 믿을만한 어른을 만나기 힘든 외로운 도시의 청년들에게, 저자가 전하는 응원의 말이기도 하다. 또한 이 책의 행운들은 모두 일상에서 베푼 작은 친절, 계속된 노력, 작은 용기의 결과라는 것도 흥미롭다.
■ 저자 케이트 가비노
미국 텍사스 휴스턴의 필리핀계 가정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유명 작가들의 초상화를 모은 작품 『간밤의 독서(Last Night’s Reading)』로 《오프라 매거진》 《버즈피드》 《보스턴 글로브》 등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브루클린 매거진》의 ‘30대 이하 영향력 있는 3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 책의 주인공들처럼 그 역시 출판사에서 일하며 때로는 천사 같은 편집자였고 때로는 지옥에서 온 악마 편집자였다. 지금은 책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일을 하고 있다. 의도치 않게 책과 엮여버린 운명이라 생각하면서도 행복의 필수 요소를 꼽을 때는 어쩔 수 없이 ‘책’과 ‘친구’를 떠올린다.
작가 중에는 애니타 브루크너와 빅토르 위고를 가장 좋아하고, 왕가위 영화를 좋아한다. 인생의 영웅은 차학경.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며 장래 희망은 예술가 할머니, 그리고 강아지의 좋은 반려인이다.
■ 역자 이은선
연세대학교에서 중어중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동아시아 학과를 졸업했다. 출판사 편집자, 저작권 담당자를 거쳐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매들린 밀러의 『키르케』, 요 네스뵈의 『맥베스』, 스티븐 킹의 『페어리 테일』, 마거릿 애트우드의 『도둑 신부』, 프레드릭 배크만의 『베어타운』 등이 있다.
_ 순천 고등학교 졸업
_ 연세대학교 사회체육, 생물학과 졸업
■ 차례
취준생의 삶
어느 아침 출근길
“괜찮아요”
아래층 부커상 수상자
어시스턴트 세계의 제왕
그들의 첫 만남
분짜와 함께한 금요일
(아마도) 피 묻은 돈
니나의 남자 친구
누구나 마음속에 사직서 한 장은 품고 다닌다
시린의 엄마
브루클린 도서관에서 한 약속
회의, PART 1
회의, PART 2
생선구이와 불도저
인맥 쌓기의 함정
빌런 등장
그 작은 방에서
무제한 칵테일 타임에 생긴 일
내가 있을 곳
명절이면 생각나는
メリ?クリスマス(메리 크리스마스)
작가의 삶
전설의 매기 리어슨 사건
La Grande Tristesse: 우울의 늪
글쓰기는 빨래방에서
축하는 스파 캐슬에서
커리어 우먼의 삶
집에 유령을 들이다
라탄 가구가 필요해
세계 정복
그 병동
샐러드 전문가
쫄보 인간
요리책도 나쁘지 않아
소주의 위험성
야근하는 사람을 건드리지 말 것
집단 학살의 날
1978년 2월
더는 견딜 수 없을 때
전투 준비 완료
훠궈 먹는 날
우리들의 도원결의
마침내 집으로
감사합니다. 실비아 드림
어디로 가야 할까
우리가 그리는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