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고생에도 정량이 있고
실패에도 총량이 있다는 믿음으로
“나는 이제야 사람에게 꼭 ‘지는 날’만 있지는 않다는 걸 안다. 기다렸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이기는 날이 오기도 한다.”
계약직으로 방송 생활을 시작해 특별채용으로 MBC 아나운서가 된 김수지. 동기 중에서도 가장 늦게 방송을 시작했다. 가까스로 정식 아나운서가 되었지만, 아나운서국에서도 여전히 ‘걱정거리’였다. “진행을 안정적으로 잘하긴 하는데 확 시선을 잡기에는 조금 부족해 보이고, 이렇게 가다가는 기죽어서 하던 것도 더 못하게 되지 않을까 위태로워 보이는 신입사원.” 동기들이 선배들에게 방송 피드백을 받을 때, 울리지 않는 핸드폰을 바라보며 묘한 질투심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가 할 수 있는 건 하나밖에 없었다. 버티기. 시간이 흐르고 큰 방송을 하나둘 경험하면서 언제 불안했냐는 듯 무대를 신나게 누볐다. “자연히 ‘내 방송’이 찾아오는 것처럼 어쩌면 ‘때’라는 건 그냥 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한 사람씩 돌아가며 누구나 한 조각은 뺄 수 있는 젠가처럼.”
작사가로서도 조금씩 주목받기 시작하자, 7년째 뉴스를 진행하면서도 뉴스에 ‘관심 있는 척’ 한다는 짓궂은 농담을 듣기도 했다. 소위 작사 일이 ‘대박’이 나면 그쪽으로 옮겨 가지 않을까 하는 시선 역시 감내해야 하는 일이었다. 즉, “어디서든 욕먹기 좋은 포지션”이었다. 내심 억울하기도 했지만, 누굴 탓할 일도 아니었다. 스스로 어느 한쪽에 소홀해지는 걸 경계해 에너지를 바닥까지 긁어다 쓰곤 했으니까. 그래서 다짐했다. 200퍼센트의 힘으로 나아겠다고.
■ 저자 김수지
MBC 아나운서이자 작사가. 2017년 MBC에 입사해 〈뉴스데스크〉 〈뉴스투데이〉 등 TV 뉴스와 〈우연한 하루, 김수지입니다〉 〈비포선라이즈, 김수지입니다〉 등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2021년 작사가로 데뷔해 레드벨벳, 윤하, 박정현 등의 앨범에 참여했다. 결핍을 원동력 삼아 어린 시절부터 꿈꾼 두 가지 직업을 모두 가졌다. 이 행운을 놓치지 않는 것이 남은 생의 목표다.
■ 차례
prologue
Chapter 1.좌절은 뉴스가 끝나고
intro. 열심히 사는 사람은 때론 비참함을 느낀다
모든 것은 기세다
반전의 주인공은 아니더라도
고생에도 정량이 있을까?
실패의 총량
행복의 반대말은 비교
애쓰지 않음으로 견디는 법
너희들 것이니까
N잡러가 된다는 것
200%로 살아가야지
때로는 아예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지금 불안한 건 간절하기 때문
입스는 그냥 지나가는 거야
Chapter 2. 결핍은 나를 무너지게 하지 않는다
intro. 빠져서도 안 되고, 뛰어넘을 수도 없는 넓은 슬픔
부족함 없이 사랑받고 자란 딸이라는 이미지에 대하여
낯선 온도에 숨이 막혀도 워밍업 없이 가보고 싶어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아버지는 뭐 하시니?
놓지 못하는 마음
자기 연민에 취하지 않기
우리에겐 빈 시간이 필요하다
누군가를 따라 하는 것도 시작이 될 수 있으니까
Chapter 3. 어른에게 필요한 투명한 용기
intro. 부끄러움을 무릅쓰는 삶
맞서지 않고 피해 가는 고양이처럼
마른 가지 안에서 발버둥 치는 새순의 시간
행복 민감도가 높은 사람
엄마의 외로움은 가슴에 사무쳐서
갖기도 전에 갖지 못할까 봐 겁내는 사람
가끔은 친절하지 않을 용기
다정한 어른이 되고 싶어
낯선 길에서 행복을 줍게 될 수도 있으니까
Chapter 4.. 내 삶의 원칙들
intro. 조금은 덜 상처받고 싶어서 만든 인생의 원칙
자기 관리: 끼니는 꼭 챙긴다
자존감: 못하는 건 못한다고 말하기
일: 스스로에게 당당한 마음으로
사회생활: 권위에 약해지지 말자
관계: 관여하지 않는다
감정: 새드 엔딩은 굳이 보지 않아
소통: 진심을 말하는 데서 오는 자유로움
소비: 웬만하면 새 물건을 사지 않는다
여행: 완벽한 자유를 추구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