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소중한 우리 갯벌엔 누가 살까요?
순우리말로 소개하는 갯벌 친구들!
2021년 우리나라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되었어요. 갯벌은 풍부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고, 환경오염을 막아 주고, 사람들의 일터도 되어 주니 당연한 일이지요.
순우리말 생태동시집 『갯벌탐험대』는 우리나라 갯벌에 어떤 친구들이 살고 있는지 소개해요. 갯우렁이는 먹이를 어떻게 찾는지, 뒷부리도요는 무얼 먹고 사는지, 순비기꽃이 어떻게 생겼는지 우리는 책을 읽으며 알게 될 거예요.
『갯벌탐험대』는 순우리말을 사용했어요. 곰살갑다, 감풀, 나르샤, 하늬바람. 정감 가는 우리 말을 따라 읽어 보아요. 잘 알려지지 않은 예쁜 우리말들을 차곡차곡 모아 두었어요.
친구들, 우리의 천연 보물인 갯벌로 떠나 볼까요?
■ 저자 김이삭
경남 거제 작은 섬 ‘칠천도’에서 태어나 갯벌에서 놀며 자랐다. 댕가리와 쏙을 잘 잡는 아이였다. 2005년 『시와 시학』에 시가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8년 경남신문 신춘문예와 2010년 『기독신문』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으며, 동시로 제9회 『푸른문학상』과 『어린이와 문학』애 추천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동시집 『반구대 암각화 』 외 9권, 동화책『황금 고래와의 인터뷰』외 2권, 그림책 『고양이 빌라』,『상추로 쌓은 탑』,『외고산 옹기장이』,『길고양이 초코와 파이』,『바다로 간 수박』, 청소년 시집 『마법의 샤프』가 있다.
제2회 고성 올해의 책에 『공룡 특공대』가 선정되었으며,『바다 탐험대』는 2022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어린이 북토큰 도서에 선정, 『여우비 도둑비』,『고양이 통역사』,『바이킹 식당』,『거북선 찾기』,『동시와 동화로 배우는 고사성어』는 세종도서, 문학나눔 도서에 각 선정되었다. 제9회 서덕출문학상, 제12회 우리나라좋은동시문학상, 제5회 시와창작문학상, 제10회 울산작가상, 제3회 울산아동문학상, 제10회 푸른작가상을 받았다.
현재 울산의 여러 도시에서 그림책, 동시 창작 수업으로 어린이들을 만나고 있으며, 네이버 오디오클립 ‘이삭의 동시네 스푼’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지구의 허파인 바다와 갯벌이 사람들과 더불어 행복한 모습으로 보존되기를 바라며.
wint8@naver.com
■ 그림
엄성미
울산대학교 역사학과 졸업, 경남신문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으며, 중국에서 그림 공부를 하였다. 『바다 탐험대』 삽화를 그렸다.
정다연
한양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동시집 『우시산국 이바구』, 『바다 탐험대』 등에 삽화를 그렸다.
■ 차례
시인의 말
1부 와글와글 갯벌교실
옴살 대원 왕좁쌀무늬고둥
또바기 갯우렁이
사랑옵는 풀망둥어
털보집갯지렁이
가뭇없는 달랑게
길라잡이 살조개
곰살가운 검은띠불가사리
함초롬한 집 스타일
마뜩한 우럭
진주배말
보암보암 바위 펜트하우스
에움길 걷는 무늬발게
약속 늦은 갯강구
땅별에 사는 말똥게
하늘바라기 갈고둥
두줄망둑 체육복
깨지락깨지락 젓가락질
떠돌이 좀도요
감풀 찾는 왕눈물떼새
나르샤 뒷부리도요
먼산바라기 술래 참수리
갯고랑 식사 예절
물참 노랑발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편지
감풀 노랑부리백로
가람 중대백로 의사
둔치 밥상 차리는 황로
갈까마귀
검은머리갈매기 헤어스타일
2부 따각따각 풀꽃교실
갯메꽃 리포터
알땅 모래지치
푸서리 해당화
순비기꽃
갯개미취 레코드판
해미 속 갯잔디
갯완두
통보리사초
개어귀 사데풀 스탠드
갯무
얼럭 번행초
서늘맞이 해국
돌부추
돌가시나무
들마 해란초
새털구름 개정향풀
우산잔디
괴물유령갯지렁이와 소금 아이스크림
202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정 ‘한국의 갯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