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단칸방 신혼집에서 각자의 서재가 있는 집에 이르기까지,
더 나은 집필 공간을 찾아 떠나고 머문 불가피한 순간들에 대한 기록
『글로 지은 집』은 빈손으로 시작해 원하는 서재를 갖춘 집을 갖기까지 이어령 강인숙 부부의 주택 연대기다. 신혼 단칸방부터 이어령 선생이 잠든 지금의 평창동 집에 이르기까지, 더 나은 집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투쟁의 역정이 담겼다. 1958년부터 현재까지 떠나고 머문 공간, 그리고 그 공간 안에서 함께 존재했던 부부의 삶이 강인숙 관장의 이야기 속에 고스란히 스며 있다.
책은 한 여자가 새로운 가족과 만나 동화되는 과정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이어령 선생이 그야말로 ‘글로 지은’ 집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어령 선생과의 결혼식 날 풍경, 집을 찾은 여러 문인과의 추억, 동네 한복판에서 두 눈으로 목도한 4.19와 5.16 역사의 현장, 이어령 선생의 집필 비화 등이 책 곳곳에 소개되어 있다.
■ 저자 강인숙
문학평론가, 국문학자. 1933년 10월 15일(음력 윤 5월 16일) 사업가의 1남 5녀 중 3녀로 함경북도 갑산에서 태어나 이원군에서 살다가 1945년 11월에 월남했다. 경기여자 중·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 문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데뷔했으며, 1958년 대학 동기 동창인 이어령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건국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평론가로 활동하다가 퇴임 후 영인문학관을 설립했다.
■ 차례
머리말
1) 집1. 성북동 골짜기의 단칸방(1958년 9월~12월)
사회 초년병
야간학교의 매력
도배지 한 장만 붙인 신방
혼례식
신혼여행 생략하기
꽃분홍 치마
자장면 파티
예고 없이 오신 손님
2) 집2. 삼선교의 북향 방(1959년 1월~3월)
방 두 개만 있는 일각대문집
어항이 얼어붙은 방
현대평론가협회
키 큰 손님
3) 대가족 이야기
유산과 가독권家督?
아버님의 공작새
그 집안의 어른들
그 집안의 효도 풍경
아버님의 기도
‘페닌슐라’에서 점심을
아버님의 노년
가는 정, 오는 정
4) 집3. 청파동 1가(1959년 3월~1960년 3월)
별채 같은 방
병든 여인의 모성
그 집에 온 손님들
남조 선생과의 만남
5) 집4. 청파동 3가의 이층집(1960년 3월~1961년 3월)
친구 집에 세 들기
셋방살이의 의미망
가난한 마님의 품위
장판 소동
4.19
6) 집5. 한강로 2가 100번지(1961년 3월~1963년 4월)
내 집 갖기
야밤에 들려온 총소리
교사와 학생 겸하기
텔레비전과 오디오
그 집에 온 문인 손님들
이 집 남자들 왜 이리 션찮아?
7) 집6. 신당동 304-194(1963년 4월~1967년 3월)
1963년 신당동
집수리
대궐 같은 집
남자아이의 엄마 되기
경이로운 신세계
1963년의 4중고
세 번째 아이
부록: 『흙속에 저 바람 속에』
그 집에 온 손님들
일터에서 만난 친구들
- 은인 같은 친구: 정금자
- 보호자 같던 연상의 친구: 김함득
- 갈대같이 하늘거리는 여인의 균형 감각: 서정혜
- 타고난 훈장: 이정자
에필로그
8) 집7. 성북동 1가의 이층집(1967년 3월~1974년 12월)
언덕 위의 이층집
연탄으로 큰 집 덥히기
‘봉사와 질서’
이웃
그 집에 온 손님들
부록: 《신상新像》
에필로그
9) 집8. 평창동 이야기(1974년 12월~ )
소나무와 바위산
길이 넓어진 사연
파격적인 땅값
언덕 위의 하얀 집
하얀 집의 문제
그해의 산타클로스
1974년 평창동은……
다람쥐와 꾀꼬리
이웃
“어떤 새끼들이 이런 데서……”
항아님 같던 세배객들
집 허물고 박물관 만들기
‘오늘의 과업’과 ‘모든 날의 과업 ’
너와 나의 쉼터
강인숙 집필 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