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고전과 현대를 넘나드는,
삶의 길이 되는 시를 읽으며 인생을 배운다
시를 읽는다는 것은 누군가 걸어왔던 삶의 한 자락에 포근하게 기대어,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찾는 일이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 인생에 가장 중요한 가치인 ‘사랑’, ‘사람’, ‘삶’의 지혜를 전한다. 상실의 아픔을 시로 승화한 엘리자베스 비숍(Elizabeth Bishop), ‘모성’이라는 주제로 맹목적인 사랑과 존재의 역설을 표현한 20세기 시인 샤론 올즈(Sharon Olds), 삶의 속절없음을 ‘꽃잎이 흐른다’라는 이미지로 표현한 이미지즘의 대모(代母) 에이미 로엘(Amy Lowell) 등 고전과 현대를 넘나드는 30편의 시, 그 안에 담긴 시인의 철학을 통해 인생의 가치를 배움은 물론, 각 시에 대한 저자의 통찰을 이정표 삼아 삶의 길을 지혜롭게 찾아 나갈 수 있다.
시 읽기는 시인의 삶이 빚어낸 말의 흔적을 따라가는 것이고, 말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그 시에 사용된 ‘언어’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게 마련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과 같이 시에 쓰인 명문장을 통해 영어의 품격을 쌓다 보면, 시 읽기의 즐거움은 물론 영문학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조이스 박 교수가 엄선한 ‘50가지 교양 영어’에는 고급 영문법이나 어휘, 우리가 몰랐던 영어의 어원이 두루 담겨있다. 영어학습서의 암기식 ‘공부’에 지친 사람들이라면 마음이 평온해지는 영시를 읽으며 인문학적 지식을 얻고, 영어 교양을 쌓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저자 조이스 박
저자 조이스 박은 서강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석사까지 전공한 후, 영국 University of Manchester의 CELSE(교육대학원)에서 TESOL을 전공,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TESOL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대학에서 교양영어를, 다른 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수법과 영문학을 가르치고, 기업체에서 다양성(Diversity) 강연을 하고 있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사람이 바뀌어야 하고, 사람을 바꿀 수 있는 힘은 문학과 종교밖에 없다고 믿으며 삶을 허위허위 노 저어 가고 있다. 책벌레로 살다 보니 세상을 거대한 텍스트로 읽어내려 하고 삶을 개인이 쓰는 서사라고 착각하는 치명적인 결점을 기꺼운 마음으로 지니고 산다.
지은 책으로는 《빨간모자가 하고싶은 말》과 《하루 10분 명문낭독 영어 스피킹 100》을 비롯한 십여 권의 영어학습서와 영어 동화 시리즈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그렇게 이 자리에 섰습니다》와 《로버랜덤》을 비롯해 십여 권이 있다.
■ 차례
들어가며
1부 사랑의 언어
Day1 혼자인 것과 외로운 것 -사라 티즈데일 〈혼자〉
Day2 어긋난 별들의 사랑 -엘리자베스 제닝스 〈뒤늦게 오나니〉
Day3 나를 보되, 지나쳐 보시라 -파블로 네루다 〈멀리 떠나가지 마세요〉
Day4 증명하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에밀리 디킨스 〈늘 사랑했다는〉
Day5 사랑과 소유는 병립할 수 없다 -루이즈 글룩 〈헌신이라는 신화〉
Day6 사랑은 자칫 기만이 된다 -실비아 플라스 〈미친 소녀의 사랑 노래〉
Day7 세상에서 가장 큰 반어법 -엘리자베스 비숍 〈한 가지 기술〉
Day8 뱉지 못하는 사랑도 사랑이다 -사라 티즈데일 〈사랑하는 자들은〉
Day9 전적으로 사랑한다는 것은 -에드워드 이스틀린 커밍스 〈감정이 먼저〉
Day10 살아간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 -앨런 긴즈버그 〈노래〉
2부 존재의 언어
Day11 내 안의 연약한 파랑새 -찰스 부코스키 〈파랑새〉
Day12 화려할수록 짙어지는 고독 -엘라 휠러 윌콕스 〈고독〉
Day13 순간이 영원인 것처럼, 영원이 순간인 것처럼 -윌리엄 블레이크 〈순수의 전조〉
Day14 본능과 이성의 변주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말레이 〈나는 여자로 태어나 괴롭나니〉
Day15 우리는 욕망으로 존재한다 -앨리스 워커 〈욕망〉
Day16 오롯이 내 몫이다 -린다 파스탄 〈슬픔의 다섯 단계〉
Day17 모성이라는 겁박 -샤론 올즈 〈자신에 대한 공포〉
Day18 환상을 소비하는 사람들 -앤 섹스턴 〈신데렐라〉
Day19 개체 발생은 계통 발생을 반복한다 -에이드리언 리치 〈생존자로부터〉
Day20 연결은 축복인가 저주인가 -존 던 〈어떤 이도 그 자체로 온전한 섬이 아니다〉
3부 삶의 언어
Day21 삶은 흐르는 물이다 -에이미 로웰 〈꽃잎〉
Day22 꿈, 그 가능성과 비현실성 -랭스턴 휴즈 〈유예된 꿈〉
Day23 누구든 돌아오시라 -로버트 프로스트 〈눈 내리는 밤 숲에 멈춰 서서〉
Day24 살아 보이는 것 -사로지니 나이두 〈삶〉
Day25 감정의 기억은 삶의 흔적이다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어느 입술이 내 입술에 키스했는지>
Day26 삶의 재고를 조사하다 -도로시 파커 〈재고〉
Day27 사람은 숲에 거하는 존재가 아니다 -딜런 토마스 〈그저 인간인지라〉
Day28 가면은 눈빛을 감추지 못한다 -폴 로렌스 던바 〈우리는 가면을 씁니다〉
Day29 자유와 추락의 관계 -마야 앤젤루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
Day30 사랑이라는 축복 -앤 마이클스 〈사랑이 그대를 사로잡기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