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어렸을 적의 아쉬움이 때로는 취미로, 때로는 이루지 못한 꿈이 되어 콤플렉스처럼 들러붙는다
프로 복서가 되려는 이유요? 복싱, 그만 하고 싶어서요. 복싱 배우러 체육관에 들어선 사람이 한 말입니다. 그만두기 위해서 배우다니요. 그것도 그냥, 설렁설렁 배우는 것도 아니고, 복싱의 끝판왕 프로 복서 데뷔까지 하겠답니다. 그의 나이 30대 후반, 당신 나이가 몇인 줄 알아? 그러다 더 나이 들어서 골병들어 주변 사람들은 만류했지만 결국 해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정말 취미로 복싱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취미를 찾아 나설 때, 문득 어린 시절을 떠올리곤 합니다. 어렸을 적에 여러 가지 이유로 하지 못했던 것들, 어른이 되어서도 문득문득 생각나는 활동. 누군가에는 그저 어린 마음에 하고 싶었던 것이기도 할 테고, 누군가에게는 이루지 못했던 꿈일 수도 있겠지요. 프로 복서 황진규 작가에게 복싱은 후자였습니다. 어른이 되어서도, 꿈에서 도망친 사람이라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스스로를 비겁하다고 생각했답니다. 누구나 그렇지 않나, 그렇게까지 생각할 필요가 있나?…… 물음표에서 끝나지 않고 쩜쩜쩜까지 느껴진다면, 거기다 이렇다 할 취미 활동이 없다면, 당신도 후자에 가깝습니다.
어렸을 때는 이런저런 이유로, 어른이 되어서는 이런저런 생각으로 망설이는 일이 있다면 우선은 그냥 해 봅시다. 대신 줄넘기부터 차근차근, 거울을 보며 혹은 상대를 상상하며 주먹을 뻗어보고, 가볍게 잽을 날리며 상대방과의 거리도 조절해 보고, 몇 번은 맞다가 몇 번은 때리다 보면, 결국 생길 거예요. 늘 실전인 삶을 살아갈 용기 말입니다.
■ 저자 황진규
철학을 알고 나서부터 회사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7년 동안 다닌 직장에 사표를 내고,
철학을 공부하는 글쟁이가 되었다.
철학에 관한 글을 쓰고 수업을 하며
삶으로 연결되는 철학의 쓸모를 발견해내는 일을 한다.
철학과 삶에 관한 몇 권의 책을 썼고,
앞으로도 계속 쓸 것이다.
■ 차례
프롤로그
1. 복서, 이전의 이야기
다시 찾아온 우울증, 당황이 공황이 되었다
나는 왜 프로복서가 되고 싶었을까?
복싱을 하려면 헬스부터?
[체육관 풍경 1] 복싱과 연애 I
2. 줄넘기
복싱은 겉멋이 아니다
복싱, 잘 맞고 잘 때리면 된다
링 밖의 체력 VS 링 위의 체력
섀도복싱은 실전에 도움이 될까?
[체육관 풍경 2] 복싱과 연애 II
3. 섀도복싱
프로테스트, 망신 or 성취?
관장에게 주제넘는 말을 했던 이유
그로기에서 벗어나는 법
복싱은 좋지만 감량은 싫다
[체육관 풍경 3] 강밀한 취미를 공유하는 관계에 대하여
4. 메서드
맞지 않아서 자존심이 상했던 날
자만심과 주눅 듦 사이에서
부상에 대처하는 자세 1
최선을 다했어?라는 폭력적인 말
[체육관 풍경 4] 변덕스러운 겁을 잠재우는 법
5. 스파링
맞을 수 없다면, 때릴 수 없다
차가운 복서와의 스파링
복싱은 위치싸움이다
앞 손이 중요하다
[체육관 풍경 5] 어제 보다 더 아름다워지려는 복서들에게
6. 드디어, 프로 복서
복싱은 위험해!라고 말하는 이들에게
부상에 대처하는 자세 2
서른일곱 살, 신인왕전에 나서며
프로 복서, 저주를 풀다!
[체육관 풍경 6] 복싱이 주는 절정의 쾌감
7. 프로 복서, 그 이후의 이야기
시합 그 후 이야기
다시 시합을 나가지 않는 이유
넘어야만 하는 산
소중하지 않은 싸움은 없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