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제철 먹을거리를 찾아 떠나는감동여행!
1년 사계절, 먹을거리 여행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국내 최초 맛 칼럼니스트인 저자 황교익이 지난 3년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
www.naver.com)의 음식 관련 캐스트에 연재하며독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던 150여 개의 글 가운데 계절감이 뚜렷하고, 생산지 역시 여행하기에 손색이 없는 것들을 가려 뽑았다.먹을거리에 대한 역사적 유래에서부터 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우리 민족의 생활상까지 인문적 시각으로 담아냈으며, 풍부한 사진과 스토리로 재미를더했다. 주말마다 이 책에 나오는 먹을거리를 찾아다닌다면 1년이 걸리겠고, 실제로 생산지에 가지 않는다 해도 계절에 따라 우리 땅과 바다에서생산되는 먹을거리를 생각해 보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저자 황교익
1962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나 1980년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중앙대학교신문방송학과를 나와 농민신문사에서 10여 년간 일하며 농산물과 향토 음식을 취재했다. 2002년부터 (사)향토지적재산본부에서 지역 특산물의 취재및 발굴, 브랜드 개발 연구를 했다. 국내 최초의 맛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20여 년간 한국음식문화에 대해 고찰하고 사색한 내용을 담은 미각입문서 『미각의 제국』(따비, 2010년), 한국인의 현재적 음식 문화론 『한국음식문화박물지』(따비, 2011년) 등을 펴냈다. 그 외 『소문난옛날 맛집』(랜덤하우스, 2008년),『맛따라 갈까보다』(디자인하우스, 2000년) 등의 저서가 있다. 2010년부터 3년간 네이버캐스트에한국의 특산 먹을거리들을 취재하여 연재하였다.
■ 차례
봄
진주 딸기 | 겨울을 잊은 봄의 열매
담양 죽순 | 서늘한 대숲의맛
부안 격포 주꾸미 | 알, 살, 먹물, 내장의 조화
속초 가자미 | 동해 서민 식탁의 생선
정선 곤드레 | 밥이었던 나물
지리산 고로쇠 수액 | 달콤한 봄의 물
청도 한재미나리 | 남녘 산기슭 봄의 향
통영 멍게 | 쌉쌀 달콤한 바다의 꽃
광양 매실 | 향기 혹은 건강의 과일
하동 녹차 | 지리산의 기운이 담겼다
하동 재첩 | 섬진강 물빛의 맛
당진 실치| 투명한 살에 든 것은 여린 봄바다
소래 꽃게 | 당일의 알밴 봄 꽃게
완도 전복 | 달콤하고 순한 바다
여름
고성 성게 |가시 껍데기 안의 고운 바다
부산 꼼장어 | 징그러워도 맛은 있다
곡성 멜론 | 다디단 연녹색의 속살
김천 자두 | 달콤한여름의 향
영광 법성포 굴비 | 조기에 손과 자연이 더해진 명품
영암 무화과 | 남도 늦여름의 맛
음성 맹동 수박 | 여름과일채소의 여왕
장호원 복숭아 | 고운 속살의 달콤함
홍천 찰옥수수 | 부드럽고 차진 강원도의 맛
신안 민어 | 서해안여름의 진객
서천 북산리 앵두 | 이뿐이 금순이의 과일
의령 망개떡 | 떡보다 나뭇잎
가을
가평 잣 | 고소함의 끝
고창 풍천장어 |기름진 살의 맛
남당리 대하 | 바다 내음과 단맛의 조화로움
남원 미꾸리 | ‘가을 추’자가 붙은 추어(鰍魚)
보성 전어| 고소한 가을의 전설
보은 대추 | 놀랍도록 단 생과일
안성 포도 | 초가을 햇살의 맛
임진강 참게 | 가을 강이 채우는여린 속살
천안 호두 | 품격 있는 고소함
풍기 사과 | 소백산이 키운 과일
서산 우럭 | 겉이 검어 오히려 더 하이얀 살
수원 갈비 | 부자 동네였던 흔적
겨울
강릉 초당두부 | 고소한 콩과 간간한 바다의 만남
거제 대구 | 겨울 진해만의 진객
봉평 메밀 | 꽃보다 씨알
속초 양미리와 도루묵 | 여린 살과 알
원주 황골엿 | 캔디에는 없는 부드러운 단맛
인제용대리 황태 | 명태 몸에 겨울을 담다
제주 참조기 | 남녘 겨울 바다에 숨어들다
춘천 막국수 | 코끝 찡한 겨울의 맛
평창 무지개송어 | 이름만큼 고운 때깔의 물고기
포항 과메기 | 말린 꽁치를 날로 먹는다
춘천 빙어 | 오이 맛이 나는‘호수의 요정’
간월도 자연산 참굴 | 잘지만 단단한 ‘명품’굴
나주 영산포 홍어 | ‘전라도의 힘’
울진 대게 | 탱글한게살맛의 지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