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ff8040>2010 문화체육관광부우수교양도서 선정
■ 책 소개
‘몸’에만 집중하여 몸을 세부적으로 분석했던 서양의학과 달리, 인체를 몸과 마음,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소우주’로 보는 한의학의 본질을 탐색하여 우리 몸에 대해 독자들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과 동 대학원 석·박사과정을 함께 수학한 두 한의사의 신개념 한의학 건강서로, 매일 환자를 접하는 저자들이 머리카락부터 눈, 코, 귀,입, 자궁, 피부, 체질까지 질병 치료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주제 60개를 선별하여 수록했으며, 우리 몸 전체 성질을 알아보며 환자를치유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여러 가지 질병 관련 지식을단순히 나열하거나 어떤 식품이 건강에 좋다는 식의 막연한 설명에서 벗어나, 한의학의 근본 원리를 찬찬히 풀어내고 있다. 『동의보감』에 수록된원문이 표어로 인용되어 흥미를 끌어내고, 어려운 한자와 한양방 의학 용어를 차근차근 설명하면서 한의학의 핵심 원리를 깨치도록 도와준다. 또한650개가 넘는 각주를 통해 고전의 원문을 읽으며 다양한 상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의학을 공부하는 한의학도들에겐 필독서이고, 건강에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겐 수준 높은 교양서이다.
■size=2 &> 저자
안세영 - 한의학 박사로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신계내과 과장을 지냈다. 전남 목포에서 출생하여 광주일고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 입학했다. 이후 대학원에서는 석사박사과정을, 경희의료원 한방병원에서는 수련의 임상연구원 임상강사 과정을 마치고 전임교수 발령을 받았으며,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현재는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주임교수이다. 「한겨레21」「한국경제신문」 등에 "성(性)클리닉"에 관한 칼럼을 연재해 큰 호평을 받았다. 주요 역저서로는 『갑상선 클리닉』『증거에 입각한 생약의학』『동의임상내과학Ⅱ』『잘못 알려진 한방상식 119』『의의병서 역소』『의폄 역소』『금궤요략심전역해』『본초정의』 등이 있다.
조정래 - 전주 신흥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한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줄곧 "행림(杏林)"의 뜻을 펼쳤으며, 현재는 조정래한의원을 개원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의의병서역소』『의폄 역소』『금궤요략심전 역해』 등이 있다.
■size=2 &> 차례
서문
1.머리카락-모발(毛髮) - 머리카락은 빗질을 자주 하는 게 좋다
2. 머리-머리(頭) - 사람의 머리는 하늘의 계곡에 비유되며 정신을간직한다
3. 머리-정신(神) - 신(神)은 몸의 주체이다
4. 머리-꿈(夢) - 혼백의 작용으로 꿈을 꾼다
5.머리-두통(頭痛) - 머리가 차가워서 생기는 두통은 없다
6. 머리-어지러움(眩暈) - 허약하지 않으면 어지러움이 나타나지않는다
7. 머리-중풍(中風) - 바깥으로 드러나는 형체만 무성하면, 사람 몸을 유지시켜 주는 진기(眞氣)는 쇠약해진다
8.얼굴-명당(明堂) - 환자를 보기만 하고서도 병증을 파악하는 최고의 의사를 신의(神醫)라고 한다
9. 얼굴-안색(顔色) - 병을 파악하는다섯 가지 색깔은 오직 얼굴에서 결정된다
10. 얼굴-이마(額) - 이마는 하늘 정원이다
11. 얼굴-땀구멍(玄府) - 땀은현부(玄府)를 적셔준다
12. 눈-눈(目) - 눈은 오장육부의 정(精)이 모여 형성된 것이다
13. 눈-눈의 질환 - 눈병은화열(火熱)에 의해 발생한다
14. 귀-귀(耳) - 맑은 양(陽)은 팔 다리를 채우고 탁한 음(陰)은 오장으로 주입된다
15.귀-총명(聰明) - 귀와 눈은 양기(陽氣)를 받아들임으로써 총명해진다
16. 귀-이명(耳鳴) - 귀울림은 귀머거리의 전조이다
17.코-코(鼻) - 입과 코는 암수작용을 하는 문호이다
18. 코-코의 질환 - 코는 폐의 구멍이다
19. 입과 혀-입과 혀(口舌) -입의 침은 혀를 적셔준다
20. 입과 혀-입과 혀의 질환 - 침 뱉는 습관을 버려라
21. 치아-치아(齒牙) - 치아는 뼈의 잉여부분이다
22. 치아-치아의 질환 - 잇몸이 드러나 치아가 흔들리는 것은 신(腎)의 원기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23. 치아-치아의양생(齒牙養生) - 몸의 양생에 입과 치아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24. 목-목(頸項) - 목의 풍부혈(風府穴)은 잘 보호해야한다
25. 목-편도(扁桃) - 인후에 생기는 질병은 모두 화열(火熱)의 범주에 속한다
26. 목-호혹(狐惑) 및 매핵기(梅核氣)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면 먼저 그 마음부터 다스려야 한다
27. 목-목소리(聲音) - 목소리는 신(腎)으로부터 나온다
28.목-언어(言語) - 말을 적게 해서 내부의 기운을 기르도록 하라
29. 등-척추(脊椎) - 등에는 삼관(三關)이 있어 정기(精氣)가오르내리는 도로가 된다
30. 등-단전(丹田) - 도(道)로써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야말로 병을 치료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31.등-남녀(男女) - 남자와 여자는 음양(陰陽)과 기혈(氣血)처럼 상호 보완적이다
32. 등-배통(背痛) - 등이 결리거나 아픈 것은 심신의과로 탓이다
33. 가슴-흉곽(胸廓) - 가슴을 흉격(胸膈)이라 부르는 데에는 합당한 의미가 있다
34. 젖가슴-유방(乳房) -남자의 신(腎)과 여자의 젖가슴(乳)은 생명의 근본이다
35. 젖가슴-유방의 질환 - 젖먹이가 없으면 마땅히 젖을 삭여야 한다
36.심장-심(心) - 심장은 임금의 기관이며, 인체의 생명활동을 총괄한다
37. 심장-심통(心痛) - 진심통(眞心痛)은 아침에 발작하면 저녁에죽고, 저녁에 발작하면 다음 날 아침에 죽는다
38. 폐장-폐(肺) - 폐장은 재상(宰相) 같은 기관이며, 다스리고 조절하는 역할을한다
39. 폐장-기침(咳嗽) - 해수(咳嗽)는 폐의 병증이지만 오장육부 모두와 연관된다
40. 폐장-천식(喘息) - 숨결이 가쁜것이 천식(喘息)이다
41. 배-해역(咳逆) - 딸꾹질(咳逆)은 기(氣)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치받쳐 올라 나는 소리이다
42.배꼽-배꼽(臍) - 배꼽은 마땅히 따뜻하게 해야 한다
43. 비장-비(脾) - 비위(脾胃)는 곡식 창고와 같은 장부이며,산고감신함(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五味)이 나오는 곳이다
44. 비장-오미(五味) - 매운맛과 단맛은 발산시키는 작용을 해서양(陽)에 속하고, 신맛과 쓴맛은 토하게 하고 설사시키는 작용을 해서 음(陰)에 속한다
45. 비장-설사(泄瀉) - 비(脾)는 맑은 기운을위로 올리고, 위(胃)는 탁한 찌꺼기를 아래로 내린다
46. 간장-간(肝) - 간장은 장군(將軍) 같은 기관이며, 모려(謀慮)를담당한다
47. 간장-주상(酒傷) - 술은 모든 약의 으뜸이다
48. 신장-신(腎) - 신장은 굳세게 만드는 작강(作强)의 기관이며,기교(伎巧)가 이로부터 나온다
49. 신장-부종(浮腫) - 기(氣)가 울체(鬱滯)된 병증은 흔히 부종을 동반한다
50.허리-요통(腰痛) - 요통은 모두 신허(腎虛)에 속한다
51. 자궁-월경(月經) - 여성의 병을 치료할 때에는 마땅히 월경부터 다스려야한다
52. 소아-소아(小兒) - 아이 기르는 열 가지 비법
53. 전음(前陰)-음위 - 음위는 체내의 기운을 너무 과도하게소모시켜서 간근(肝筋)이 손상된 까닭이다
54. 전음(前陰)-소변(小便) - 방광이 순조롭게 통하지 않으면 융이 되고, 잘 약속(約束)하지못하면 유뇨(遺尿)가 된다
55. 후음(後陰)-변비(便秘) - 인체 내에 진액이 충분해야 대변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다
56.수족(手足)-사지(四肢) - 팔 다리는 인체 모든 생명활동의 근본이다
57. 기육(肌肉)-비만(肥滿) - 비만한 사람은 중풍에 걸리는경우가 많다
58. 피부-피부병(皮膚病) - 기혈이 조화되어 기육(肌肉)이 윤택해지면 가려움증은 저절로 낫는다
59.체질-체질(體質) - 가장 좋은 약은 현명함을 사랑하고 선(善)한 행동을 즐겁게 하는 것이다
60. 의학-동서의학(東西醫學) - 이미 병든이후에 치료하는 의학(醫學)은 껍데기(粗略)에 불과하고, 아직 병들기 이전에 치료하는 수도(修道)야말로정수(精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