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부산-고성-두만강녹둔도-블라디보스토크로 연결되는 동해 바닷가 길,
그 길에 발을 디뎌 호흡하자.
■ 저자신정일
문화사학자. 도보여행가. 1980년대 중반부터 황토현문화연구소를 발족하여 동학농민혁명 관련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1989년부터 문화유산 답사를 기획 진행하여, 금강에서 압록강까지 한국 10대 강을 도보 답사하였고, 우리의 옛길인 영남대로와 삼남대로 그리고400여 개의 산을 발로 호흡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우리땅걷기모임’의 대표를 맡고 있다.
■차례
첫 번째 구간
첫째 날 해운대 → 임랑해수욕장
둘째 날 임랑해수욕장 →방어진항
셋째 날 방어진항 → 경주 입성
넷째 날 경주 양남면 → 포항시 대섬
다섯째 날 포항시 장기현 → 포항호미곶
여섯째 날 포항 호미곶 → 두호동 포항창
일곱째 날 포항 흥해 → 영덕 원척리
여덟째 날 영덕 원척리 →대진해수욕장
아홉째 날 대진해수욕장 → 고래불해수욕장
두 번째 구간
열째 날 경북 울진 → 덕신리
열하루째 날 산포리 신망양정 → 강원도삼척
열두째 날 삼척 갈남리 → 동막리 대진항
세 번째 구간
열셋째 날 삼척 죽서루 → 묵호항
열넷째 날 묵호항 → 강릉경포대
열다섯째 날 강릉 경포대 → 쌍한정
네 번째 구간
열여섯째 날 주문진항 → 양양
열일곱째 날 속초 설악산 → 고성송지호
열여덟째 날 고성 화진포 → 통일전망대
걸어가고픈 땅, 북녘
고성, 화담 서경덕의 자취를 더듬다 | 해금강, 바다에서 만나는 만물상| 삼일포, 신선의 발길을 3일이나 묶어 놓은 선경 | 금강산, 산의 재자才子일만이천 봉 | 단발령, 금강산 전경을 마주하고 있는 고개 |시중호, 모래톱에 피는 해당화 | 통천, 인어를 낚던 바다마을 | 안변 학포, 아름다움으로 중국 절강(浙江)의 서호(西湖)에 견줄 만하다 |원산, 관북지방 해륙 교통의 요충지 | 명사십리(明沙十里), 붉은 해당화 꽃주단 | 영흥만, 설화와 전설로 생명을 얻다 | 영흥군, 여진족방어를 위해 축성한 삼관문 | 광포, 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 | 흥남부두, 흥남철수작전지 | 홍원, 땅이 궁벽져 구름과 연기가 고색 짙다| 북청, 인재를 배출하고 품어 준 땅 | 이원군, 진흥왕순수비인 마운령비 | 학사대, 만 권의 책을 쌓은 듯한 기암괴석 | 마운령, 관북의관문 | 길주, 고구려 땅을 점령했던 여진을 정벌하다 | 칠보산, 개심사를 품은 함북의 금강산 | 경성, 동해안 최북단 항구 도시 | 경흥군,한반도 동해 트레일 종착지 | 두만강, 중국, 러시아와 국경을 이루어 흐르는 강 | 녹둔도, 이제는 러시아에 귀속된 국토 최북단 모래섬 | 너무아름다워 슬픈 길, 여정을 끝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