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총 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생명"편은 원음과 원양의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원동력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본다. 제2편 "진단"편은 첨단 진단기기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내재한 동태평형의 상황을 파악해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증상과 질병을 파악하는 한의학에 대해 소개한다. 제3편 "치료"편은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고파괴된 동태평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치료와 원리를 파헤친다. 제4편 "팔법"편은 보허와 거사의 원칙을 통해 다채로운 치법을 연출할 수 있는한의학의 한법, 토법, 하법, 화법, 온법과 청법, 소법, 보법에 대해 소개한다.
& 한의학은 어렵다는 세간의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쉽게 설명하려 했으며,한의진단의 우수성과 처방 및 치병의 이치를 이해하고, 건강과 질병을 바라보는 전혀 새로운 눈을 갖도록 돕는다.
& ■ 저자 탕윈
1997년절강중의학원(浙江中醫學院) 졸업. 예신먀오(葉新苗) 교수를 비롯해 중의학의 명의(名醫)들을 사사(師事). 현재 절강대학의학원(浙江大學醫學院)부속 제1병원 중의 주치의. 절강성 중의약학회(中醫藥學會) 의사분과위원회(醫史分科委員會) 위원으로 사무 총괄. 「중의논단(中醫論壇)」을 비롯한여러 매체에 연구논문과 칼럼 게재.
& ■ 역자
이문호(李汶鎬) -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한의학박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 침구학 교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 교수.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교수. 강남차한방병원 침구과 수석과장 등 역임. 현재 강남제일한의원 원장으로 경락경혈학회 감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외래교수. 주요 논저로 「사상체질분류에 객관성 부여를 위한 시도(試圖)」「사상체질유형과 체격 및 신체형태지수와의 비교연구」「금연침(禁煙鍼)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요골신경마비(橈骨神經麻 )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및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의약침이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이명(耳鳴)의 이침선혈법(耳鍼選穴法)에 대한 연구」「약침요법의 소개 및 문제점 고찰」 등 연구논문을 비롯해『약침요법(藥鍼療法)』『경락도해(經絡圖解)』등 다수가 있다.
& 김종석(金琮錫) - 단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졸업하고 북경 제2외국어대학에 유학하였다. 현재 출판기획, 편집 및 번역에 종사하고 있다. 『경혈학(經穴學)』『경락도해(經絡圖解)』『망진(望診): 황제내경과 서양의학이 만났다』『한의학의 원류를 찾다 : 易學과 韓醫學』『일침(一鍼) : 穴 하나로 病 하나를 고친다』 외 다수의 편집을맡았으며, 번역서로 『망진(望診) : 황제내경과 서양의학이 만났다』이 있다.
& ■ 차례
추천사 - 생동감 넘치게풀어가는 한의학 이야기
저자 서문 - 불신의 위기에서 벗어나야 한다
들어가는 말 - 한의학을 신비의 제단에서끌어내려라
& 제1편 : 생명(生命)
01 건강의본질
02 질병의 발생
03 외사(外邪)로 인한 질병
04 생명의 기본물질
05 인체 정기(精氣)의 창고
06정지(情志)와 질병
07 음식의 통로
08 내생오사(內生五邪)
09 담음(痰飮)과 어혈(瘀血)
& 제2편 : 진단(診斷)
10망진(望診)
11 설진(舌診)
12 문진(聞診]
13 문진(問診)
14 맥진(脈診)
15 허(虛)와실(實)
16 온열병(溫熱病)
& 제3편 : 치료(治療)
17 한약의치료원리
18 처방의 비밀
& 제4편 : 팔법(八法)
19한법(汗法)
20 토법(吐法)
21 하법(下法)
22 화법(和法)
23 온법(溫法)과 청법(淸法)
24소법(消法)
25 보법(補法)
& 맺음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