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연결해 한눈에 통찰하는
세상에 없던 미술수업
예술가의 삶과 그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의 삶 자체를 한 번에 유기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예술은 더 이상 다가가기 어려운 대상이 아닐 것입니다. 예술작품이 당대 사회로부터 현재 우리들의 시대까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예술사를 총제적으로 읽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고 아름다운 미술수업〉은 그래서 탄생했습니다. 마치 유럽의 어느 박물관에 들어선 것처럼 거장의 원작과 그에 얽힌 이야기를 한눈에 감상하면서, 동시에 화가의 생애에 얽힌 이야기까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면 이보다 재미있고 풍성하며 아름다운 수업은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이것이 ‘열림원어린이’가 〈작고 아름다운 미술수업〉에 여러분을 초대하는 이유입니다. 첫 번째 주인공 르누아르에 이은 다음 예술가는 네덜란드 후기 인상주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입니다. 반 고흐는 진실한 사람들을 화폭에 담으려 노력했으며 그들을 향한 애정으로 작품을 가득 채웠습니다. 또한 그는 눈앞에 펼쳐진 자연 그대로를 표현하고자 색채를 과감히 사용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 책은 가난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반 고흐가 다양한 직업을 거쳐 진정한 화가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담아냈습니다. 또한 남동생 테오와 주고받은 편지, 고갱과의 우정과 반목에 따른 반 고흐 정서의 변화 등 예술가의 일생을 따라가며 시기에 걸맞는 주옥같은 작품을 수록하여, 그의 물질적, 육체적, 정신적인 여러 상황과 그가 거주하던 지역적 특색에 따른 작품의 변화까지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책의 말미에 있는 ‘반 고흐 미술관’ 코너는 마치 뮤지엄에 도착한 것처럼 생생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작고 아름다운 미술수업〉을 통해 여러분 스스로가 위대한 작품의 큐레이터가 되어보고 커다란 세상의 이야기를 펼쳐나가길 바랍니다.
■ 그림/만화 반 고흐
그루스 준데르트라는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고흐는 1880년 화가가 되기로 결심할 때까지 화상점원, 목사 등 여러 직업에 종사하였다.1881년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주로 브뤼셀·헤이그·앙베르 등지에서 노동자·농민 등 하층민 모습과 주변생활과 풍경을 담았다. 1886년 화상점원으로 일하고 있는 동생 테오를 찾아서 파리로 온 고흐는 베르나르와 툴루즈 로트레크 등과 알게 되었다. 고흐는 인상파의 밝은 그림을 접함으로써 그때까지의 어두운 화풍에서 밝은 화풍으로 바뀌었으며, 정열적인 작품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곧 파리라는 대도시의 생활에 싫증을 느껴 1888년 2월, 보다 밝은 태양을 찾아서 프랑스 아를로 이주하였다. 아를로 이주한 뒤부터 죽을 때까지의 약 2년 반이야말로 고흐 예술의 참다운 개화기였다. 그러나 그해 12월 고흐는 정신병 발작을 일으켜 면도칼로 자신의 귀를 잘라버렸다. 그 후 고흐의 생활은 발작과 입원의 연속이었으며, 발작이 없을 때에는 그 동안의 공백을 메우기라도 하려는 듯 그림을 마구 그렸다. 한때 건강회복으로 발작의 불안에서 벗어나는 듯하였으나 다시 쇠약해져 끝내 권총자살을 하였다.
유튜브: youtube.com/@ogbro
■ 저자 김미진
미국 메릴랜드 인스티튜트 칼리지 오브 아트 Maryland Institute College of Art에 서 예술학으로 학사 학위를, 타우슨 대학교 Towson University에서 예술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전시회를 가졌고, 1995년에는 장편소설 《모짜르트가 살아 있다면》을 발표하여 작가로 등단하였습니다. 연세대학교, 단국 대학교에서 ‘미술사’ ‘서양 미술사’ ‘미학특론’, 숭실대학교 예술창작학부에서 ‘소설창작실습’ ‘소설론’ ‘아동문학’을 강의했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책으로 《작고 아름다운 르누아르의 미술수업》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어린이와 예술가들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담겨 있습니다.
■ 차례
그리운 고향집 8
감자 먹는 사람들 28
파리의 몽마르트르 언덕 40
노란 집 54
우체부 룰랭 66
해바라기 78
붕대를 감은 반 고흐 90
별이 빛나는 밤 102
반 고흐는 누구인가요? 118
반 고흐 미술관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