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오래된 삶의 지혜
“아이들에게 왜 고전을 읽혀야 하는가?”
고전은 오랜 역사에 걸쳐 그 문학적인 가치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영향을 끼치는 작품을 말합니다. 고전은 고리타분한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수 세기에 걸쳐 인간과 사물의 본성을 관찰하고 탐색한 통찰이 담긴 지혜의 보고입니다. 저자에게 고전은 때로 “자기계발서가 되고, 어떤 날은 육아서가 되고, 어떤 날은 눈물의 일기장”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고전은 우리 일상에 가까운 텍스트입니다. “읽을 때마다 보이는 게 다르고 같은 문장이라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따금 멈춰서 일상을 다듬어갈 지혜가 담긴 글이 바로 고전”이라고 강조하지요.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어떻게 살아야 할까?’ 등 인생에서 마주하는 중요한 순간에, 고전은 좋은 길잡이가 되어줍니다. 인생의 모든 지혜는 결국 고전에 있습니다. 그렇기에 고전을 옆에 끼고 읽고 또 읽으라고 당부합니다.
고전 교육은 교과 공부처럼 효과가 바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교실에서 혹은 가정에서 스치며 나누는 대화 속에, 아직 실천은 어렵지만 그래도 잘해보고자 다짐하는 자투리 글 속에서 자기만의 힌트를 찾게 합니다. 고전을 읽으며 고개를 갸우뚱하고 반발심이 생기는 순간에(《명심보감》 아저씨는요. 상당히 꼰대 같으시네요!) 아이들의 생각이 자라고, 자신의 모양을 알아갑니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구나’라는 것을 발견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세워가는 것이지요.
부모와 아이가 고전을 나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내 아이와 맞는 고전 읽기 방법을 찾아봅시다. 독서 노트를 기록하거나, 글귀를 필사하거나, 대화만 하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내 아이의 강점에 따라 고전을 접하게 해주면 됩니다. 어떤 방식이든 꾸준히 해나가는 게 더 중요합니다.
■ 저자 이은정
책을 좋아하는 15년 차 초등교사입니다. 매일 아침 고전, 동시, 그림책을 나눕니다. 아이의 통통 튀는 말을 들으면 신이 나고, 아이의 빛깔 있는 글을 읽으면 좋습니다. 칠판 필사를 즐겨합니다. 아침마다 고전 글귀를 칠판에 적어두고 아이들이 어떻게 읽는지 기다리는 게 하루의 시작입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교과 공부뿐만 아니라 작은 사회를 경험합니다. 다른 사람과 어떻게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지 배우고, 그 과정에서 내가 누구인지 알아가지요. 아이들이 자기 삶에 중심을 잡기 위해서는 교과 공부를 넘어 인문학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마음의 기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지혜의 보고인 동양 고전을 아이들과 함께 읽었습니다. 동양 고전으로 아이들이 겪는 고민거리에 대한 해답을 찾기도 하고 아이들에게 꼭 전하고 싶은 삶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 책에는 아이의 생각과 마음 근력을 키워주는 고전 글귀와 더불어 생생한 아이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며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초등 독서 노트의 힘》이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starlight21210
■ 차례
들어가며
1부 초등학생에게 꼭 필요한 고전 가까이하기
1장 다시, 고전의 힘
왜 고전을 읽어야 할까요?
삶의 지혜를 배운다
나를 드러낼 수 있다
진정한 독서의 밑거름이 된다
천천히 읽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다
동양 고전은 실용적이고 활용성이 높다
2장 고전 읽기 처방전
어떻게 하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까요?
고전을 즐겁게 읽는 법
1) 흥미와 관심 유발하기 2) 마음에 드는 문장 찾기
3) 문장 필사하기 4) 파란색 펜으로 생각 쓰기
5) 대화 나누기 6) 친구와 함께 읽기
3장 부모와 학생을 위한 밀착 처방 열 가지
부모 편
한자 교육과 병행해야 할까요?
아이가 내용 해석을 잘못했어요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무슨 말을 어떻게 나눠야 할지 막막해요
필사만으로 효과가 있을까요?
학생 편
이런 걸 왜 해야 돼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하기 싫어요
쓸 말이 없어요
지금 시대와 맞지 않아요
2부 동양 고전으로 단단한 마음 키우기
1장 자존감이 높은 아이
다른 사람이 부러워요 ㆍ 《명심보감》
주목받고 싶어요 ㆍ 《논어》
불평할 일 투성이예요 ㆍ 《채근담》
귀찮아서 안 하고 싶어요 ㆍ 《명심보감》
인기가 많았으면 좋겠어요 ㆍ 《논어》
전 못해요 ㆍ 《맹자》
나는 누구일까요? ㆍ 《도덕경》
용기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ㆍ 《맹자》
2장 배움이 즐거운 아이
공부를 잘하고 싶어요 ㆍ 《순자》
왜 배워야 할까요? ㆍ 《명심보감》
‘배움’과 ‘생각’은 어떻게 다른가요? ㆍ 《논어》
새로운 경험이 두려워요 ㆍ 《명심보감》
왜 공부를 해야 할까요? ㆍ 《논어》
왜 책을 읽어야 할까요? ㆍ 《격몽요결》
목적을 이루어야만 성공한 삶일까요? ㆍ 《맹자》
어떻게 하면 계획을 잘 실천할 수 있나요? ㆍ 《명심보감》
3장 감정을 잘 다루는 아이
화가 나서 참을 수가 없어요 ㆍ 《손자병법》
왜 착하게 살아야 하나요? ㆍ 《명심보감》
마음이 너무 힘들어요 ㆍ 《열하일기》
고민만 산더미고 실천을 못 해요 ㆍ 《논어》
친구에게 질투가 나요 ㆍ 《채근담》
마음이 조급해요 ㆍ 《맹자》
남이 나를 괴롭게 해요 ㆍ 《명심보감》
한번 토라지면 오래가요 ㆍ 《채근담》
4장 관계 맺음이 좋은 아이
어른의 충고는 꼭 들어야 하나요? ㆍ 《채근담》
친구의 험담을 들었어요 ㆍ 《논어》
윗사람이 중요한가요? ㆍ 《명심보감》
친구 관계가 고민이에요 ㆍ 《논어》
부모님을 사랑하지만 자꾸 부딪쳐요 ㆍ 《명심보감》
친구가 내 마음을 몰라줘요 ㆍ 《맹자》
어려움에 처한 친구가 있어요 ㆍ 《중용》
형제자매와 갈등이 있어요 ㆍ 《사자소학》
5장 미래를 그리는 아이
실패가 두려워요 ㆍ 《격몽요결》
적성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ㆍ 《채근담》
어차피 해도 안 돼요 ㆍ 《대학》
아무것도 안 하고 놀고 싶어요 ㆍ 《채근담》
시작하기에 너무 늦은 것 아닐까요? ㆍ 《논어》
뭐부터 해야 하죠? ㆍ 《대학》
실천으로 옮기기가 너무 어려워요 ㆍ 《논어》
나에게 맞는 직업은 뭘까요? ㆍ 《손자병법》
나가며
부록 1 이 책만은 꼭 완역본으로 읽어보세요!
부록 2 동양 고전 초등 도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