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칭찬받고 우쭐대지 않게, 혼났다고 속상하지 않게”
정통 몬테소리와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대화법
몬테소리 교육과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에서는 한 명 한 명의 아이를 ‘막강한 능력을 지니고 태어난 학습자’이며 동시에 ‘권리를 지닌 어엿한 사회 구성원’으로 본다. 아이를 독립적인 개체로 바라보고 겸허한 태도로 그 의견을 존중하며, 나아가 함께 학습하는 동반자로 바라보고 대화하자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이 두 가지 교육법의 공통적인 핵심은 이 책의 주제와 같은 ‘아이 존중’이다.
아이가 도무지 말을 듣지 않을 때, 속에서 끓어오르는 화를 억누르며 부처님처럼 모두 받아줄 필요는 없다. 어쩌다 한 번 아이에게 사람 중심 칭찬을 하거나, 화를 이기지 못해 호통을 쳤다고 해서 아이가 금방 잘못되지는 않는다. 평소 아이를 ‘조건 없이 존중하는’ 대화법으로 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아이와 오랫동안 함께 있는 것보다는, 짧지만 함께하는 시간을 얼마나 충실하고 의미 있게 보내는지가 중요한 것이다. 부모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가능한 범위에서 하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 실천하고, 무엇보다 아이를 한없이 사랑해주는 현실적인 육아가 우리에게는 최선이다.
■ 저자 시마무라 하나코
몬테소리 교육과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전문가.
일본 조치대학을 졸업하고 캐나다 밴쿠버로 건너가 몬테소리국제협회(AMI) 교원자격면허를 취득했다. 이후 캐나다 몬테소리유치원 교원을 거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아동발달학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캐나다에 머물며 대학에서 유아교육 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다. 전문분야는 동기이론, 실행기능, 사회성 및 정서 학습, 유아교육의 질 평가, 몬테소리 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이다.
■ 역자 김은선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통역학과(한일 전공)를 졸업했다. 현재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마흔이 넘으면 쉬워질 줄 알았는데》 《불안하다고 불안해하지 말아요》《어색해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 《경영학 수업》《의욕의 스위치》 《있는 그대로, 지금 이대로》 등이 있다.
■ 차례
시작하며
제1장_부모의 말에 따라 아이는 달라진다
01 부모의 칭찬이 아이의 자주성을 해친다?
·아이를 대하는 두 가지 방법
·애정을 빼앗기는 아이
·아이를 ‘온전한 인격체’로 존중하고 있는가?
·아이에 대한 사랑은 ‘대가를 바라지 않는 선물’이다
02 ‘조건부 훈육’의 무서운 단점
·1 단기효과밖에 얻지 못한다
·2 ‘조건부 자기긍정감’을 갖게 된다
·3 부모 자녀 관계가 어긋난다
·4 다음 세대로 대물림된다
03 ‘무조건 훈육’을 실천하기 위한 5가지 조건
·무조건 훈육의 5가지 원칙
04 무조건 훈육의 원칙 1: 칭찬하는 법, 나무라는 법에 유의한다
05 무조건 훈육의 원칙 2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한다
·독립적인 어른으로 성장하길 바라지만, 지금은 순종적인 아이였으면 좋겠다?
·‘남자다움’, ‘여자다움’을 강요하지는 않는가?
·어른의 고정관념이 아이의 가능성과 경험을 제한한다
06 무조건 훈육의 원칙 3: 아이에게 좋은 리더가 돼준다
07 무조건 훈육의 원칙 4: 아이에 대한 기대가 적절한지 돌아본다
08 무조건 훈육의 원칙 5: 육아의 장기목표를 세운다
제2장_스스로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칭찬하기
01 ‘안이한 칭찬’에 주의한다
02 3가지 칭찬법, 무엇이 정답일까?
03 ‘형식적 칭찬’과 ‘사람 중심 칭찬’이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
·1 ‘칭찬 의존증’을 낳는다
·2 흥미를 잃어버린다
·3 도전정신이 약해진다
·4 동기가 약해진다
·CHECK 칭찬의 3가지 방법에 관한 연구
04 좋은 칭찬하기의 3가지 포인트
·1 성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한다
·2 구체적으로 칭찬한다
·3 열린 질문을 던진다
·칭찬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린다
·정말로 대단하다고 느꼈다면 “대단하다!”도 OK
칭찬법 CASE 01 글씨를 잘 썼을 때
칭찬법 CASE 02 집안일을 도왔을 때
칭찬법 CASE 03 친구를 다정하게 대했을 때
칭찬법 CASE 04 외모를 칭찬할 때
칭찬법 CASE 05 스스로 옷을 입었을 때
칭찬법 CASE 06 아빠의 얼굴을 그렸을 때
칭찬법 CASE 07 처음으로 변기에서 볼일을 봤을 때
칭찬법 CASE 08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넜을 때
칭찬법 CASE 09 발표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을 때
칭찬법 CASE 10 시험 성적이 좋았을 때
제3장_스스로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나무라기
01 벌을 주는 것이 잘못된 4가지 이유
·1 공격적이고 반발적인 태도를 부른다
·2 힘을 이용한 문제해결 방식을 정당화한다
·3 부모 자녀 관계에 균열이 생긴다
·4 벌을 받아도 반성하지 않는다
02 상과 벌, 두 개의 함정
03 좋은 나무라기의 4가지 포인트
·나무라기의 4가지 원칙
04 좋은 나무라기의 원칙 1: “안 돼!”, “아니야!”는 되도록 하지 않는다
·“그랬구나”, “네 마음은 이해해”라는 말부터 하자
05 좋은 나무라기의 원칙 2: 결과가 아닌 노력과 과정에 주목한다
06 좋은 나무라기의 원칙 3: 아이의 행동이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다
07 좋은 나무라기의 원칙 4: 부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I-message’ 만들기
·유의점
훈육법 CASE 01 벽에 낙서를 했을 때
훈육법 CASE 02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할 때
훈육법 CASE 03 티슈를 뽑으며 장난쳤을 때
훈육법 CASE 04 방이 지저분할 때
훈육법 CASE 05 주스를 쏟았을 때
훈육법 CASE 06 마트에서 떼를 쓸 때
훈육법 CASE 07 친구를 때렸을 때
훈육법 CASE 08 시험 성적이 좋지 않을 때
훈육법 CASE 09 숙제를 하지 않을 때
훈육법 CASE 10 귀가시간을 지키지 않을 때
제4장_아이와 가까워지는 듣기 습관
01 아이를 쑥쑥 자라게 하는 ‘액티브 리스닝’
·아이에게 온전히 집중하고 듣기
·부정당하지 않으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02 액티브 리스닝의 4가지 포인트
·1 보디랭귀지
·2 무조건 수용 정신
·3 반영
·4 ‘커뮤니케이션 바리케이드’ 배제
03 액티브 리스닝 실천법
·의기소침해 있는 아이와의 대화(유아~초등학교 저학년)
·의기소침해 있는 아이와의 대화(초등학교 고학년~중학생)
04 아이와 멀어지는 7가지 습관
·‘아이를 컨트롤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킨다
05 아이와 가까워지는 7가지 습관
·‘가까워지는 습관’은 극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제5장_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 Q&A
Q1 연령에 따라 다르게 대응해야 할까?
Q2 엄하게 꾸짖지 않으면 말을 듣지 않습니다
Q3 “게임은 하루에 30분만”을 지키게 하려면?
Q4 주위 사람의 칭찬,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Q5 편식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Q6 곧 중학생이 되는 아이, 이제라도 효과가 있을까?
마치며_ 무리하지 않는 육아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