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코로나19로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 속도
미래를 먼저 읽고 뉴노멀을 준비하는 자녀교육 지침서
우리는 눈앞의 등수, 입시만 바라보고 달리느라 너무 당연하고도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 바로 배움을 즐기고, 소통하고 연대하며, 자기만의 고유한 빛을 발하는 창의성을 키워주는 일이다. 아이가 진짜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하고 싶은 것은 뭔지, 강점은 어디에 있는지를 키워주는 교육이야말로 미래 교육이다. 과거엔 ‘명문대=성공’이란 공식이 꽤 유효했다. 이제 평생 보장된 직장이나 직업은 없다. 우리 아이들이 가지게 될 직업의 65%는 현재 존재하지도 않는다고 미래학자들은 전망한다.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이 탑재해야 할 건 정답을 외우고, 시험 보고 잊어버리는 걸 반복하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의 저자는 15년간의 기자 생활을 통해 이 사회가 빠르게 변화해가는 모습을 지켜봤다. 그럼에도 자신의 과거 학창 시절처럼 여전히 밤늦도록 학원을 오가는 학생들을 보며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이 책을 집필했다. 저자는 우리 아이가 어떤 미래에 살게 될지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한다. 일자리 지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떤 인재가 살아남을지를 보여주고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새로운 교육을 소개한다. 부모가 디지털 금수저를 물려주려면 어떤 자세로 아이들을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표준학습법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빈부의 격차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알려준다. 사이버불링(사이버 괴롭힘)을 당할 때의 대처법, 악플을 대하는 자세 등 세심한 부분까지 짚는다.
여전히 자녀의 시험성적, 등수에만 매달리며 입시만 바라보는 부모와, 코로나 이후 변화된 세계를 위해 미래 교육으로 아이에게 디지털 금수저를 물려주는 부모 중 당신은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 저자 임지은
대원외고, 이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했다. 시사월간지 〈월간중앙〉, 경제방송 〈머니투데이방송〉에서 15년 가까이 취재 기자로 일했다. 월간지에서는 〈임지은 기자의 톡톡 토크〉를 연재했고, 방송 기자 시절엔 〈기고만장 기자실〉 진행을 맡기도 했다. 2016년 삶의 터전을 브라질로 옮겼다. 현재 교육, 미래 변화, 트렌드를 취재하고 글을 쓴다. 쓴 책으로는 〈부모라면 놓쳐서는 안 될 유대인 교육법〉이 있다. 여러 역할 가운데 여전히 엄마 역할이 가장 어렵다. 아이 키우는 일이 막막할 때마다 육아서, 자녀 교육서를 펼쳐 들었다. 글로 배운 육아를 실전에 적용하고, 여전히 시행착오를 거치는 중이다.
기술 발달로 변화는 가속화하고, 점차 기계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무섭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도 바뀌지 않는 것이 있다면 우리나라 교육을 빼놓을 수 없다. 소모적인 입시 경쟁 속에서 아이들은 과거 부모가 받았던 교육 그대로를 답습하고 있다. 이 책은 코로나19로 훅 다가온 미래를 살펴보고, 미래를 살아갈 디지털 네이티브를 어떻게 길러야 할지 다각도에서 살펴본다. 여전히 성적, 등수, 입시만 바라보는 부모로 머물 것인가? 코로나 이후 변화한 세계를 대비해 디지털 금수저를 물려줄 것인가? 선택은 오직 당신에게 달렸다.
■ 차례
들어가는 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부모력
1장 내 아이는 어떤 미래에 살게 될까?
평균, 표준을 지향하던 ‘매스의 시대’는 갔다
tip.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여덟 가지
코로나가 앞당긴 미래
일자리 지도가 달라진다
애자일 인재가 살아남는다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새로운 교육
2장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부모 교육
디지털 금수저를 물려주자
tip. 아이가 스마트폰을 많이 한다면?
표준학습법이 달라진다: 디지털 리터러시
tip. 자녀의 나이와 상관없이 권장하는 디지털 육아 5대 원칙
디지털 세상에 필요한 자기 조절력
tip.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하면 어떻게 할까?
새로운 성공 방정식, 콘텐츠 크리에이터
코딩으로 생각하고, 만들고, 해결하라
tip. 부모를 위한 무료 코딩 강의
인공지능과 맞설 무기는 비판적 사고다
하루 15분 대화로 아이의 자기 표현력을 키운다
‘읽는 뇌’는 평생 삶의 무기가 된다
tip. 책 읽는 법과 읽은 후 놀이
평생 글쓰기 시대, WQ를 키워라
3장 미래 인재로 키우고 싶다면
“다르게, 자유롭게, 튀게 생각하라”
tip. 창의력은 훈련으로 길러진다
창의성의 기초 체력은 충분한 운동과 잠
‘협력하는 괴짜’로 키워라
호모루덴스 시대, 잘 놀아야 잘 산다
tip. 다른 나라 아이들은 어떻게 놀까?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면서 배운다
질문하는 아이가 길을 연다
자기 주도적으로 키우려면 주도하지 마라
tip. 코로나 시대 공부, 혼공법
4장 초불확실성 시대, 아이의 마음 근육이 먼저다
가장 시급한 조언, ‘너 자신을 알라’
tip. 덴마크의 ‘나를 공부하는 학교’
갈수록 중요해지는 ‘배우는 힘’
tip. 교실 혁명의 주인공, 무크
진정한 스펙은 건강한 자존감이다
tip. 부모의 자존감은 대물림된다?
‘실패 내성’을 길러라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마음의 힘, 회복탄력성
마음을 움직이는 자가 세상을 움직인다
인성 좋은 아이가 성공한다
에필로그,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