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딱딱한 개념 설명 말고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으로 살펴보는 로봇 인문학
음식점에서 음식을 주문하면 직원 대신 서빙 로봇이 음식을 가져다준다. 정찰 업무를 맡기 위해 군대는 군견 대신 로봇 군견을 데리고 간다. 비대면을 위해 마스크 쓴 배달원 대신 배달 로봇이 우편물을 전달한다. 이것이 과연 미래의 일일까? 아니다. 현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로봇 서비스이고, 점자 우리 일상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로봇들의 모습이다.
이 책은 영화라는 생생한 매체를 통해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로봇에 대해 알아보며, 로봇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물론이거니와 로봇과 관련된 사회의 영역과 기술, 파급력을 살펴본다. 오랜 기간 로봇을 취재해온 저자는 로봇을 이해하기에 좋은 영화들을 엄선하여 기술은 물론 인문, 사회 같은 다양한 측면으로 로봇에 대해 살핀다. 기술에 대한 설명만 나열하면 이해하게 어려울 개념도, 영화라는 좋은 스토리텔링 매체로 인해 쉽게 이해가 된다.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은 이 책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첨단 과학에 대한 지식과 소양을 쌓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미래 사회의 기술 흐름에 대한 안목을 얻게 될 것이다.
■ 저자 전승민
저자 전승민은 과학기술 분야 저술가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과학저널리즘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덕연구단지 과학신문 <대덕넷> 취재기자, 과학 미디어 기업 ‘동아사이언스’에 10년 이상 근무하며 월간 <과학 동아> 기자, 일간신문 <동아일보> 과학팀장, 온라인 과학뉴스사이트 <동아사이언스> 편집장 및 수석 기자를 지냈다. 현재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사이언스타임즈>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인간형 로봇기술의 발전과 한국 KAIST 연구진의 노력을 조명한 책 『휴보이즘』, KAIST 연구진의 세계 재난로봇경진대회 우승기를 그린 『휴보, 세계 최고의 재난로봇』, 한국 미라의 발생과 기원을 연구한 『500년 신비를 과학으로 풀다, 한국 미라』, 청소년들을 위한 디지털인문학 도서 『인공 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등이 있다.
■ 차례
들어가는 글
Theater 01 영화로 이야기하는 ‘로봇의 정의’
#01 100년 전 사람들이 상상한 최초의 안드로이드 ‘마리아’를 만나다 <메트로폴리스>
#02 로봇은 반드시 ‘무선 조종’이어야 한다고? 분분한 로봇의 기준에 대해 <철인 28호>
#03 인류를 구하는 영웅, 거대 로봇을 꿈꾸다 <퍼시픽 림>
#04 인공위성 부품일까, 인공지능 로봇일까? <로봇, 소리>
Credit Cookie 1 너도나도 ‘로봇’이란 단어를 쓰는 이유
Theater 02 영화 속 로봇으로 보는 미래의 ‘과학 기술’
#05 사이보그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로보캅>
#06 탑승형 로봇 기술의 미래, 우리는 언제쯤 로봇을 타고 다닐 수 있을까? <아바타>
#07 로봇의 운동 능력을 가장 현실적으로 그려 내다 <리얼 스틸>
#08 가장 현실성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그려 내다 <엣지 오브 투모로우>
Credit Cookie 2 현실 속 로봇 기술, 어디까지 와 있을까?
Theater 03 영화, 과학과 허구 사이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치다
#09 하늘을 나는 궁극의 웨어러블 로봇이 존재할 수 있을까? <아이언맨>
#10 의식으로 로봇을 움직이기 어려운 이유 <써로게이트>
#11 ‘생명체처럼 보이는 금속’의 정체를 밝혀라! <트랜스포머>
#12 사람의 기억과 자아를 로봇에 전송할 수 있을까? <채피>
Credit Cookie 3 영화 속 ‘그럴듯한’ 설정과 진짜 ‘로봇 기술’의 차이점
Theater 04 ‘생각하는 로봇’은 사람의 적일까, 친구일까?
#13 인간을 공격하는 ‘나쁜 인공지능’의 대명사 <터미네이터>
#14 인간의 사랑을 원하는 로봇 아이가 나타난다면?
#15 ‘인공지능 안드로이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싶다면? <엑스 마키나>
#16 인간의 기억을 가진 전자두뇌를 갖고 기계 몸을 입는다 <공각기동대>
Credit Cookie 4 생각하는 인공지능 로봇, 세상에 등장할 수 있을까?
Theater 05 영화로 살펴보는 미래의 ‘로봇 사회’
#17 내 성격과 딱 맞는 로봇과 친구가 되는 미래 <스타워즈>
#18 한 남자의 서글픈 삶으로 본 ‘로봇의 권리’ <바이센테니얼 맨>
#19 로봇 3원칙 창시자의 끝나지 않는 고민 <아이, 로봇>
#20 로봇은 새로운 종(種)으로 태어날 수 있을까? <오토마타>
Credit Cookie 5 로봇과 함께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