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지금 이대로 충분히 좋은 ‘엄마’이자,
타인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는 ‘내’가 되기로 했습니다
오늘과 내일의 경계를 알 수 없는 육아 굴레 속에서 매일을 해치우듯 살던 김화영 저자는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을 했다. ‘이런 삶을 얼마나 더 감당할 수 있을까? 아이를 낳은 건 나와 남편의 선택이었지만, 지금의 삶은 정말 내가 원하는 대로 흘러가고 있는 걸까?’ 『엄마이지만 나로 살기로 했습니다』는 그런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누구보다 일을 사랑했던 삼십 대 여성이 결혼을 하고, 세 아이를 낳고 키우며 얻게 된 일상의 질문들에 꼬박꼬박 답하면서 얻은 답들을 매일의 작은 사건과 함께 적어 넣었다.
저자는 7년 동안 육아를 지속하면서 ‘부모가 자식을 키운다’는 표현을 돌아보게 되었다고 말한다. 일곱 해가 지나는 동안 자란 건 아이와 본인 모두였다는 것을 깨닫고, 육아가 던져 준 의무와 책임감을 하나씩 내려놓는 연습을 하기로 결심한다. 아이를 낳고 엄마가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세상이 제시하는 기준을 모두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육아의 기준은 ‘내 아이들’이고 내 삶의 기준은 ‘나’라는 사실을 잊지 않기로 한 것이다. 이 책에는 김화영 저자가 누군가의 삶도 모방하거나 탐닉하지 않고 그저 나와 우리 가족이 좋으면 그만인 단순한 공식대로 살아가기로 한 결심과 그 실천의 과정이 담겨 있다.
■ 저자 김화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9년 동안 IT, 소비재, 패션, 국제 총회 등을 맡아 ‘워커홀릭’이라 불리며 일했다. 결혼 후 첫 아이를 출산하며 외벌이 남편과 본격적인 육아를 시작했고, 전업 주부 7년차인 지금은 삼형제를 키우고 있다. 유년기, 청년기, 신혼기를 지나 당도한 육아기는 ‘인생 4막’이자 가장 치열한 ‘육아 사막(Desert, 沙漠)’이기도 하다. 자매로 성장한 저자가 아들 셋을 돌보는 일은 매 순간이 도전이다. 다행히 유년기를 함께 보낸 동갑내기 첫사랑을 육아 파트너로 만나 부나방처럼 불사르는 매일을 살고 있다. 현재 <함께성장인문학연구원>의 연구원으로서 ‘사는 일’을 연구하고 있다.
브런치 brunch.co.kr/@hzerow
인스타그램 instagram.com/_hzero_w
■ 차례
프롤로그
◈ 한쪽 귀로만 듣는 지혜
모유 스타일이 아닌 엄마
사소한 불편을 함께 이겨내려 할 때
오늘의 집안일은 여기까지!
한쪽 귀로만 듣는 지혜
성숙한 가족이 되어가는 길
아이와 함께 자라고 있습니다
세상에 좋은 엄마는 없다
아이 고유의 영역을 지켜 주자는 약속
손 내미는 아이, 안아 주는 엄마
◈ 아이의 보폭으로 함께 걷는 길
여행이라는 고단하고 소중한 도전
아이의 세계에 타인이 들어왔을 때
아이의 보폭으로 함께 걷는 길
순수한 칭찬의 마력
극한 육아 총량의 법칙
다 같이 집안일을 하자
‘함께’라는 마법
가장 하기 싫은 일, 가장 못하는 일
좋은 가풍을 가진 가족이 되고 싶어
◈ 엄마라는 섬이 되지 않기 위해서
사소하게 웃는 버릇
잇츠 오케이! 그럴 수 있어
욕심이 탐욕이 되려고 할 때
몸은 튼튼, 마음은 단단하게
각자의 일상을 소중히 채우기
육아는 투게더
가족 관계의 적정 거리
기념일에 대처하는 방법
‘복福 짓는 법’ 배우기
우리는 역사가 될 거야
Home, Sweet Home
◈ 삶을 사랑하는 방식
오늘을 즐길 충분한 자격
소확행을 위해, 엄마는 오늘도
늙어가는 나를 껴안아 주기
부부 설렘 소생술
내 삶을 사랑하는 나만의 방식
진심으로 표현할 것
독박 육아와 욕과 클래식
내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은
나는 너라서, 너는 나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