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모든 교과 영역에 컴퓨터 과학을 통합하고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
〈Part I〉에서는 이 책의 전반에서 다룰 교육학 이론과 교수전략, 학습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정규 수업에서 컴퓨터 과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컴퓨터 과학 교사가 되기 위해서 어떠한 새로운 교수 전략을 도입해야 하는지 논의합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철학들은 교실과 교수법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후에 소개할 활동들이 왜 필요하고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Part II〉에서는 언어, 사회, 과학, 수학 등 네 가지 하위 섹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교과별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반영하고 교과 영역과 컴퓨터 과학을 실세계에 응용할 수 있는 교차점에 특별히 주목하며, 해당 교과 영역에서 컴퓨터 과학을 가르치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아울러 컴퓨터가 없이도 네 가지 교과 영역에서 컴퓨터 과학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가르칠 수 있도록 컴퓨터 과학 언플러그드 활동들도 함께 살펴봅니다. 각 섹션의 마지막 부분에는 컴퓨터 과학이 해당 교과 영역에서 다루는 실생활 문제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코딩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Part III〉에서는 컴퓨터 과학을 교실에 도입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에 주목합니다. 〈Part II〉에서 소개한 프로젝트들을 통해 학생들을 평가하고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각 교과 영역의 표준과 컴퓨터 과학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평가하고자 하는 요소들을 실제로 평가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접근법들을 소개합니다.
아울러 반드시 초보 프로그래머라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버그(bug)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오류, 결함, 또는 오류로 인해 올바르지 않거나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과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 저자 조쉬 콜드웰
코드닷오알지(Code.org)의 교육 프로그램 매니저로, K-8(유치원부터 중학교) 학생들을 위한 다채로운 컴퓨터 과학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와 협력하는 오픈 소스 지지자이기도 합니다. 중학교 교사 재직 시절에는 학생들의 관심사와 지역 사회의 이슈들을 컴퓨터 과학과 연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기반의 컴퓨터과학 및 로봇공학 과정을 개발하고 가르쳤습니다.
최근에는 커리큘럼 개발 과정 가이드를 비롯하여 전 세계의 교사들을 위한 전문적인 학습 워크숍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다른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컴퓨터 과학 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역자
곽소아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학을 전공하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강의하고 있다. 학부시절 북아프리카에 있는 모로코 아이들과 함께 스크래치 프로젝트를 만든 것을 시작으로 코딩교육의 사각 지대에도 관심을 갖고 작은 노력들을 이어가고 있다.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창의적 활동에도 관심이 많다. 올해 여섯 살이 된 아들, 얼마 전 태어난 딸과 함께 일상의 창작을 즐기며, 신나는 놀이의 재료가 되는 코딩 활동과 도구들을 고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초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 두렵지 않은 코딩교육』이 있다.
장윤재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부에서 앨런 케이(Alan Kay)와 스퀵(Squeak)을 만나 아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해왔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에서 재직하며 코딩 교육 관련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여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정보 교사 양성을 위한 강의를 맡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코딩 플레이그라운드』 『초등교사를 위한 코딩교육 길라잡이 : 두렵지 않은 코딩교육』이 있다.
■ 차례
시작하며
이 책을 소개합니다
Part 1. 도구와 전략
CHAPTER 1) 주요 교과에서 컴퓨터 과학 가르치기
CHAPTER 2) 수업 전략
CHAPTER 3) 적절한 도구 선택하기
Part 2. 주요 교과에서 코딩하기
CHAPTER 4) 언어 교과에서 코딩하기
CHAPTER 5) 사회 교과에서 코딩하기
CHAPTER 6) 과학 교과에서 코딩하기
CHAPTER 7) 수학 교과에서 코딩하기
Part 3. 평가 및 피드백
CHAPTER 8) 코딩 프로젝트 평가하기
CHAPTER 9) 디버깅과 지속하기
결
론
부록
A) 학습자료
B) 앱 랩 세팅하기
C) 또 다른 언어 고려하기
D) 2016 ISTE 학생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