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아빠육아, 아빠와의 유대 강화로 아이들의 사회성과 자신감을 키워준다!
이 책은 아빠, 엄마, 아이들 가족 구성원 모두가 육아휴직을 통해 함께하며 삶의 밸런스를 맞추고 행복할 수 있었던 방법을 저자의 경험과 사례를 통해 풀어나갔다.
라테파파(latte papa)란 말이 있다. 한 손엔 커피를 다른 한 손엔 유모차를 끌고 다니는 아빠를 가르키는 말이다. 세계 최초로 남성 육아휴직을 도입한 스웨덴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세종대왕 때 이미 시행한 바 있다. 《세종실록》에는 노비들의 출산을 걱정하며 세종이 직접 형조에 명을 내려 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100일 동안 휴가를 주게 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세종은 더 나아가 남편의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를 실시하기에 이른다.
남편의 육아휴직 제도는 엄마의 심리적 안정 및 보호 차원에서도 추천되어야 하지만 아빠와의 유대 관계가 돈독한 아이는 사회성이 발달해 자신감과 자아성취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니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지금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로 우리는 위기와 불안, 불확실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일자리, 교육, 건강관리 등을 비롯해 일하는 방식, 소비하는 방식 등 우리의 삶이 송두리째 바뀌고 있다. 육아 역시 바뀌어야 한다. 육아=여성, 생계부양자=남성이라는 성역할을 뒤집어야 한다. 인성과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업력, 공감력을 키워주는 육아를 해야 한다. 바로 아빠들의 육아휴직이 중요한 이유다.
■ 저자 최현아
남편을 육아휴직 시킨 전업주부, 거제와 서울을 오가는 삶, 연년생 남매 맘, 독박육아, 디지털 노마드와 같은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다. 보통은 아내가 워킹맘일 때 남편이 육아휴직을 한다. 어떻게 해서 저자가 전업주부임에도, 그녀의 남편은 육아휴직을 하게 되었을까?
저자는 독박육아를 이겨내려고 애쓰다 실패했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그녀는 실패를 깨끗이 인정한 후 남편에게 육아휴직을 요구했고, 행복을 되찾았다. 저자에게 남편의 육아휴직은 나를 찾는 여정이자 또 다른 세상을 여는 문이었다. 실직의 두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여전히 시도하기 어려운 것이 아빠들의 육아휴직이다. 그녀는 디지털 노마드라는 직업이자 라이프스타일에서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고, 지금은 남편만큼의 수입을 일구고 있다.
■ 차례
프롤로그
행복은 행복을 선택한 사람만이 누릴 수 있다
1장 육아우울증과 미니멀라이프
설마 내가 육아우울증을
육아우울증 탈출, 미니멀라이프
육아휴직의 시작, 미니멀라이프
이제 돈 버는 사람은 없습니다
돈이냐, 시간이냐
어쩌다 육아휴직
살고자 한다면
미니멀라이프 Q&A
2장 전업주부 남편이 육아휴직을?
회사님, 한 가족을 살리셨어요
생활이 가능해?
저도 돈 좋아합니다만
부모님이 도와주셔?
네, 저는 전업주부입니다
행복을 보장할 직장은 없다
그래, 지금이 멈춰야 할 때
3장 그해 봄, 나의 휴가는 시댁살이
힘 빼고 살 타이밍
돈이 아닌 일상을 버는 삶
거제댁이 미쳤구나
또 미친 듯이 비우다
계절의 여왕을 찾았다
시부모님과의 관계 Q&A
4장 그해 여름, 비로소 거제 바다를 즐기다
매일 바다에 가다
노쇼핑 일지
아이들 책이 왜 이렇게 없어요?
공유경제의 꽃, 육아
단유, 서운함은 1도 없다
나는 엄마 공주님
저, 나쁜 엄마인가요
육아는 엄마도 키우는 일
시간제 엄마로 사는 법
육아휴직 가계부 Q&A
5장 그해 가을, 현모양처를 버리다
현모양처를 꿈꿨던 나의 내면아이
실패한 모성애
한 명만 아파도 모두가 아파지는 공동체, 가족
페미니스트는 아닙니다만
‘아줌마’라는 한없이 만만한 존재
노키즈존과 맘충
독박육아는 학대다
하루살이 엄마의 생존법
육아우울증 Q&A
6장 그해 겨울, 나와 마주하다
나를 찾게 한 마지막 기회, 육아휴직
김장하다 도망친 며느리
호텔에서 하루 살기
‘혹시나’ 했던 일은 ‘역시나’ 일어나지 않았다
엄마의 자아 찾기 Q&A
7장 다시 봄, 그리고 우리 집
다시 거제? 새로운 거제!
육아의 이유
어린이집 적응은 엄마 먼저
뭣이 중헌디!
부부 관계 Q&A
8장 디지털 노마드족, 꿈을 이루다
아줌마 티 내지 마세요?
커피값 아끼지 맙시다
자아 찾기를 위한 수련, 블로그 1일 1포스팅 하기
유튜브는 ‘엄마 유튜버’를 환영한다
출판사에 까이다
엄마의 시간 관리
주부들이 SNS를 해야 하는 7가지 이유
첫 방송 출연, 운명이었을까?
아줌마, 삶을 브랜딩 하다
글과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나 자신을 브랜드로 만들기 Q&A
에필로그
육아휴직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는 동화가 아닌 지극히 현실적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