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초등학교 선생님 출신의 심리상담가가 들려주는 아이를 크게 키우는 방법!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공부를 우선시하느라 노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친구도 관리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를 보면 이건 결코 효율적인 방식이 아니다. 우리의 뇌는 하나의 영역만 잘 발달되고 다른 영역에서 발달이 부진한 경우 그 부진한 것의 영향을 받는다. 뇌도 서로 연계되어 영향을 주기에 골고루 발달되어야 뇌 발달도 상승효과를 본다는 것이다.
즉 100을 최고점으로 할 때 공부머리 80에 사회성 20인 아이보다는 공부머리 50에 사회성 50인 아이가 훗날 더 똑똑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다시 말해 공부머리도 사회성이 바탕되어야 자라게 된다. 애써 공부시켜도 사회성이 부족하면 도루묵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우리는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다. 많은 어린 영재들이 사회성 부족으로 사춘기 무렵, 평범한 지능으로 돌아가는 사례들을 보면 알 수 있다. 번아웃키즈가 되어 뒤늦은 일탈에 빠져들기도 한다. 사회성이 먼저 되어야 공부도 가능하다는 것을 다시금 되새겨야 한다.
■ 저자 이영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아이들을 만나기 시작했으며 모든 아이들이 저마다 지닌 빛깔을 뽐내며 자라게 할 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 끝에 심리상담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93년부터 소아정신과, 아동상담센터의 전문상담가로 활동하였고, 2010년부터 서울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으로 있다. 상담 외에도 건강가정지원센터 및 다수 기관의 부모교육 전문 강사, 삼성의료원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외래 연구원 및 외래 강사, 한국재활협회 멘토링 슈퍼바이저, EBS [부모], BBS 라디오 방송, 법원 가사상담위원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부모와 아이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며 건강한 가족 만들기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 동남보건대 겸임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흔들리지 않고 ADHD 아이 키우기》, 《엄마도 상처받는다》, 《학교 가기 싫은 아이, 학교 가고 싶은 아이》, 《1013끼리 통하는 두근두근 핑크 노트2》, 《공부왕의 최강비밀 노트》,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20가지 인생 공식》, 《내 고민을 알기나 해?》가 있다. 《특수아동 치료교육 및 심리상담》, 《초등인성교육 프로그램》, 《중등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공동연구하여 지었으며, 편역서로 《학습장애 클리닉》,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클리닉》이 있다.
■ 차례
* 프롤로그 - 아이의 사회성이 아이의 행복을 결정한다
PART I. 아이의 사회성, 이대로 괜찮은가요?
1장. 지금 내 아이가 사회성을 빼앗기고 있다
1. 놀이터에서 보낸 시간이 인생의 무엇을 결정하는지 모르는 부모들에게
2. 우리는 사회성에 대해 한참 잘못 알고 있다
3. 사회성의 곪은 상처가 사춘기에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4. 왕따에 대한 불안은 떨칠 수 없다
5. 내 아이도 나쁜 아이일 수 있다
2장. 아이의 성장 시기마다 사회성의 결정적 요인이 달라진다
1. 사회성, 선천적인가? 후천적인가?
2. (생애 초기 0~2세) 부모와의 애착, 사회성의 첫 단추!
3. (유아 전기 3~5세) 생애 첫 단체생활이 시작되다!
4. (유아 후기 5~7세) 본격적으로 사회적 관계가 대두되고 갈등도 다양해진다!
5. (아동기 8~11세) 동성 친구들과의 놀이가 즐겁다!
6. (사춘기) 내 삶의 0순위는 친구!
3장. 부모의 사회성, 아이의 사회성에 걸림돌인가, 디딤돌인가?
1. 사교성이 적은 부모, 저 같은 분 있나요?
2. 내가 내 아이의 사회성을 망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자녀의 사회성을 방해하는 부모의 생각 유형
3. 혹시 부모를 통해 남 탓을 먼저 배우고 있지 않나?
4장. 아이의 사회성을 회복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관계가 좋으니 공부도 즐겁다!
2. 사회성 지능, 행복한 아이의 비결이 되다
3. 사회성이 좋은 아이들에게는 보이지 않은 역량들이 있다
4. 자녀의 사회성 회복을 돕기 위한 주요 특성들을 꼭 이해하자
PART 2. 아이의 사회성 문제, 어떻게 도와야 할까? -Q&A
5장. 친구를 대하는 내 아이의 태도는 어떠한가요? -개인에게 필요한 특성들-
1. 친구랑 놀고 싶어 하나요? (대인동기)
2. 친구를 어려워하나요? (대인신념)
3. 친구를 사귀는 기술이 있나요? (대인기술)
6장. 내 아이가 갖춰야 할 사회적 기술과 특성은 무엇일까? -관계 형성에서 필요한 특성들-
1. 관계에서 표정이나 옷차림에 신경 쓰나요? (대인지각)
2. 관계에서 친구의 말과 행동을 오해하나요? (대인사고)
3. 관계에서 자신과 친구의 감정을 적절히 느끼고 표현하나요? (대인감정)
4. 대인관계에서 너무 즉흥적인 행동을 하나요? (대인행동)
7장. 아이의 사회성에서 부모가 자주 묻는 그 외 질문들 -FAQ-
1. 자녀의 친구 갈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2. 자녀와 선생님과의 관계를 어떻게 도와야 하나요?
3. 또래 부모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에필로그 -나를 통찰하며 남과 공감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