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6월청소년권장도서
윤리학이 인생 최대의 수수께끼에 답하다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규범들이 있다. 거짓말 안하기, 주어진 일 열심히 하고 착하게 살기 등등 이들 규범은 도덕이나 윤리라는 이름으로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우리의 삶과 부딪힌다. 그런데 왜어떤 행위는 해도 좋고 어떤 행위는 하면 안 될까? 도대체 옳고 그름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고, 나아가서 어떻게 사는 게 좋은삶일까?
이 책은, 철학자들이 일깨워주는 삶에는 다그만한 철학적 이유가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삶의 다양한 가치와 규범에 관한 수수께끼를 현실 문제와 연관지어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한편으로,철학적 사고방식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게끔 손을 이끌어준다. 그것은 결국 오늘을 왜, 어떻게 살아야하는지에 대한 답이다.
■ 저자이창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이래 석사 과정에서는 윤리학을, 박사 과정에서는 논리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울대와성균관대에서 ‘논리와 비판적 사고’, ‘학술적 글쓰기’ 등을 강의하고 있다.
철학과 태권도는 그의 삶을 떠받치는 두 개의 큰 기둥이다. 삶을 밝히는 도구이자 학문으로서 철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또 그 대중화에 힘써온 한편, 어려서부터 줄곧 태권도를 수련해 특전사 복무 때에는 태권도 교관을 맡기도 했다. 2012년부터는 국기원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해외에도 많은 태권도 제자를 두었을 만큼 철학 못지않게 그의 태권도 사랑은 각별하다.
저서로는 『영화로 읽는 윤리학 이야기』『나를 성장시키는 생각의 기술』『태권도 현대사와새로운 논쟁들』『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등이 있으며, 『정보기술의 윤리』 (공역)를 우리말로 옮겼다. 대학 시절부터 늘 파란색 옷만을 입어서‘파깨비’(파란 도깨비)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
■ 차례
머리말 - 철학이 이끄는 나의 삶, 나의 꿈
1. 한 번뿐인 삶,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눈물의 대통령, 룰라 다 시우바 |결코 패하지 않는 전쟁의 신
2. 바람직한 삶을 위한 또하나의 조건
도덕적 삶이 중요한 이유 | 나는 왜 복수를 하면 안 될까?
3. 왜 그렇게 행위하면 안 되는가, 라는 수수께끼
규범의 정당화 문제의 객관성 | 도덕적 정당화는 실제 사실과상관없다
4. 정말로 어려운 문제의 답을찾으려면
태권도 고수가 된 나의 비결 | 철학으로 생각하는 방법 깨치기 | 내가 생각하는 나의 답을 찾는다
5. 당연한 것에서부터 생각하기, 행위의 목적
목적이 규범을정당화한다
6. 어떤 목적을 추구해야 할까요?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 | 복수에 대한 공리주의적 판단
7.너희가 공리주의를 아느냐?
진리는 평범함 속에 있다 | 이순신 장군과 왜군의 충성심은 어느 쪽이 옳을까?
8. 쾌락주의는 결코 나쁘지 않다
모든 사람들이 추구해야 할 목적 | 쾌락과고통, 행복에 대한 이해
9.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이많은 이유
공리주의는 예측된 결과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 공리주의에 대한 흔한 오해
10. 공리주의뿐인가? 의무주의도 있어요
11. 중요한 것은 행위의 속성이다
의무주의는 행위의 속성으로 판단한다| 사람은 사람다워야 한다는 생각
12. 어렵지만 어렵지않아요, 칸트의 정언명법!
정언명법과 가언명법 | 모든 사람들이 따르기를 원하는가? | 수단시하기만 하지 말고 목적으로도예우하라
13. 마음대로 하세요. 다만, 제대로하세요
자유로부터의 도덕 | 복수에 대한 의무주의적 판단
14. 윤리적 판단 기준을 현실 문제에 적용해보기
잘못된 행위에 대한 윤리학적 판단 | 특허 괴물의 행위는 도덕적으로옳을까? | 인터넷 인형녀의 행위는 비난받아 마땅할까?
15. 두 가지 사고방식, 목적론과 의무론
옳고 그름의 판단은 다를 수 있다 | 목적론과 의무론에 대한 바른이해
16. 윤리학의 중요한 개념들
가치는 행위를이끄는 힘이다 | 행위와 규범의 관계 | 당위와 허용, 좋음에 대하여
17. 좋은 삶을 위해 꼭 필요한 세 가지
어떻게 사는 게 좋은 삶일까? | 행복과 자아실현에 관한 가장 유명한철학
18. 윤리학에서 철학으로 나아가기
철학적 사고의 힘을 기른다는 것 | 건강과 안전, 내 삶을 지키는대전제
19. 철학적 사고방식이란 무엇일까요?
체계적인 생각, 기준에 따라 생각하기 | 암묵적 전제 드러내기와 철학적 반성
20. 가장 철학적이고 가장 윤리적인 것
윤리학은 삶에 대한 반성과 비판의 작업이다 | 살아가는힘으로서의 철학
21. 그럼, 지금 당장은 무엇을 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