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열흘간의 단계별 전략 프로그램은 4세에서 1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으로아이의 갈등을 줄이고 좀 더 건강한 방향으로 해소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담겨있다. 이 프로그램은 우리 아이의 반항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부모의 태도를 돌아보도록 한 다음 효과적인 관계 개선을 위한 육아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사례를 실어 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좀 더 현실적으로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알려준다.
그리고 내 아이의 반항이 어느 정도인지, 부모로서 고함을 지르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제재를 가해야 할 때가 언제인지 등등 다양한 체크리스트가 담겨 나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또한 그때그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할수 있는 실용적인 팁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 저자 제프리 번스타인(JeffreyBernstein)
제프리 번스타인 박사는 필라델피아 지역에서 아동과 가정문제 상담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심리학자다.지금까지 그는 천여 명의 문제 아동과 그 가족이 관계를 회복하도록 도와왔다. 번스타인 박사는 부모의 좋은 의도의 훈육이 종종 아이들과의 관계를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조언한다. 따라서 그는 아이들과의 싸움에서 벗어나 당장 쉽고 간편한 그의 방법, 10단계 기적 프로젝트를 따르라고제안한다. 저명한 관계 전문가이자 『어째서 내 마을을 읽지 못하는 걸까?』의 저자이기도 한 번스타인은 언론에도 수없이 소개되었으며 투데이 쇼와코드 TV에도 출연한 바 있다.
■ 역자 강미경
1964년 제주 출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 영어교육학과를 졸업한 뒤 번역하는 일에 입문하여 인문교양, 비즈니스, 문예 등 영어권의 다양한 양서들을 번역 소개하고 있다. 옮긴책으로는 『나침반, 항해와 탐험의 역사』『도서관, 그 소란스러운 역사』『내가 만난 희귀동물』『유혹의 기술』『야성의 엘자』『허기진 두뇌를 위한지식의 통조림』『심심한 두뇌를 위한 불량지식의 창고』 등 여러 권이 있다.
■ 차례
추천사 _ 반항하는 아이를 위한 명쾌한 활용지침서
머리말 _ 부모노릇 하기가 이렇게 힘들 줄은 꿈에도 생각 못했다·
첫째 날 아이가 왜 말을 안 듣는걸까?
시간이 해결해주지 않는다 |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는 열쇠 | 반항성장애 | 내 아이의 반항 정도는? | 여러분은혼자가 아니다· | 부모가 빠지기 쉬운 해로운 생각들 | 통제권을 되찾기 위한 첫 걸음 | 부모로서 자신의 장점을 확인하라 | 부모로서 자신의단점을 확인하라 | 스스로를 돌보는 부모가 아이도 잘 돌볼 수 있다 | 긴장을 푸는 방법 | 아이는 부모의 도움을 기다리고 있다
첫째 날Point
둘째 날 아이는 이해받고 싶어 한다
아이는이해를 갈구한다 | 열쇠는 듣는 능력이다 | 제대로 듣는 법 | 아이의 마음에 귀 기울이라 | 아이를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요인들 |감성지수의 부족 | 아이는 부모의 사랑과 인정을 원한다
이해하지 못하면 더 심한 반항을 부른다 | 이해를 가로막는 아홉 가지 함정 |부정적인 생각은 금물 | 사랑만으론 부족하다
둘째 날 Point
셋째 날 고함치지 않고 해결하기
고함은심각한 문제 행동이다 | 고함을 지르면 안 되는 이유 | 고함을 지르게 되는 이유 | 올바른 마음 상태의 유지 | 고함을 자제하는 25가지 방법| 고함치는 습관에서 벗어나는 방법 | 그래도 고함을 지르게 되었다면 | 부모가 원인 제공자일 수 있다 | 현실과 동떨어진 기대를 품는아이들
셋째 날 Point
넷째 날 싸우지 않고 해결하기
생각이 꼬이면현실을 왜곡하게 된다 | 싸워서 얻어지는 것은 없다 | 권력 싸움이 없는 훈육법 | 싸움의 패자는 정해져 있다· | 생각을 바꾸면 태도가달라진다 | 침착하고 단호한 태도 | 통제는 누구나 싫어한다 | 선택과 집중 | 권력 싸움을 피하는 16가지 방법
넷째 날Point
다섯째 날 긍정적인 변화에 주목하라
긍정적인강화의 힘 | 상과 뇌물의 차이 | 아이의 잘못에만 주목하지는 않는가 | 지금은 긍정적인 강화의 시기다 | 잘못 주는 상의 역효과· | 칭찬의힘 | 눈높이를 맞추어라 | 가장 좋은 상 | 칭찬에도 요령이 있다 | 칭찬의 효과는 금세 나타난다 | 칭찬은 역경도 이겨내게 한다 | 칭찬과병행하면 좋은 보상법 | 아이의 노력을 중시하라 | 틈날 때마다 사랑을 보여주라 | 긍정적인 강화는 부모에게도 필요하다 | 혼잣말의 힘 |자신에게도 상을 주라
다섯째 날 Point
여섯째 날 제대로 가르치기
훈육의 바탕은사랑과 이해다 | 신체적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 제재를 가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 제재는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한다 | 침착하고단호하면서도 위압적이지 않게 | 상식이 통하는 선에서 명쾌하게 | 일관성이 중요하다 | 잘못된 행동에 곧바로 대응한다 | 협상에 기꺼이 응한다| 훈육의 효과를 높이는 6가지 지침 | 가르치기 위해서는 먼저 배워야 한다 | 훈육은 권력을 휘두르는 수단이 아니다 | 훈육과 처벌은 다르다| 체벌은 당장 멈추라 | 너무 관대해도 안 된다
여섯째 날 Point
일곱째 날 가족은 한 팀이다
형제자매 간의상호작용 | 비교는 금물 | 협동작전을 펼친다 | 공평과 평등은 다를 수도 있다 | 융통성이 필요한 시점 | 가족 간에 새로운 의식을 만든다 |즐거웠던 기억을 함께 떠올린다 | 아이에게도 사생활이 필요하다 | 일대일의 시간 | 분노 조절은 가족 모두에게 필요하다 | 아이의 반항과결혼생활의 상관관계 | 관계 회복의 첫 걸음 | 원만한 결혼생활을 위한 지혜 | 팀워크 전략 | 혼자 육아를 전담하는 경우 | 일가친척을 대하는방법
일곱째 날 Point
여덟째 날 학교에서의 우리 아이
학교 생활도예외가 아니다 | 교사의 영향력 | 교실에서의 문제 행동 | 어린아이의 반항 | 아이의 반항을 부추기는 교사 | 문제 교사는 문제 방법을사용한다 | 알림장 활용하기 | 벤의 싸움 | 좌절의 또 다른 표현 | 부모에게는 학교에 지원을 청할 권리가 있다 | 지원을 받으려면 협조하라| 학교 행사에 적극 참석하라
여덟째 날 Point
아홉째 날 의학적 장애 극복하기
변화를가로막는 ‘완강한 장애’ | ADHD는 반항을 악화시킨다 | 학습 장애와 반항 | 우울증과 반항 | 아이는 생각하는 대로 느낀다 | 쌍극성 장애| 불안은 반항을 증폭시킨다 | 일반 불안 장애 | 공황장애 | 강박증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공포증 | 학교 공포증 | 건강 문제도반항을 부추긴다 | 약물 중독과 반항 | 아스퍼거 증후군 | 투렛 증후군 | 스트레스와 반항
아홉째 날Point
열째 날 달라진 아이, 달라진 부모
일시적후퇴에 연연하지 않는다 | 후퇴에 처하는 방법 | 부정적인 질문의 함정 | 부정적인 생각의 함정 | 부모의 휴식도 중요하다 | 성공 리스트를만든다 | 아이의 개성을 존중한다 | 긍정의 힘 | 미래를 향해
부록 _ 반항적인 학생을 다루는 교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