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표 홈스쿨링-글쓰기 훈련

   
진경혜
ǻ
중앙북스
   
9500
2008�� 01��



>■&> 책소개
리틀 아인슈타인 남매를 키워낸 저자의 노하우를 담은『엄마표 홈스쿨링 : 글쓰기 훈련』. 이 책은 어떤 학문을 공부하든글쓰기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쓴 책이다. 단계적인 독후감 쓰기의 효과, 독후감 쓰기의 3가지 단계, 분야별 독후감 쓰기, ‘나만의글을 쓰게’하는 요령, 신문을 읽고 요약하는 능력, 가족 뉴스레터 만들기를 통해서 아이들이 창의적이며 동시에 논리적인 글을 쓸 수 있도록도와준다. 


■ &>저자진경혜
서울에서 태어났다. 미국 오하이오 대학에서 미술과 미술사로 학사(BFA) 및 석사 학위(MA)를 받았다. TheHonor Society of Phi Kappa Phi’ 멤버로 있다. 유학 시절 일본인 남편을 만나 나고야에 3년 간 머물며 잠시 영어교사로일했다. 그 후 아들 쇼와 딸 사유리를 낳아 키우면서 아이들의 재능을 최대한 살려주고자 열심히 아이들을 관찰하며 함께 공부한 평범한 엄마다.현재는 시카고 대학 근처에 살면서 두 아이의 뒷바라지에 전념하고 있다. 늘 ‘아이보다 반 발자국만 앞서 가르치되 아이의 능력을 과소평가하지말자’는 신념으로 아이들을 키우고 있다. 아들 쇼에 이어 딸 사유리까지 어린 나이에 대학에 입학하며 ‘리틀 아인슈타인 남매’를 키운 노하우에대해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저서로는 『나는 리틀 아인슈타인을 이렇게 키웠다』,『아이의 천재성을 키우는 엄마의 힘』이있다.


(저자의 홈페이지 주소 www.creativerabbits.com)


■ 차례
글을 시작하며_ 글쓰기 능력과 성공은 비례한다


Chapter 1. 독후감 쓰기
단계적인독후감 쓰기의 효과
첫 번째 단계_ 그림 그리기
두 번째 단계_ 짧은 문장으로 쓰기
세 번째 단계_ 내용 파악하고쓰기
독후감의 형식 익히기
미스터리(Mystery) 독후감 쓰기
위인전(The life of a great person) 독후감쓰기
공상과학(Science Fiction) 독후감 쓰기
과학/실용(Science/Informational) 독후감쓰기
동화(Fairy tale) 독후감 쓰기
판타지(Fantasy) 독후감 쓰기
어드벤처(Adventure) 독후감쓰기
<벌거벗은 임금님&&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읽고 쓴 독후감

Chapter 2. 나만의 글을 쓰게 하자
시 쓰기에 도움을 주는 시낭송
쓰는 재미를 알게 하는 일기 쓰기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는 견학문 쓰기
읽는 이의 이해를 도와야 하는 기행문쓰기


Chapter 3. 신문 만들기
신문을 읽고요약하는 능력
가족 뉴스레터 만들기





엄마표 홈스쿨링-글쓰기 훈련


독후감 쓰기

단계적인 독후감 쓰기의 효과

글을 잘 쓰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책을 많이 읽어 배경 지식을 풍부하게 쌓아 두어야 한다. 좋은 글이란 책을 통해 얻은 올바른 가치관과 다양한 지식 그리고 자신만이 갖는 관점을 바탕으로 간결하고 설득력 있게 쓴 글이기 때문이다. 나는 아이들에게 일주일에 일정량의 책을 읽게 한 후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책 한 권을 골라 독후감을 쓰는 과제를 내주었다. 그러나 쓸 준비가 전혀 안 된 아이에게 흰 종이 한 장을 연필과 던져 주고 책을 읽은 소감을 쓰라는 식의 과제는 아니었다. 글 쓰는 것을 겁내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시작한 나의 첫 번째 작업은 단계적인 독후감 쓰기였다.


처음에는 크레용으로 그림을 그리게 하고, 그 후 그림과 함께 몇 단어를 긁적거려 놓다가 점차 문장을 만들어 책 읽는 소감을 표현하도록 유도했다. 그러나 이런 활동을 글과 가까워질 계기는 만들어 주지만 글을 잘 쓰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래서 나는 책의 내용에서 몇 가지 사항을 뽑아 두 개의 도표로 만들어 독후감 쓰기 연습 과제로 사용했다.


첫 번째 도표에는 학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등장인물의 소개와 줄거리의 내용 그리고 구성을 간추리도록 하고 마지막에 그 책을 다른 친구에게 권할지 안 권할지를 쓰도록 했다.


두 번째 도표는 이야기의 구성보다는 상상력을 길러 주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이 타고 다닐 자동차를 디자인 해 보라는 쉬운 문제부터 책에 나오는 나무(기타 사물 등)가 마술을 부릴 수 있다면 어떤 마술을 부렸으면 좋겠는가?, 그 마술이 스토리를 어떻게 바꾸었을까?.만약 책 속의 어느 등장인물이 될 수 있다면 어떤 역할을 맡고 싶은가? 혹은 왜 그런 역할을 맡고 싶은가?등의 생각을 많이 해 봐야 하는 과제를 내주었다. 그 후 점차 줄거리의 시작 부분을 다시 써 보라든가 결론을 바꾸어 보라고 하고 가끔은 줄거리를 현실이나 시대감각에 맞게끔 다시 재구성해 보라는 조금은 까다로운 과제를 내주었다. 시간이 필요한 과제는 두 주 동안 끝내도록 했지만, 보통 일주일에 하나씩 물어내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그러나 끝내는 시기는 아이의 읽고 쓰는 수준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을 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공상과학(Science Fiction) 독후감 쓰기

공상과학 책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 편이라 저학년 학생들이 꼭 읽어야 하는 도서는 아니다. 도표는 독해력이 높거나 공상과학을 특별히 즐겨 읽는 아이들을 위해 넣어 두었다. 근대 공상과학 소설의 선구자인 프랑스 소설가 쥘 베른(Jules Verne)의 작품 『지구 속 여행』『80일간의 세계일주』『해저 2만리』등을 추천하고 싶다.


이름 Nam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책제목 Book titl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요한 등장인물을 간단히 소개하세요. Describe each of the main characters.

이름 Nam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격 Characteristics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름 Nam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격 Characteristics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름 Nam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격 Characteristics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저자는 공상과학을 스토리에 어떻게 적용했나요?

How did the author try to explain the fictional science in the sto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책에 나오는 공상과학이 믿을 만했나요? 이유는?

Was the fictional science believable? Why or why no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학적인 뒷받침이 이야기 전개에 꼭 필요했나요? 이유는?

Do you think the science was really necessary for the story? Why or why no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만의 글을 쓰게 하자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는 견학문 쓰기

우리는 아이들을 홈스쿨링시키면서 몸으로 직접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견학을 자주 나갔다.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들렀고, 남편 회사 일과 관련이 있는 자동차 공장 견학은 물론 그 회사 차를 운송하는 큰 배 안에도 직접 들어가 선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자동차 운송 절차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주었다.


언젠가는 이웃의 아이들과 함께 집 근처 경찰서 견학을 간 적도 있다. 경찰서 안에 있는 유치장을 지나면서 자기는 절대로 나쁜 짓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을 하는 아이들 때문에 얼마나 웃었는지 모른다.


다짐을 하는 이유가 단순히 용변 보는 일까지 감시당한다는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끔은 상상을 해서 쓰는 견학문 쓰기를 시켰다. 스케줄이 잘 짜여 있는 정규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공부를 한 탓에 시간에 그리 쫓기지는 않았지만 가끔은 좀처럼 짬을 낼 수 없는 사정이 생길 때도 있었다. 그럴 때 나는 아이들에게 특정한 곳을 정해 주고 그곳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이나 책에서 찾도록 했다. 그 후 정보를 잘 읽고 검토한 후 마치 그곳을 다녀온 듯 상상을 하며 글을 쓰게 한 것이다. 상상 견학문이라는 명칭이 붙인 견학문을 처음에는 어떻게 쓸지 몰라 조금 망설이는 듯 보였지만 자료를 검토해 가면서 그런대로 훌륭한 견학문을 써나갔다. 실제로 나가 체험하는 현장 학습과 더불어 가끔씩 사용해 볼 만한 방법이 아닌가 싶다.


현장 학습을 다녀와 쓰는 견학문에 특별한 형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아이들이 어렸을 때는 몇 가지 질문을 넣어 만든 도표를 사용해 견학을 통해 느낀 점과 새롭게 터득한 점 등을 기입하도록 했다. 그 후 차츰 도표에 써 둔 견학문을 바탕으로 한 장 정도 길이의 견학문을 쓰도록 가르쳤다.


▶ 즐거운 견학을 위한 제안

1. 사전에 아이들과 견학 가는 곳의 정보를 인터넷이나 책에서 미리 찾아보고 그곳에서 꼭 보고 올 것이나 참가해 볼 만한 활동을 논의해 둔다.


2. 날씨에 맞는 옷을 준비한다.


3. 견학 장소에서 지켜야 할 예의 등에 대해 알려 주고 점심은 어디서 먹을지, 특산품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의 한도액도 미리 합의해 둔다.


4. 대체적인 하루의 스케줄을 알려 주고, 동행에서 떨어져 나갈 경우 등의 만일의 사태에 어떻게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미리 주의를 준다.


5. 견학 중 아이들이 특별히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것이 있으면 재촉하지 말고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질문에 답을 해 준다.


6. 스케치하거나 사진을 찍을 시간을 따로 마련해 준다.


7. 견학에서 돌아와 견학 시간이 충분했는지, 기대와는 어떻게 달랐는지,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지,다음번에는 어느 곳을 가고 싶은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한다.


* * *


본 도서 정보는 우수 도서 홍보를 위해 원저작권자로부터 정식인가를 얻어 도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 요약한 것으로, 저작권법에 의하여 원저작권자의 정식인가 없이 무단전재,무단복제 및 전송을 할 수 없으며, 원본 도서의 모든 출판권과 전송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