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격 영어상식 칼럼 100

   
이윤재
ǻ
넥서스
   
13900
2007�� 10��



>■&> 책소개
영어를 둘러싼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 관용표현의 어원을 100개의 칼럼으로 구성하여 Why-Because 패턴으로설명한다. 또한 5개 칼럼마다 나오는 Critical Information은 원어민들도 설명하기 어려운 영어 문법(특히 관사부분)을 자세하고깔끔하게 정리한다. 100개의 칼럼은 이디엄이나 유명 인사들의 말을 발췌하여 어떤 배경에서 나왔는지 스토리를 엮어 가면서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준다. 그 외에도 일반적인 회화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쉬운 예문들 몇 가지를 더 추가하여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다.


영어에 관한 상식도 높이고, 일상적인 회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말들도 배우고, 아무도그렇게 자세하게 가르쳐 주지 않았던 문법을 배우는 일석 삼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서라고 할 수 있다.


size=2>&>■ 저자 이윤재 yeeeyooon@hanmail.net
1949년 전남 보성(寶城)에서 출생하여 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현대건설주식회사조정역(Coordinator)으로 해외근무를 했다. 중앙대•숙명여대•한양대•동국대The Korea Herald 영어연구원에서 영어 강의를,한국화란의원친선협회회장-화란대사 회담통역,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한국일보•경향신문•문화일보•한국경제•월간조선에 영어 관련 칼럼을 썼다.The Korea Times에 영문칼럼과 2006년 월간중앙에 「이윤재의 영어 & 생각라운지」를 연재, 2007년 현재 신동아에「이윤재의 Total English」를 연재 중이다. 한반도영어공학연구원(The Korean Peninsula EnglishEngineering Academy)원장으로 통일조국의 영어교육에 대비하여 연구하고 있다.


번역서로『히틀러스탈린헤르츨의 정신분석』(태양문화사)이, 저서에는<신동아(新東亞)&& 창간기념 2006년 11월호 특별별책부록으로 발행된 동아일보 시사월간지『내 손안의 영어를 위한 명문장 명표현』이있다. 


■ 차례
Column 1 Idiom& Slang 이디엄과 슬랭 
Column 2 Dont get mad, get even 억울하면 출세하라 
Column 3Gimme a break! 한 번만 봐주세요
Column 4 What’s the magic word? 그 말버릇이 뭐냐?
Column 5 Read my lips 제 말을 믿어주세요 
Critical Information 관사의 유무에 따른 의미의차이


Column 6 Is our children learning? 우리 아이들이 지금 배우고있는가?
Column 7 bittersweet & sweet sorrow 달콤 쌉싸름한 & 씁쓸 달콤함 
Column8 I get a kick out of you 당신과 함께 있으니 뒤집어지게 좋아요 
Column 9 Sour grapes orunripe grapes 신 포도인가? 안 익은 포도인가?
Column 10 These fellows in the foreignservice have no cojones 
국무부의 이 친구들은 불알이 없어 
Critical Information 이렇게 다른부정관사(a/an)와 정관사(the) 


Column 11 ticker-tape parade 티커테이프 퍼레이드 
Column12 The buck stops here 책임은 내가 진다 
Column 13 Give me the bottom line 결론만말하라
Column 14 Cut to the chase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라 
Column 15 A little bird toldme 소문으로 들었어요 
Critical Information 종(種/species) 전체를 대표하는 a/an/the 


Column 16 hear through the grapevine 유언비어로 듣다
Column 17 on the wagon & off the wagon 술을 끊은 & (끊었던 술을) 다시 마시는
Column 18 To jaw-jaw is better than to war-war 협상이 전쟁보다 낫다 
Column 19 The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문(文)은 무(武)보다 강하다 
Column 20 Im a Dutchman, ifI fail in the exam this time 
내가 이번 시험에 낙제하면 내 손에 장을 지지겠다 
CriticalInformation 부정관사 a와 an 


Column 21 So long 아주 긴/아주 길게
Column 22 Art islong and life is short 의술은 길고 생명은 짧다 
Column 23 The glass is half empty: Theglass is half full 잔이 반이 비어 있다: 잔은 반이 차 있다 
Column 24 Caesars wife must beabove suspicion 시저의 아내는 혐의가 있어서는 안 된다 
Column 25 The die is cast 주사위는 던져졌다
Critical Information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의 무한한 의미(indefinitemeaning)


Column 26 Cowards die many times before theirdeaths
The valiant never taste of death but once 겁쟁이는 죽기 전에 누차 죽지만 영웅은 오직 한 번죽을 뿐이다 
Column 27 None but the brave deserve(s) the fair!&nbsp& 용기 있는 자만이 미인을얻는다 
Column 28 The best is the enemy of the good 최선(最善)은 선(善)의 적 
Column29 The first step is always the hardest 시작은 항상 가장 어려운 법 
Column 30 She wearsthe pants 그 여자는 남편을 깔아뭉갠
Critical Information a/an의 강한 지시적 의미(strongdenotative meaning)(1) 


Column 31 Knock your customers socks off! 고객을감동시켜라! 
Column 32 The President s One Shot 대통령의 원 샷
Column 33 Break a leg!행운을 빕니다! 
Column 34 Death and Taxes 죽음과 세금 
Column 35 Mind/Watch the P sand Q s! 언행을 조심하세요!
Critical Information a/an의 강한 지시적 의미(strong denotativemeaning)(2)
Column 36 He kissed her mouth & He kissed her on the mouth 그는그녀의 입에 키스했다
Column 37 Physically challenged 신체적으로 도전 받은(?) 
Column 38Camel and the eye of a needle 낙타와 바늘귀 
Column 39 Lost Generation 방황하는 세대
Column 40 Do I know you? 당신이 나를 아세요? 
Critical Information a/an의 약한 지시적의미(weak denotative meaning)


Column 41 Let well alone 긁어 부스럼 내지 마라
Column 42Live and let die 너는 살고 남은 죽여라 
Column 43 You aint seen nothing yet 아직 아무것도 보지못했다 
Column 44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 
Column 45 Thebest is yet to be 가장 좋은 것은 아직 오지 않았다 
Critical Information a/an의 함축적의미(connotative meaning) 


Column 46 Your wish is my command! 분부만 내려주세요!
Column 47 I didnt come 저는 가지 않았어요 
Column 48 My love is come to me 나의 사랑이나에게 와 있어요 
Column 49 Practicing doctor 개업의사 
Column 50 Heaven helps those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Critical Information 정관사 The는 기정(旣定)의뜻 外





고품격 영어상식 칼럼 100


bittersweet & sweet sorrow 달콤 쌉싸름한 & 씁쓸 달콤함

whitney Houston의 노래와 Reagan의 연설에서 보이는 sweet의 의미

형용사 bitter와 sweet가 합쳐져서 bittersweet란 단어가 사전에 살려 있다. 시원섭섭한 이별을 bittersweet parting이라고 한다. (설탕을 거의 넣지 않은)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을 bittersweet chocolate이라 한다. 다음은 팝계의 흑진주라 불리는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의  <I will Always love you >-영화 보디가드(the bodyguard)에 삽입된 곡-의 일부분이다.


bittersweet Memories                                           

아쉽지만 아름다운 기억들

That is all Im taking with me.                          

나는 그 기억들만을 가지고 떠나요.

So goodbye. please dont cry.                        

잘 있어요. 그리고 제발 울지 말아요.

We both know Im not                             

우린 둘 다 알잖아요. 제가 당신께 짐만

what you need.                                                 

될 뿐이라는 것을.

And I will always love you.                      

영원히 언제까지나 당신만을 사랑하겠어요.

I will always love you.                           

영원히 언제까지나 당신만을 사랑하겠어요.


명사형으로는 어순이 바뀌어 the sweet and the bitter, joys and sorrows, sweet sorrow 등이 사용된다. 우리말로는 씁쓸 달콤함, 시원섭섭함 등에 해당한다. 작별인사(farewell)에 sweet sorrow(달콤한 슬픔)가 많이 사용된다. 다음은 1989년 1월 11일 행한 레이건 대통령의 퇴임 연설(President Reagans Farewell Speech)중 일부다.


people ask how I feel about leaving. And the fact is, parting is such sweetsorrow. The sweet part is California and the ranch and freedom. The sorrow-the goodbyes, of course, and leaving this beautiful place.


떠나는 기분이 어떠냐고 사람들이 묻습니다. 사실 떠나는 기분이 시원섭섭합니다. 내 고향 캘리포니아로 돌아가 목장과 자유를 얻을 수 있으니 시원하고, 이 아름다운 곳을 떠나야 하는 건 섭섭합니다.


Shakespeare의 작품에 나타나는 sweet의 의미

아무래도 sweetsorrow의 원조는 셰익스피어이다. 그는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gall(쓴 것), sorrow(슬픔), bitter(쓰라린), fearful(무서운), division(이별)이라는 어휘를 번갈아 sweet(달콤한)와 결합시켜 사랑의 ambivalence(반대 감정 병존)상태를 나타낸다. 아래 로미오의 대사는 사랑의 이중성을 표현하고 있다.


Love is a smoke made with a fume of sighs;

Being purged, a fire sparkling in lovers eyes;

Being vexed, a sea nourished with lovers tears.

What is it else? A madness most discreet,

A choking gall and a preserving sweet.


사랑이란 한숨으로 된 연기;

개면 연인의 눈 속에서 불꽃이 번쩍이고;

흐리면 연인의 눈물이 바다를 이루네.

그밖에 사랑이란 무엇인가? 가장 분별 있는 광기이고,

숨막히게 하는 쓴 약이자 생명을 구하는 달콤한 사탕.

-<Romeo & Juliet> 1막 1장 190~194행


이 외에도 <로미오와 줄리엣>에는 sweet, sorrow 두 단어를 사용하여 서로 앙숙인 가문 출신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에 뒤따르는 달콤한 고통을 표현한 부분들이 많다. 그 부분들을 살펴보자.


She steals loves sweet bait from fearful hooks.

여자도 무서운 낚시바늘에 사랑의 달콤한 미끼를 훔친다.


Good night, good night! Parting is such sweet sorrow. That I shall say goodnight till it be morrow.

안녕, 안녕! 헤어진다는 것은 감미로운 슬픔이니 날이 샐 때까지 줄곧 "안녕"이라는 말만하고 있을 거예요.


Some say the lark makes sweet division; This does not so, for she divides us.

종다리 소리를 들으면 달콤한 이별을 한다는데; 저 소리는 달콤하지도 않고, 우리를 떼어놓는구나.


Parting is such sweet sorrow.

헤어진다는 것은 감미로운 슬픔이다.


Whats here? A cup, closed in my true loves hand? Poison, I see, hath been his timeless end. O churl, drunk all, and left no friendly drop. To help me after? I will kiss thy lips; happily some poison yet doth hang on them, to make me die with a restorative.

이게 뭐지? 잔이 로미오님의 손에 꼭 쥐어져 있네? 독약을 마시고 순식간에 죽었나보다. 인색한 사람, 내가 뒤따라가지 못하게 다 마시고 단 한방울도 남겨놓지 않았단 말인가? 그럼 당신 입술에 키스하리다; 혹시나 독약이 아직도 묻어 있다면, 생명의 묘약처럼 날 천당으로 보내주겠지.


셰익스피어는 1막에서 gall(쓴 약)과 sweet(달콤한 사탕)를, sweet(달콤한)와 bitter(쓰디쓴)를 모순적으로 대비시킨다. 2막에서는 sweet bait(달콤한 미끼)과 fearful hooks(무서운 낚싯바늘)를 모순적으로 대비시킨다. 이어 3막에서도 sweet division(달콤한 이별)이라는 모순어법을 썼고, 5막에서는 restorative(생명의 묘약부활의 묘약)와 die(죽음)라는 모순된 두 단어를 함께 쓰고 있다. 헤어짐(parting, division)은 슬픔이지만, "달콤한"이란 말을 붙여 헤어짐을 운치 있게 그려냈다. 더불어 독약을 생명의 묘약으로 승화시켜 결국 부활(restoration)이라는 행복의 상태에 이르도록 만들었다.


이 극은 비극이지만 비극의 침울함을 찾아볼 수 없다. 이 극은 일종의 해피엔딩이요, 비극 아닌 비극이다. 두 사람의 인연은 불행하게 끝나지만 그 불행은 오히려 두 사람의 사랑을 승화시킨다. 빛과 생명을 준 사랑은 어둠과 죽음을 초래하나, 오랜 원수지간이던 양가를 화해시키고, 시민들의 싸움을 종식시킨다. 이 극의 주제인 모순적 사랑은 지상의 것이지만 천상의 것이며, 생명이면서 죽음이다.



cowards die many times before their deaths ; The valiant never taste of death but once 겁쟁이는 죽기 전에 누차 죽지만 영웅은 오직 한번 죽을 뿐이다.

줄리어스 시저 어록

세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를 바탕으로 시저의 암살 직전 장면을 재연해보자. 시저의 암살은 여러 징후에서 이미 예견됐다. 시저의 부인 칼푸르니아(Calpurnia ; Julius Caesar의 세 번째 아내)가 남편이 침살당한 꿈을 꾸었다. 시저의 요청으로 성직자들은 동물 한 마리를 산 제물로 바쳤는데 절개해보니 심장이 없었다. 그들은 시저에게 집을 나서지 말라는 전갈을 보냈다. 이 날이 예언자(soothsayer)가 이미 경고했던 바로 운명의 그 날 The ides of March(3월 15일 : 라틴어로 ldus Martiae, 이탈리아어로 Idi di marzo)이다. 그가 죽은 날은 BC 44년 3월 15일이다. Beware the Ides of March(3월 15일을 경계하라)라는 말이 생겼다. 3월 15일이란 말은 Julius Caesar 암살의 날로 예언되었던 고사(故事)에서 나온 흉사의 경고로 쓰인다.


시저는 신(神)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을 인간이 어떻게 피할 수 있겠는가? -What can be avoided Whose end is purposed by the mighty gods?(원문)/How can we what the gods want to happen?(현대영어)-라고 생각에 잠겨서 부인에게 말한다.(Julius Caesar 2장 2절 26~27행)


이에 부인은 "When beggars die, there are no comets seen ; The heavens themselves blaze forth the death of princes.(거지가 죽을 때는 혜성이 보이지 않지만, 하늘은 군주의 죽음을 포고한다)"라고 답한다.(Julius Caesar 2장 2절 30~31행)


2장 2절 32~37행에서 시저는 이렇게 말한다.


cowards die many times before their deaths ; The valiant never taste of death but once. Of all the wonders that I yet have heard, It seems to me most strange that men shoud fear ; Seeing that death, a necessary end, Will come when it will come.


겁쟁이는 죽기 전에 여러 번 죽지만 영웅은 오직 한번 죽을 뿐이다. 죽음이란 필연적인 것이어서 그것이 올 때 오는 법인데도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하다니! 이것이 내가 지금까지 들어본 모든 경이(驚異) 중에서 가장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Julius Caesar


다음은 Julius Caesar(줄리어스 시저)의 어록이다.

 l love the name of honor, more than I fear death.

나는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보다 더 많이 명예라는 이름을 사랑한다.


Which death is preferably to every other? "The unexpected".

어떤 죽음이 가장 바람직한가? "불시의 죽음"


I love treason but hate a traitor.

나는 반역은 좋아하지만 반역자는 싫어한다.


I had rather be first in a village than second at Rome.

로마에서 2인자가 되기보다는 차라리 한 마을에서 1인자가 되겠다.


lf you must break the law, do it to seize power ; in all other cases observe it.

권력을 잡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을 준수하라.


As a rule, men worry more about what they cant see than about what they can.

대게 남성들은 볼 수 있는 것보다는 볼 수 없는 것에 대해서 고민한다.


It is not these well-fed long-haired men that I fear, but the pale and the hungry-looking.

내가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이처럼 잘 먹은 얼굴에 긴 머리를 가진 사람들이 아니고 창백하고 배고파 보이는 사람들이다. 


* * *


본 도서 정보는 우수 도서 홍보를 위해 원저작권자로부터 정식인가를 얻어 도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 요약한 것으로, 저작권법에 의하여 원저작권자의 정식인가 없이 무단전재, 무단복제 및 전송을 할 수 없으며, 원본 도서의 모든 출판권과 전송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