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판소리를 사회, 문화,역사를 통해 분석한 책으로 기존의 판소리 어휘 분석을 결속구조나 통사구조에서 만족하는 것을 지나 텍스트 바깥의 사회문화적 제도나 성향과 연맥되는 양상까지도 살폈다. 저자가 기존에 발표한 논문과 새로운 글을 써서 한권의 책으로 엮었으며, 담화분석의 개념, 방법론, 담화의 구성방식 등을다루었다.
■ 저자 김현주(金賢柱)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하고 문학박사를 취득하였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하였다. 현재 서강대학교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판소리이본전집』 및『판소리 역주』를 공동 작업하였고,『판소리와 풍속화, 그 닮은 예술세계』『구술성과한국서사전통』『고전서사체 담화분석』『고전문학과 전통회화의 상동구조』 등이 있다.
■ 차례
책머리에
Ⅰ. 담화 분석과 그 기대 지평
Ⅱ. 판소리 담화의 구성 방식
1. 심리적 거리조정 방식
2. ‘거동보소’의 발화 맥락
Ⅲ. <춘향전&& 담화의 연행론적 해석
1. ‘춘향가’의 언술, 구조, 의미
2. ‘춘향전’의 언술, 구조, 의미
Ⅳ. 판소리 담화의 구술성 및 구술적 전통
1. 판소리 담화의 구술성과 장르적 의미
2. 판소리 담화의 구술적 전통
Ⅴ. 판소리 담화와 문화접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