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3세대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문제제기
『DNA 혁명,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소개하고, 이 생명공학 기술의 함의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한다. 총 10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전반부는 모델 생물 개발, 체세포 치료, 생식세포 치료, 작물 및 가축 개량, 유전자 드라이브 등 과학적인 관련 내용을 꼼꼼하게 기술했다.
한편 책의 후반부에서는 변리사, 변호사, 증권 전문가의 전문 조언을 받아 국내외의 다양한 크리스퍼 관련 도서가 구체적으로 담지 못한 기술의 특허, 사업화, 규제의 문제 등 윤리적·법적·사회적 함의를 다룬다. 또한 아직 해결되지 못한 ‘편집이냐, 교정이냐’라는 용어의 문제까지 예리한 시각을 놓지 않는다.
위력적인 기술에는 위력적인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으니,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의 성과에 무비판적으로 열광하지 말라는 저자의 메시지가 보다 많은 이들에게 닿기를 바란다. 또한 과학자들의 자기 규제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니 시민인 우리가 그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한다. “과학자의 자기 규제와 전문가의 자기 규제 플러스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민 참여 방식이 구현될 때 과학기술은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또 다른 장이 될 것이다.”
■ 저자 전방욱
저자 전방욱은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 강릉대학교에 부임해 학장(2006-2008)과 총장(2012-2015) 등을 거쳐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생명윤리학회장(2008-2009),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윤리위원장(2010),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2010-2014)을 역임했고, 현재 아시아생명윤리학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플로리다 대학 식물학과에서 박사 후 연수 과정(1991-1992)을 마치고 평범한 생물학자의 길을 걷다 학계에서 소홀히 다루어지던 생명윤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수상한 과학』을 썼고, 캘거리 대학 커뮤니케이션문화학부에서 과학커뮤니케이션을 연구했다(2004-2005). 이 연구 결과로 제1회 한국생명윤리학회 논문상을 받았다(2006).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윤리적 함의를 연구하며, 최근에는 주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기술윤리, 신경윤리 등에 관심을 쏟고 있다.
■ 차례
저자 서문 - 과학, 생명을 편집하다
제 1 장.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등장
생명의 암호 DNA / 돌연변이 / 초기의 유전자가위 / 공격의 기억 / 크리스퍼와 치즈 / 공동 연구 / 절단 부위의 수리 / 유전자가위의 장단점 / 위력적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제 2 장. 실험동물의 생산
유전적 변이와 질병 모델 / 다양한 동물 모델 / 동물 복지 / 유용 물질의 생산 / 장기 이식 동물 / 대체 장기의 배양 / 윤리적 균형
제 3 장. 체세포 치료
기적적 치료 / 질병 치료의 방식 / 개별적인 병의 치료 / 신약 개발 / 기술 문제 / 윤리 문제
제 4 장.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
전조 / 첫 번째 실험 / 논쟁 / 두 번째 실험 / 연구 러시 / 세 번째 실험 / 한 ‧ 미 공동 실험 / 기술적 함의 / 윤리적 함의 / 사안별, 다중심적 규제 방식 / 다섯 번째 실험 / 계속되는 생식세포 편집
제 5 장. 치료와 증강의 경계
체세포 치료, 생식세포 치료, 그리고 증강 / 생식세포 치료의 기술 문제 / 생식세포 치료의 윤리 문제 / 무엇이 질병인가 / 생식세포 증강의 윤리 문제
제 6 장. 농작물과 가축 개량
식량증산의 필요성과 기존의 육종 방법 / 식물 유전체 변형의 난점 / 식물 유전체 변형 방법 / 식물체 편집 / 크리스퍼 파스타 / 각국의 규제 기준 / 바람직한 규제 / 모호한 기준 / 우려의 시선 / 가축 개량
제 7 장. 멸종과 복원
유전자 드라이브 / 모기와 질병 / 사용처 / 유전자 드라이브의 기술 한계 / 모기 멸종의 윤리 / 규제 하의 연구 / 모기에게 국경이 있을까 / 매머드의 복원
제 8 장. 특허권 경쟁
특허는 누구의 것인가 / 특허권 경쟁의 영향 / 대리 라이선싱 / 유전자 편집 기술의 상업화 / 스타트업
제 9 장. 프레이밍 전쟁
용어 해석의 중요성 / 편집이냐, 교정이냐 / 정밀성의 신화 / 과장과 마케팅
제 10 장. 과학자의 자기 규제에서 시민 규제로
다양한 규제 방식 / 각국의 규제 상황 / 아실로마의 환상 / 제2의 아실로마 회의가 필요할까 / 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 정상회담 / 자기 규제 플러스 / 시민 숙의의 필요성
퀴즈
용어 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