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왜 우리는 ‘생각의 문법’에 무심할까?
생각의 문법과 관련된 50개의 ‘왜?’라는 질문과 수많은 학자들의 논의와 이론을 담은 책
저자가 제안하는 것은 ‘확신’과 ‘확신’ 사이에 소통의 다리를 놓아줄 수 있는 ‘공통의 문법’이다. ‘공통의 문법’을 찾기 위해서 이 책에서는 주로 ‘최대공약수’에 해당하는 ‘생각의 문법’을 다루었다. ‘최대공약수’에 근거한 그런 ‘공통의 문법’은 ‘나의 확신’과 ‘너의 확신’의 충돌에 의해서 빚어지는 사회적 갈등에 대한 해법을 제공해줄 것이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정치적 이분법과 편가르기 문화를 넘어서는 일은 지난한 과제가 되겠지만 ‘자신의 확신’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 ‘공통의 문법’에 대한 공감대를 키운다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 저자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하는 데 선도적인 구실을 해왔다. 2011년에는 세간에 떠돌던 ‘강남 좌파’를 공론의 장으로 끄집어냈고, 2012년에는 ‘증오의 종언’을 시대정신으로 제시하며 ‘안철수 현상’을 추적했다. 2013년에는 ‘증오 상업주의’와 ‘갑과 을의 나라’를 화두로 던졌고, 2014년에는 ‘싸가지 없는 진보’ 논쟁을 촉발시키며 한국 사회의 이슈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인문학은 언어에서 태어났다』『싸가지 없는 진보』『미국은 드라마다』『우리는 왜 이렇게 사는 걸까?』『한국인과 영어』『감정독재』『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갑과 을의 나라』『증오 상업주의』『교양영어사전』(전2권)『멘토의 시대』『자동차와 민주주의』『아이비리그의 빛과 그늘』『강남 좌파』『룸살롱 공화국』『특별한 나라 대한민국』『전화의 역사』『한국 현대사 산책』(전23권)『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 차례
머리말 - 왜 우리는 ‘생각의 문법’에 무심할까?
제1장 착각과 모방
왜 미팅만 하면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이 걸릴까? - 머피의 법칙 chr(124)_pipe 왜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속담은 무서운 말인가? - 착각적 상관의 오류 chr(124)_pipe 왜 세상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범주화는 폭력적인가? - 범주화된 지각의 오류 chr(124)_pipe 왜 좋은 뜻으로 한 사회고발이 역효과를 낳을 수 있는가? - 사회적 증거 chr(124)_pipe 왜 자살 사건이 크게 보도되면 자동차 사고가 급증하나? - 베르테르 효과
제2장 동조와 편승
왜 우리 인간은 ‘부화뇌동하는 동물’인가? - 동조 chr(124)_pipe 왜 우리 인간은 ‘들쥐떼’ 근성을 보이는가? - 편승 효과 chr(124)_pipe 왜 비싼 명품일수록 로고는 더 작아질까? - 속물 효과 chr(124)_pipe 왜 정치인들은 자주 ‘약자 코스프레’를 하는가? - 언더도그 효과 chr(124)_pipe 왜 매년 두 차례의 ‘민족대이동’이 일어나는가? - 각인 효과
제3장 예측과 후회
왜 우리는 걱정을 미리 사서 하는가? - 정서 예측 chr(124)_pipe 왜 창피한 행동을 떠올리면 손을 씻고 싶어지는가? - 점화 효과 chr(124)_pipe 왜 한국인은 ‘감정 억제’에 서투른가? - 좌뇌·우뇌적 사고 chr(124)_pipe 왜 동메달리스트의 표정이 은메달리스트의 표정보다 밝은가? - 사후 가정 사고 chr(124)_pipe 왜 30퍼센트 할인 세일을 놓친 사람은 20퍼센트 할인 세일을 외면하나? - 후회 이론
제4장 집중과 몰입
왜 우리는 시끄러운 곳에서도 듣고 싶은 소리만 들을 수 있나? - 칵테일파티 효과 chr(124)_pipe 왜 ‘몰입’은 창의적 삶과 행복의 원천인가? - 몰입 chr(124)_pipe 왜 “백문이 불여일견”이란 말은 위험한가? - 무주의 맹시 chr(124)_pipe 왜 갈등 상황에서 몰입은 위험한가? - 터널 비전 chr(124)_pipe 왜 전문가들은 자주 어이없는 실수를 저지를까? - 지식의 저주
제5장 인정과 행복
왜 우리는 ‘SNS 자기과시’에 중독되는가? - 인정투쟁 이론 chr(124)_pipe 왜 행복은 소득순이 아닌가? - 쾌락의 쳇바퀴 chr(124)_pipe 왜 어떤 사람들은 돈도 못 버는 일에 미치는가? - 리누스의 법칙 chr(124)_pipe 왜 신뢰가 ‘새로운 유행’이 되었는가? - 크레이그의 법칙 chr(124)_pipe 왜 재미있게 하던 일도 돈을 주면 하기 싫어질까? - 과잉정당화 효과
제6장 가면과 정체성
왜 연료 부족을 알리는 경고등이 켜졌는데도 계속 달리는가? - 번아웃 신드롬 chr(124)_pipe 왜 내숭을 떠는 사람의 ‘내숭 까발리기’는 위험한가? - 사회적 가면 chr(124)_pipe 왜 페이스북의 투명성은 위험한가? - 단일 정체성 chr(124)_pipe 왜 ‘기억’을 둘러싼 논란이 뜨거운가? - 가짜 기억 증후군 chr(124)_pipe 왜 ‘진정성’은 위험할 수 있는가? - 진정성
제7장 자기계발과 조직
왜 ‘노드스트롬’과 ‘자포스’ 직원에겐 매뉴얼이 없을까? - 임파워먼트 chr(124)_pipe 왜 “준비를 갖추지 말고 일단 시작하라”고 하는가? - 미루는 버릇 chr(124)_pipe 왜 ‘시크릿’은 열성 추종자들을 거느릴 수 있었는가? - 끌어당김의 법칙 chr(124)_pipe 왜 조직에서 승진할수록 무능해지는가? - 피터의 법칙 chr(124)_pipe 왜 무능한 사람이 조직에서 승진하는가? - 딜버트의 법칙
제8장 경쟁과 혁신
왜 다윗이 골리앗을 이길 수 있었는가? - 파괴적 혁신 chr(124)_pipe 왜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가 나은가? 큰 물고기 - 작은 연못 효과 chr(124)_pipe 왜 한국에선 ‘히든 챔피언’이 나오기 어려운가? - 히든 챔피언 chr(124)_pipe 왜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들은 발전이 어려운가? - 자원의 저주 chr(124)_pipe 왜 풍년이 들면 농민들의 가슴은 타들어 가는가? - 구성의 오류
제9장 네트워크와 신호
왜 혁신은 대도시에서 일어나는가? 네트워크 효과 chr(124)_pipe 왜 2013 프로야구 FA 시장이 과열되었나? - 외부 효과 chr(124)_pipe 왜 유명 관광지나 버스 터미널 앞의 음식점은 맛이 없을까? - 레몬 시장 이론 chr(124)_pipe 왜 연세대엔 ‘카스트제도’가 생겨났을까? - 신호 이론 chr(124)_pipe 왜 기업들은 1초에 1억 5,000만 원 하는 광고를 못해 안달하는가? - 값비싼 신호 이론
제10장 미디어와 사회
왜 우리는 ‘옷이 날개’라고 말하는가? - ‘미디어=메시지’이론 chr(124)_pipe 왜 야구엔 폭력적인 훌리건이 없을까? - 핫-쿨 미디어 이론 chr(124)_pipe 왜 미디어가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가? - 지식격차 이론 chr(124)_pipe 왜 세상은 날이 갈수록 갈갈이 찢어지는가? - 사이버발칸화 chr(124)_pipe 왜 ‘잠재의식 광고’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운가? - 잠재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