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취업 전쟁 중인 대한민국에서 생존을 위한 모색!
21세기 대한민국은 ‘취업 전쟁’이 한창이다. 고등학교, 대학교를 나와도 정규직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우며 육아로 휴직했던 기혼여성이 다시 회사에 복귀하기도 어렵다. 또한 중년의 은퇴자도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대한민국 취업 전쟁 보고서』는 이러한 취업의 냉혹한 전쟁터 속에서 세 명의 20대 젊은이와 한 명의 기혼여성이 직접 취업 전쟁에 뛰어들어 그 속살을 낱낱이 파헤친다.
이 책에는 인턴기자였던 세 젊은이(전다은, 나해리, 강선일)가 날 것 그대로의 취업 준비 과정을 보여준다. 기혼여성인 정은주 기자도 이들과 함께 ‘취업 도전기’를 중심으로 독일, 네덜란드, 캐나다 등 해외 여러 나라의 취업 현실과 일자리가 절실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는 대한민국 기혼 여성의 실태, ‘시간제 일자리’ 제도의 허상을 보여준다. 이에 더 나아가 심리학자 김환은 세 젊은 저자를 상담하고 그들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무엇이 ‘취준생’을 힘들게 하는지 대처법을 조언해주며 마지막으로 국내외의 취업자 및 취업 준비생, 인사 담당자들의 인터뷰까지 실어 하나의 생존 투쟁이 되어버린 이 상황이 과연 우리에게 당연한 것인지 깊게 생각하게 한다.
■ 저자
전다은
1986년생, 서울 독산동에서 태어난 뒤 곧 경기도 안성으로 이사해 고등학교까지 그곳에서 나왔다. 2004년에 동덕여자대학교 자연과학부에 입학했다. 그러나 방황 끝에 제적당했고, 재입학할 때까지 5년 동안 대형마트, 통신사 대리점, DVD방, 전통찻집, 갈빗집, 호텔 라운지 등에서 일했다. 이런 기억을 더듬어 《대한민국 취업 전쟁 보고서》를 쓰는 일은 고통스러웠다. 하지만 모든 것이 지나고 난 뒤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 같은 취업 준비생이 책까지 낼 수 있다니, 세상은 아직 살 만하구나.’
강선일
1986년생. 부산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1학년 마치고 수도권으로 이사 왔다. 어린 시절 할머니께서 사 주신 5권짜리 《만화 한국사》를 읽고 ‘역사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이 생겼고, 결국 국민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막연히 글을 쓰고 사는 삶을 꿈꾸다가, 2013년 초 남북 대치 상황의 김포 주민에 대해 쓴 기사로 《오마이뉴스》 기사 공모전 ‘청춘기자상’에서 우수상을 받았다. 같은 해 7월,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 관한 글을 써 《오마이뉴스》에서 한 번 더 상을 받았다. 그리고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자신과 같은 ‘취업 준비생’을 다룬 《대한민국 취업 전쟁 보고서》로 이어 가게 되었다.
나해리
1990년생. 5살 때부터 내리 고양시에서 살아왔다. 영어와 문학을 좋아해서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했다. 13살 때부터 적성에 맞는 학문이라고 생각했던 영문학은 생각보다 재미가 없었다. 경영학을 복수 전공했지만 역시 흥미로운 학문은 아니었다. 2년 동안 취업 전형에서 번번이 떨어지기만 했다. 연속된 불합격으로 의기소침해하다가 인연이 닿아 《대한민국 취업 전쟁 보고서》에 참여하게 되었다.
정은주
매주 금요일 마감 시간이 되면, ‘이 세상엔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이 분명히 따로 있지 않을까’ 괴로워하며 밤새 기사를 쓴다. 13년째 고달픈 인생이다. ‘잘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해야 했는데, ‘하고 싶은 일’을 택한 탓이다. 이런 고민과 고통을 세 젊은이와 《대한민국 취업 전쟁 보고서》에 고스란히 녹여냈다.
대학 학보사를 거쳐 2002년에 《서울신문》 사회부 기자가 됐고, 2010년에 《한겨레》 경제부 기자가 됐다. 현재 《한겨레21》 사회팀장이다.
■ 차례
첫 번째 추천의 글: 이 지옥을 바꿀 수 있을까요? - 굽시니스트(만화가)
두 번째 추천의 글: ‘쫓기는 삶’에서 벗어나기 ? 김영란(서강대학교 석좌교수, 前 대법관, 前 국민권익위원장)
편집자 서문: ‘나는 왜 이 시대, 그리고 이 나라에 태어났을까?’
I. 취업 전쟁 시대: 세 젊은이와 마흔 살 기혼 여성의 취업 체험기
I - 1. 서른이 다가오는 여자: 전다은
‘취업 준비생’이라는 이름
스펙을 쌓아라
벌지는 못하는데 쓸 곳은 많다
또 다른 전쟁터, 취업
스터디 3개월
채용설명회의 진면목
취업 전쟁!
나는 몇 점짜리 인간인가?
I - 2. 인문학을 전공한 잉여: 강선일
백수 일기
난 앞으로 ‘무엇’이 될까
공모전에 뛰어들다!
백수는 어떻게 사는가
취업 좀 시켜주세요
보험회사에서의 일주일 - 영업 사원 교육 체험기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한다
I - 3. 그럭저럭 괜찮은 스펙의 대학생: 나해리
내가 대학생 맞나요?
평범한 여학생, 그리고 취업준비생
이 전쟁에서 이겨야 한다
전사로 거듭나다
I - 4. 마흔 살의 기혼 여성: 정은주
현직 기자의 ‘위장 취업’ 분투기
II. 무엇이 그들을 힘들게 만드는가?: 취업 준비생 심리 분석
II - 1. 세 차례의 심리 상담
첫 번째 상담 - 나를 증명하고 싶은 욕심
두 번째 상담 ? 꾸며진 나와 진짜 나의 차이
세 번째 상담 - 미래에 대한 불안감
II - 2. 상담 결과 분석 및 취업 준비생을 위한 조언
상담에 대한 종합 평가
취업 준비생을 위한 심리학자의 조언
III. 독일의 청년부터 한국의 ‘아줌마’까지: 세계 취업 현실
III - 1. 세계는 어떻게 취업하고 있는가
독일 – 1 우리도 힘들지만, 여유는 있다
독일 - 2 ‘미니잡’의 어두운 그늘
네덜란드 - 1 당신이 부르면 나는 간다’
네덜란드 – 2 네덜란드 모델의 장점과 한계
덴마크- 취직 못 해도 매달 200만 원을 받지만…
캐나다|‘취업은 여기에서도 어려워요’
III - 2. 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여성으로 산다는 것
20대 - 시간제 일자리의 압박
30대 - ‘육아냐 일이냐’
40대 ? 재취업 전선에 뛰어들어보지만…
50, 60대 - ‘밑바닥 일자리’밖에 없다
III - 3. 취업자 및 해외 관계자 인터뷰
CJ 영업 마케팅 신입 - ‘운이 좋았지요’
기아자동차 신입 - 대기업을 여러 번 옮기다
한국장학재단 2년 차 - 바늘구멍을 통과했지만…
방위사업청 6개월 차 - 6시 퇴근의 즐거움
양돈농협 2년 차 - 먼저, 자리를 잡아라
토목설계 6년 차 - 빽 없는 설움
공무원시험 준비생 - ‘이것저것 많이 했지만…’
외국계 기업의 인사 담당자 - ‘앉아 있지 말고 움직이세요’
영국의 대학생 - ‘한국의 스터디 문화는 정말 기이해요’
캐나다 대학 취업지원실 직원 ? ‘이제 1학년 학생도 찾아옵니다’
캐나다 고용지원센터 담당자 - 취업 전쟁은 어디나 마찬가지다
해제: 취업은 어떻게 ‘삶의 목적’이 되었는가 ? 노정태
청춘은 이렇게 사라졌다
금융위기와 청년들의 발버둥
‘취업 준비생’이라는 새로운 계급의 탄생
대한민국의 양반과 중인과 상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