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북한에서 벌어지고 있는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에 이은 3대 정권세습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 전망한 책이다. 세계일보 기자로 활동하면서 북한과 관련된 여러문제를 다루었던 저자가 북한 정권의 내부 동향과 3대 세습 시나리오의 전말, 정권 실세들의 면면과 역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적 역학관계,향후 남북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국내외에서 수집한 북한 관련 자료를 객관적이고 다각도로 분석하였으며, 여러 경로를 통해 단편적으로알려져 온 북한 주민들의 생존 실상에 대해서도 저널리스트의 시선으로 해석했다.
■ 저자 정승욱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를 취득한 저자는88년 세계일보 견습 1기 기자로 입사한 이후 국제, 경제, 사회, 정치, 통일팀 등 주요 부서 기자와 데스크를 거쳤다. 특파원 임무를 마치고복귀해 정치부 선임기자와 온라인팀 등을 거쳐 현재 문화부 선임기자로 있다. 국제부 기자 시절에는 한국 신문기자로선 처음 1996년 러시아체첸전쟁 단기 특파원으로 전장을 취재하는 등 6차례 해외취재를 전담했다. 이후 국회와 청와대를 담당하면서 국제정치 통일안보 관련 문제에천착해왔다. 청와대 출입 당시 고 김대중 대통령을 수행해 30여 개 국가를 방문 취재했다. 2005∼2009년까지 4년여 동안 도쿄특파원으로재임하던 중 북한과 통일 관련 문제 및 한일간 해저터널 건설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다뤄왔으며, 중국 베이징대학과 장춘사범대학을 왕래하면서 중국의대한반도 정책에 중점 연구해왔다. 향후 차기 중국지도부의 대한반도 정책 관련 책도 낼 예정이다. 해외한국입양동포후원위원회 사무국장도 맡아 모국과해외동포와의 연계에도 참여 중이다.
■차례
추천사1
추천사2
저자 서문
프롤로그 : 김정일 사후 북한 권력의 향방
제1장 김정은과 북한의미래
01 3대 세습의 이유
02 김정일은 3대 세습에 부정적
03 김정은, 어떤 스타일인가
04김정은 후계 체제의 한계
05 후계 체제 구축의 포인트
06 후계 체제 구축의 속도
07 권력승계 과정의 전말
08후계 결정의 내막
제2장 김정은을 둘러싼친위그룹
01 막후 실력자 장성택
02 떠오르는 김정은 친위그룹
03 고영희를 향한 김정일의 구애
04 장자 김정남을 주목해야
05 의문의 가족사
제3장 김정은과 북한 군부
01 선군정치의 운명
02 국방위원회와중앙군사위원회
03 조명록 사망은 김정은의 손실
04 노동당 규약 개정
제4장 김정은 체제와 중국
01 중국이 3대 세습을 인정한 배경
02 김정은과 중국 5세대 지도부
03 중국 인민해방군의 평양 진주
04 중국, 북한 접수 도상훈련
05 시진핑의봉건적인 사고방식
제5장 김정은의대외전략
01 3차 남북 정상회담의 시기
02 김정은과 백악관의 비밀 접촉
03 김정은 대미 협상팀 가동
04 남한 때리기의 노림수
05 급변사태론의 허와 실
06 해저 핵시설은 다음 카드
제6장 강성대국의 핵심은 먹고사는 문제
01소요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02 경제개혁과 김정은 리더십
03 북한에 쇄도하는 화상(華商)들
04 베트남식 개혁의 전망
05 개성공단의 운명
부록
김정일 약력
북한의 주요 역사
북한 권력 서열
9ㆍ28 당대표자회 전후 북한 고위직 변화
남한의 국가연합과 북한의 낮은 단계 연방제 대비
참고문헌